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
" 빈집"으로 검색하여,
24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일본 총무성(総務省) 빌딩 [출처=홈페이지]일본 총무성(総務省)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전국의 빈집은 900만 호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2018년 조사한 숫자와 비교하면 51만 호가 증가했다.빈집 중에서 거주나 사용목적이 없는 '방치된 주택;의 숫자는 385만 호로 2018년과 비교해 37만 호가 늘어났다. 전체 주택수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5.9%를 기록했다.900만 호에 달하는 빈집 중 515만 호는 임대 매각용, 별장 등으로 조사됐다. 관리가 불충분해 방치 상태에 놓인 빈집도 다수를 점유했다.도도부현 중 빈집이 가장 높았던 지역은 와카야먀, 도쿠시마현, 야마나시현 등의 순이었다. 와카야마와 도쿠시마현은 21.5%, 야마나시현은 20.5%, 가고시마현은 13.6%, 고치현은 12.9%, 에히메현은 12.2% 등의 순이다.수도권에서도 빈집의 숫자가 늘어나고 있다. 도쿄도는 2.6%, 가나가와현은 3.2% 등이며 오키나와현은 4.0%를 각각 기록했다.총무성은 1948년부터 5년에 1회 빈집의 숫자를 조사하고 있다. 2023년 10월1일 기준 전국의 총주택수는 6502만 호로 2018년 대비 261만 호가 늘어났다.인구가 감소하고 있음에도 주택은 계속 늘어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방치되고 있거나 관리가 미비한 빈집은 치안, 방재면에서 지역사회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
일본 총무성(総務省)에 따르면 2020년 10월 기준 도쿄도내에만 81만가구가 빈집인 것으로 집계됐다. 그중 70%는 23구내에 있는 상황이다.특히 인구 92만명인 세타야가구의 빈집은 5만호라 많은 편이다. 65세 이상의 고령자 가구가 많아서 빈집화는 더욱 가파르게 진행되고 있다. 일본 정부에 따르면 기업들이 제3의 장소에서 직원들이 근무하는 방안을 채택하기 시작했다. 본사나 재택근무가 아니라 제3의 장소가 근무지인 것이다.사무실과 가정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양쪽의 장점만을 결합해 생산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원격근무로 인한 커뮤니케이션 부족을 해결하려는 시도이다. 일본 로봇 기업인 소프트뱅크 로보틱스 그룹(ソフトバンクロボティクスグループ)에 따르면 2020년 9월 28일 미국의 로봇 기업인 베어 로보틱스(Bear Robotics)와 음식점 서빙 로봇인 서비(Servi)를 출시했다. 2021년 1월 발매하며 가격은 월 9만9800엔부터이며 세금은 별도이다. 서비는 트레이에 음식을 담으면 지정된 목적지로 운반을 해주는 로봇이다. ▲서비 이미지(출처 : 홈페이지)
-
2020-05-13일본 생명보험문화센터(生命保険文化センター)에 따르면 여유 있는 노년 생활비는 월 36만1000엔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대부분의 노인들은 생활비 부족을 경험하고 있다.주택을 구입하면서 받은 대출금을 은퇴시기까지 갚지 못하고 있는 사례도 적지 않은 상태이다. 60세에 은퇴할 경우에는 공적연금을 받는 65세까지 퇴직금으로 생활을 영위해야 한다.주택을 갖고 있다고 해도 빈집이 많은 상황에서 주택을 매각하기도 쉽지 않다. 현재의 50대가 주택을 구입한 1990년대 중반만 하더라도 주택이 부족했다.하지만 현재는 전국적으로 800만채에 달하는 빈집이 있는 상황이다. 또한 인구감소로 주택을 구입하려는 청년층도 부족해 노년생활비를 마련하기 위한 주택매각도 쉽지 않다.▲생명보험문화센터(生命保険文化センター) 로고
