[5월 경제동향] 오쿠다농원/폰테라/Parag Milk등 식/음료산업, ▲일본 오쿠다농원 아랍에미리트에 고급딸기 수출 ▲태국 PFP 말레이시아 할랄식품 공장 건설 등
일본 오쿠다농원(奥田農園)은 2016년 내 아랍에미리트에 고급딸기를 수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자체기술로 재배한 대형딸기를 1개당(약100g) 5만엔에 판매할 예정이며 중동 부유층의 수요확보를 목적으로 한다.
일본 전자기기업체 샤프는 2016년 6월 야채·과일을 압착해 과즙을 짜내는 슬로쥬스의 신제품을 발매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슬로쥬스는 기존의 착즙기보다 저속으로 야채를 착즙해 영양소를 파괴하지 않기 때문에 노인들로부터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베트남 유제품기업인 비나밀크(Vinamilk)는 캄보디아의 첫번째 공장 가동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공장지분의 51%를 보유하게 되며 캄보디아 시장에 진입한지 10년만에 현지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공장을 설립한 것이다.
태국 수산물가공업체 PFP는 말레이시아에 할랄식품 공장을 건설해 이슬람 국가로의 수출 거점으로 사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PFP는 총 매출에서 수출이 40% 가량을 차지하며 그 중 아시아가 72%로 가장 높다.
태국 최대 축산업체인 CPF(Charoen Pokphand Foods)는 식품축제인 'THAIFEX - WORLD of Food ASIA 2016'에 참석해 고품질의 통조림제품을 대거 선보였다고 밝혔다. 지속가능한 주방을 목표로 식품안전기준을 향상시킬 방침이다.
인도 유제품기업인 Parag Milk Foods의 자료에 따르면 2016년 5월 11일 215루피에 상장됐지만 5월 19일 기준 240.50루피로 11.86%상승해 안정적인 추세를 이어가는 중이다. 상장한 전체 주식은 35만6000주로 집계됐다.
오스트레일리아 최대 가축 및 토지기업인 Australian Agricultural Company(AACo)는 2015/16년 3월 마감 연간 세후이익이 $A 6780만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AACo의 매출액이 $A 4억8900만달러로 45%나 급증했기 때문이다.
뉴질랜드 최대 육류가공기업 Silver Fern Farms는 중국기업인 Shanghai Maling Aquarius Co Ltd.와 협력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주주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중국기업으로부터 투자를 받아 부채를 상환하고 시설을 업그레이드할 계획이다.
▲ Newziland_Silver Fern Farms_Homepage.jpg
▲Silver Fern Farms 홈페이지
뉴질랜드 글로벌데어리트레이드(GDT)의 자료에 따르면 유제품가격지수가 2주전 경매에서 $US 2263달러를 기록했지만 2203달러로 1.4%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경매량은 2만615톤으로 2주전 2만1206톤 대비 감소했다.
뉴질랜드 폰테라는 2016/17년 유기농 우유 낙농민에게 고형분 우유 가격을 Kg당 $NZ 9.2달러까지 지불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는 지금까지 유기농 우유 낙농가가 받은 최대 가격 Kg당 5.65달러 대비 거의 2배에 가깝다. 또한 현재 시즌 5월 31일 마감 기준 일반 우유 가격은 Kg당 3.9달러로 추정하고 있다.
뉴질랜드 낙농기업 폰테라는 South Canterbury 우유공장의 확장 규모를 50%만 하기로 결정했음에도 불구하고 석탄사용이 늘어난다는 환경단체의 반발에 직면했다. 우유를 건조하는 열을 발생시키는 보일러의 경우 석탄을 사용해 CO2를 배출하기 때문이다.
일본 전자기기업체 샤프는 2016년 6월 야채·과일을 압착해 과즙을 짜내는 슬로쥬스의 신제품을 발매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슬로쥬스는 기존의 착즙기보다 저속으로 야채를 착즙해 영양소를 파괴하지 않기 때문에 노인들로부터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베트남 유제품기업인 비나밀크(Vinamilk)는 캄보디아의 첫번째 공장 가동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공장지분의 51%를 보유하게 되며 캄보디아 시장에 진입한지 10년만에 현지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공장을 설립한 것이다.
태국 수산물가공업체 PFP는 말레이시아에 할랄식품 공장을 건설해 이슬람 국가로의 수출 거점으로 사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PFP는 총 매출에서 수출이 40% 가량을 차지하며 그 중 아시아가 72%로 가장 높다.
태국 최대 축산업체인 CPF(Charoen Pokphand Foods)는 식품축제인 'THAIFEX - WORLD of Food ASIA 2016'에 참석해 고품질의 통조림제품을 대거 선보였다고 밝혔다. 지속가능한 주방을 목표로 식품안전기준을 향상시킬 방침이다.
인도 유제품기업인 Parag Milk Foods의 자료에 따르면 2016년 5월 11일 215루피에 상장됐지만 5월 19일 기준 240.50루피로 11.86%상승해 안정적인 추세를 이어가는 중이다. 상장한 전체 주식은 35만6000주로 집계됐다.
오스트레일리아 최대 가축 및 토지기업인 Australian Agricultural Company(AACo)는 2015/16년 3월 마감 연간 세후이익이 $A 6780만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AACo의 매출액이 $A 4억8900만달러로 45%나 급증했기 때문이다.
뉴질랜드 최대 육류가공기업 Silver Fern Farms는 중국기업인 Shanghai Maling Aquarius Co Ltd.와 협력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주주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중국기업으로부터 투자를 받아 부채를 상환하고 시설을 업그레이드할 계획이다.
▲ Newziland_Silver Fern Farms_Homepage.jpg
▲Silver Fern Farms 홈페이지
뉴질랜드 글로벌데어리트레이드(GDT)의 자료에 따르면 유제품가격지수가 2주전 경매에서 $US 2263달러를 기록했지만 2203달러로 1.4%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경매량은 2만615톤으로 2주전 2만1206톤 대비 감소했다.
뉴질랜드 폰테라는 2016/17년 유기농 우유 낙농민에게 고형분 우유 가격을 Kg당 $NZ 9.2달러까지 지불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는 지금까지 유기농 우유 낙농가가 받은 최대 가격 Kg당 5.65달러 대비 거의 2배에 가깝다. 또한 현재 시즌 5월 31일 마감 기준 일반 우유 가격은 Kg당 3.9달러로 추정하고 있다.
뉴질랜드 낙농기업 폰테라는 South Canterbury 우유공장의 확장 규모를 50%만 하기로 결정했음에도 불구하고 석탄사용이 늘어난다는 환경단체의 반발에 직면했다. 우유를 건조하는 열을 발생시키는 보일러의 경우 석탄을 사용해 CO2를 배출하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엠아이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