-
진보가 지방정부를 이끌고 있지만 이전의 보수정부와 차별화는 성공하지 못해, 천수답식 인재육성정책으로 성장잠재력을 확충하는 것은 불가능▶ 무능하지만 도덕적으로 무장했다는 진보정치도 성과 없으면 퇴출돼종합적으로 울산시의 자치행정을 평가해 보면 다음과 같다. 울산시의 자치행정은 10점 만점에 평균 3.6점으로 최하 수준의 낙제점을 벗어나지 못했다. 기술은 6점으로 가장 높았고, 경제와 사회는 4점, 정치와 문화는 2점을 각각 획득했다.조선, 자동차, 석유화학 등이 침체되고 있지만 여전히 글로벌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고, 경제도 국내 다른 지방자치단체와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좋다는 점을 감안했다. 울산시의 지방행정 평가 내역을 간단하게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정치는 오랫동안 보수의 아성으로 자리매김하다가 2018년 지방선거에서 진보 후보가 당선되기는 했지만 정치수준은 그대로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선거공약이나 구호도 진보와 보수 차별화가 전혀 되지 않았으며 추상적이며 실현 불가능한 구호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국제 산업도시로 부상하겠다는 약속과 달리 주력산업의 경쟁력을 점점 취약해져 지역소멸위기에 직면해 있다.필자는 울산시가 포항, 거제, 구미와 마찬가지로 미국의 러스트벨트로 전락할 것이라 점을 우려한다. 일자리를 만들고 신성장동력을 확보하겠다는 울산시가 외곽순환고속도로, 병원유치 등과 같은 개발공약에 몰두하고 있는 것도 심히 걱정된다.예비타당성조사에서조차 부결돼 경제성을 확보하지 못한 외곽순환고속도로를 건설한다고 지역경제가 살아날 가능성은 전혀 없다. 산재전문병원을 설립한다고 기업의 경쟁력이 강화될 가능성도 없는데 지역공약사업이라면 밀어붙이고 있을 뿐이다. ▲ 오곡밸리모델로 평가한 울산시 자치행정둘째, 경제는 예산의 대부분을 소모성 비용으로 지출하고 있으며 주력산업이 침체되면서 지역 경제가 디플레이션에 접어들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미분양과 같이 빈집이 늘어나고 소매업체의 매출도 감소하면서 경제의 활력이 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울산시청 바로 주변에 위치한 식당도 손님을 구경하기 어렵기는 마찬가지였다.뛰어난 기술보다는 저렴한 인건비를 기반으로 경쟁력을 구축했기 때문에 근로자의 급여를 절반 이하로 줄이지 않는 이상 조선, 자동차, 석유화학 등의 경쟁력 회복은 불가능하다고 판단된다.로봇과 신재생에너지도 우수 인재의 유치와 적극적인 R&D정책이 뒷받침 되지 않는다면 걸음마도 떼지 못하고 주저앉을 가능성이 높다. 4차산업혁명 관련 기술을 무조건 안다고 주장하지 말고 기본 개념을 이해하는 것부터 시작해도 늦지 않다.셋째, 사회는 저렴한 인건비를 기반으로 성장한 도시가 인구가 줄어든다면 이미 끝장이 난 것이나 다름없고 고령화가 급진전되는 것도 우려된다. 대기업의 공장에 가보면 젊은이를 구경하기 어렵고, 40~50대가 주축인 경우가 많았다.로봇을 도입해 공장자동화로 인력부담을 줄이는 기업도 많지만 아직까지는 독일과 일본의 선도기업에 대항하기에는 역부족이다.공무원 사회는 표면적으로 어느 정도 정화돼 있는 것처럼 보였지만 지역정치인들에 줄을 대면서 눈에 보이지 않는 파벌싸움은 치열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개개인의 능력보다는 선거전에 음양으로 도움을 준 부하직원을 중용하는 것은 비단 울산시만의 문제는 아니지만 인사잡음도 끊이지 않고 일어나는 상황이다.넷째, 문화는 단기간에 급조된 산업도시에 문화를 향기를 기대하지도 않았지만 정체 불명의 축제를 수십 개나 개최할 정도로 천박한 상업주의가 만연해 있다는 것을 보고 놀랐다.돈이면 뭐든지 할 수 있거나 살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 자체가 문화에 대한 이해도가 낮기 때문이다. 조상이 공짜로 물려준 반구대 암각화 하나 지키지 못하면서 수백억 원 들여서 엄성한 축제나 벌이고 있어서 한심하다.주력 산업이 침체되면서 산업도시에서 문화도시로 전환해 관광산업을 육성하겠다는 의지는 좋지만 현재 추진하고 있는 문화정책으로는 불가능하다는 점도 잊지 않았으면 한다.울산이 자랑하는 태화강 대나무 숲도 전남 담양의 대나무 숲에 비할 바가 못되고 경제성이 제로에 가까운 대나무 숲을 예산을 투입해 키우는 어리석은 전시행정부터 중단해야 문화를 진흥할 수 있다.다섯째, 기술은 기업을 만들어놓고 국가의 세금으로 키워준 우수 인재의 블랙홀로 주력 산업이 성장했지만 이제 천수답식 인재육성정책으로 기술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깨달아야 한다.경쟁사에서 우수 인력을 빼오고, 검증된 사업모델로만 진출해 후발주자의 이점을 극대화하는 경영전략으로 100년 기업은 탄생할 수 없다.국가가 인재를 양성해 기업에 공급하는 시대는 이미 지났다. 한국 대학이 천편일률(千篇一律)적인 보통의 평범한 인재를 배출하기 때문에 자체 인력양성시스템을 개발해 운용할 필요가 있다.암기에 능숙하고 변화를 거부하는 인재로는 글로벌 기업의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적극적인 도전을 즐기는 직원들과 경쟁 자체가 성립되지 않는다. 기존의 개념에 적합한 한국형 우수인재로는 도시 혁신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된다.결론적으로 울산시의 지방행정은 부산시, 서울시, 인천시, 광주시 등과 비교해 우수하지만 지방정부의 노력이라기보다는 산업의 발전이 뒷받침되었기 때문에 가능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주력 산업이 부진하면서 자연스럽게 지방행정도 무너지고 있는 것만 보더라도 울산시의 지방행정 수준이 기준 이하라는 것을 알 수 있다.보수는 부패하지만 행정 능력으로 존재 가치를 증명하고, 진보는 무능하지만 도적적 우월감으로 생존한다는 주장도 있지만 성과를 내지 못하는 정치인과 공무원은 퇴출시켜야 한다는 국민의 목소리는 점점 커지고 있는 중이다.울산시의 진보정부도 신성장동력을 확보해 일자리 창출에 성공하지 못하면 실패한 정부로 낙인 찍혀 정치계에서 영원히 퇴출된다 사실을 잊지 말고 분발하기를 간절히 바란다. – 끝 -
-
뉴질랜드 버팔로유제품제조사 Clevedon Valley Buffalo Company에 따르면 버팔로 우유 및 버팔로유제품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카페 및 레스토랑 등에서 커피와 요리 등에 버팔로우유 및 유제품 등 활용이 늘어나고 있다. 버팔로우유는 일반우유보다 지방, 단백질, 칼슘 등은 더욱 풍부한 반면 콜레스테롤은 절반에 불과하다.▲Clevedon Valley Buffalo Company 홈페이지뉴질랜드 부동산컨설팅기업 HNZ(Housing New Zealand)에 따르면 도시 포리루아(Porirua) 소재 공공주택이 지난 4년간 비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2017년 3월 기준 전국 1832채의 공공주택 빈집 중 87채가 포리루아에 소재하고 있다. 수요자들이 원하는 주택규모 예측에 실패했기 때문이다. 뉴질랜드 매시대학(Massey University)에 따르면 1955년부터 양을 사육하는 과학적인 방법을 배포하기 시작했다. 양털을 얻기 위한 목적과 양고기를 판매하기 위한 목적이 다르다면 사육방식도 달라야 하기 때문이다.양은 번식성, 성장성, 고기생산능력 등으로 통해 평가를 받는다. 좁은 머리와 어깨, 살찐 엉덩이, 머리와 다리에는 털이 없는 등의 요소가 평가의 기준이 된다.
-
일본 아지노모토(味の素)에 따르면 2017년 4월 도쿄공업대학과 새로운 암모니아 생산기술을 실용화하기 위해 합작기업을 신설했다.도쿄공업대학의 원소전략연구소가 발명한 새로운 촉매를 암모니아 생산에 이용해 생산 설비의 소형화로 연결할 계획이다. 일본 미쓰비시상사(三菱商事)에 따르면 2017년 4월 러시아 강관제조업체 Vyksa Steel Works(이하 VSW)의 강관제조설비를 수주하기로 결정했다.수주액은 약 100억엔으로 저렴한 비용의 제조 기술을 보유한 나가타제작소와 협력해 모스크바 약 350km에 위치한 VSW사 공장에 납입할 예정이다.일본 오사카부택지건물거래업협회(大阪府宅地建物取引業協会)에 따르면 2017년 4월 오사카 남부지방에서 ‘빈집 대책’을 마련할 방침이다.해당 지역은 기시와다시, 이즈미시, 미사키정 등 7개시 4개정이다. 리소나은행과 협력해 5가지 사업안을 제시했으며 향후 성공사례로서 전국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오사카부택지건물거래업협회 홈페이지
-
2017-03-15이란 통계청(SCI)에 따르면 2017년 3월 기준 주택공실률은 약 10%로 지난 5년간 확대됐다. 2011/12년 인구주택총조사가 실시된 이후 빈집수가 55% 늘어났기 때문이다.국내 빈집을 포함 총 주택수는 2541만개로 17% 증가했다. 이는 2011~2013년 전개된 대대적인 주택공급의 결과다. 그러나 가격인상, 구매력저하 등의 문제로 매매수요는 하락했다.평균 10개 주택 중 1채가 빈집이지만 수도권으로 갈수록 빈집 비율은 더욱 확대된다. 수도 테헤란의 경우 빈집은 약 49만채로 지난 5년전에 비해 13% 증가됐다.현재 국제 주택공실률 기준은 약 4~6%가 적당하다고 평가된다. 이란의 경우 10%에 달하기 때문에 부동산 시장에 대한 거품이나 국민경제의 침체를 충분히 의심해볼 수 있다.주택가격의 인상과 경기불황은 주택구매력을 약화시켰고 임차인은 지속적으로 늘어났다. 참고로 5년전 임차인 비율은 26.6%에서 현재 30.8%로 확대됐다.부동산전문가들은 더이상의 주택건설은 지양하고 빈집에 대한 수요를 높이라고 조언한다. 국민경제를 개선시키거나 이주민 정착제도 완화, 관광숙박시설 활용 등의 방안을 강구하라고 덧붙였다.현재 이란의 전체 가구수는 2419만6035세대로 집계되고 있다. 이중 1812만5488가구가 도시에 살고 있으며 나머지 607만547가구는 지방에 거주하고 있다.주택구매력과 관련된 경제지표로 실업률을 살펴보면 2016/17년 연간 실업률은 12.4%로 추산되고 있다. 15~29세 청년층 실업률은 25.9%로 더욱 심각한 수준을 보이고 있다.▲국민 주거·건강 보호 이미지(출처: 이란 통계청)
-
일본 정부(政府)에 따르면 2016년 12월 빈집을 저소득층 육아세대나 고령자를 대상으로 제공하기 위한 제도를 창설하기로 결정했다.새로운 제도는 빈집의 소유자가 부동산정보를 도도부현에 등록하고 입주희망자는 등록된 정보를 바탕으로 물건을 찾아 임대계약을 체결하는 구조다.▲난토시에 위치한 빈집 이미지(출처 : 난토시)일본 야노경제연구소(矢野経済研究所의 자료에 따르면 2015년 국내 안경시장은 4939억엔으로 지난해에 비해 102.9% 증가했다. 2011년 이후 5년 연속 성장한 것이다.안경판매의 옴니(온라인-오프라인-모바일) 채널화와 노년층 케어 중심의 서비스 확대 등으로 소비자의 수요도 점점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일본 정부(政府)에 따르면 2016년 12월 보육사의 임금을 인상하기 위해 540억엔을 확보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대기아동대책의 일환으로서 보육사의 인재확보를 위해 전직원 월급은 6000엔, 경력직은 4만엔 등 각각 인상할 방침이다.
-
▲일본의 민간임대주택(출처 : starts-ph)일본 내각부에 따르면 2016년 2분기 기준 65세 이상 가구는 942만가구로 전체 중 20%를 차지했다. 고령화의 결과물인 독거노인의 가구수도 479만가구로 어느새 10%까지 확대됐다.이처럼 노인가구가 늘어나면서 주택의 안전성을 제고하고 수급량을 조절해야할 필요성이 더욱 절실해지고 있다. 일본에서 주택을 건설하면서 ▲고령자용 바닥재 ▲중고주택 리모델링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배경이다.지금부터 고령화가 빚어낸 주택산업의 변화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일본 기업의 주택설비 개발과 정부의 주택지원제도를 통해 한국 주택산업 및 제도의 현황도 간략히 분석해본다.▲다이킨공업 홈페이지◈ 안전한 주택 - 다이켄공업 ‘고령자용 바닥재 사업’...목표시장은 고령화 진행 국가일본 다이켄공업(大建工業)은 2016년 9월 동아시아에서 고령자용 주택 바닥재사업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목표시장은 한국, 중국, 대만 등으로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국가들이다.이번에 출시한 고기능 바닥재제품은 고령화와 주거환경 개선 등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를 반영해 ▲미끄럼방지 ▲스크래치 내성 등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고령화가 진행되는 지역에 대한 목표사업이지만 부유층의 주택안전에 대한 높은 수요도 한몫하고 있다. 주택시설의 안전은 고령인구만의 필요조건이 아니기 때문이다.일본은 이미 고령화를 20년 전부터 경험한 국가로서 노인층 수요에 대한 다양한 데이터를 축적했다. 관련 기술도 다수 개발된 상태라 이번 사업이 순조로울 것으로 전망된다.▲주택리모델링 이미지(출처 : theatres-remodeling)◈ 주택의 적정성- 국토교통성 ‘주택리폼 지원제도’ 시행 계획...빈집・과잉공급 억제일본 국토교통성(国土交通省)에 따르면 2016년 40세 미만을 대상으로 중고주택을 구입해 리모델링 및 내진개수 등을 할 경우 최대 65만엔(약 716만원)까지 지원할 계획이다.‘좋은 물건을 만들어 제대로 손질해 오랫동안 사용’하는 주택제도를 마련해 고령화에 따른 ▲빈집 증가 ▲불필요한 주택공급량을 억제하기 위한 목적이다.또한 처음으로 내집을 마련을 하거나 육아를 시작한 30대를 대상으로 경제적 지원을 전개하고 향후 중고주택거래의 활성화까지 효과를 확대할 예정이다.참고로 새로운 제도는 전문가를 통해 주택상태를 조사한 후 이중샷시 리모델링 공사를 진행했을 경우 최대 50만엔을 지급하고 내진개수까지 할 경우 추가로 최대 65만엔을 지원한다.▲LH 한국토지주택공사 홈페이지◈ 주택설비 안전성・주택구조 적정성 모두 향상...한국 고령화 대응정책 많지만 대중성은 부족해지금까지 일본의 고령화에 따른 주택시장의 변화에 대해 살펴봤다. 집안에서 생활시간이 늘어나는 고령인구에 맞춰 주택설비의 안전성을 향상시켰으며 주택구조의 적정성도 추구하고 있다.한국의 경우도 특수계층(장애인 등)을 위한 안전성 및 편의성을 높인 주택설비는 지원되고 있지만 고령인구를 위한 설비는 아직 대중화되지 못했다. 물론 고소득층 가구는 맞춤식으로 충당한다.고령층을 대상으로 임대주택, 장기전세주택 등도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높은 계약금, 미비한 건축물 공사, 부실한 보수서비스 등으로 주택지원의 목적에서 멀어진 사례들이 드러나고 있는 실정이다.전문가들은 그럴듯한 고령화대비 정책은 많지만 다수의 고령인구가 제공받을 수 있는 혜택은 매우 좁다는 한계성을 지적한다. 한국도 더 늦기 전에 고령인구를 지원할 수 있는 실질적 제도부터 마련하라고 덧붙였다.
-
2016-09-20일본 정부에 따르면 2016년 7월 경제대책의 사업규모를 28조1000억엔으로 결정할 방침이다. 9월에 개최되는 임시국회에서 제 2차보정예산안을 제출한다. 국가와 지방의 세출규모는 7조5000억엔으로 국가가 민간사업에 저리 융자하는 재정 투융자 6조엔과 합쳐 총 13조5000억엔의 재정을 조치한다.일본 정부에 따르면 2016 7월 국가공무원의 출장비 정산에 관련해 개선계획안을 발표했다. 각 기관별로 교통비와 여비지급기준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통일하려는 것이다. 정산에 걸리는 시간도 기존 평균 한달 반 소요됐으나 1개월 이내로 단축시켜 ▲교통비절감 ▲업무효율화 ▲약 6.2억엔의 인건비절감 등을 목적으로 한다. 아베총리의 일하는 방식 개선안의 일환이다.일본 정부에 따르면 2020년까지 외국인취업의 대응이 가능한 병원을 전국 100곳으로 정비할 계획이다. 또한 상속세 감면도 검토한다. 외국인의 취업 및 정착을 촉진하기 위한 환경을 정비해 개호복지사자격증 소지자에게 새로운 체류자격을 줄 계획이다. 일본경제의 성장에 기여할 수 있는 고급 외국인력을 유치하기 위한 목적이다.일본 정부는 2016년 8월 아프리카 각국에 ‘일본기업용 전용특구 개설’과 ‘무역 및 투자협정 제휴’를 통해 일본기업이 사업을 진출할 수 있는 환경을 정비한다고 밝혔다. 인구가 증가하는 아프리카 발전을 위해 당국의 투자와 기술력으로 양측의 지속적인 성장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빈곤층의 생활향상을 목표로 농업 인프라정비, 학교보건교육지원 등을 진행한다.일본 정부에 따르면 2016년 8월 비정규직 근로자의 임금을 정규직의 80%까지 인상하는 방향으로 검토한다. ▲‘동일노동 동일임금’의 실현 ▲장기간 노동의 시정 ▲고령자의 취업촉진 ▲장애인 및 암환자가 근무하기 쉬운 환경 정비 등을 주요 안건으로 내년 3월까지 계획안을 정리해 관련 법안을 제출할 계획이다.일본 정부(政府)는 2016년 8월 중고주택을 구입했을 때 필요한 리폼공사 비용을 1건당 최대 50만엔까지 보조하는 제도를 창설한다고 발표했다. 유럽과 미국에 비해 소규모인 중고주택의 거래를 활성화하고 고령화 및 주요도시의 집중이동으로 인해 증가하고 있는 빈집문제를 해소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대상을 40대 미만의 구입자로 한정해 젊은층이 사용하는 돈을 늘려 개인소비를 촉진하려는 목적도 있다.일본 정부에 따르면 2017년 세제개정 요청으로 보육소 및 유치원용으로 토지를 임대할 경우 토지소유자의 상속세, 증여세를 감면할 방침이다. 땅값이 비싸고 부지확보가 어려운 도시지역의 정비를 강화하고 도심을 중심으로 심각한 대기아동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이다.일본 정부에 따르면 2016년 8월 소액투자비과세제도(NISA)에 대해 매월 소액을 장기간 적립할 수 있는 서비스를 검토한다. 연간 60만엔 이하가 대상이다. 현재 5년인 비과세 기간을 대폭 연장하고 비과세 범위를 절반이하로 절감하는 방향으로 조정해 이용자의 저축에서 투자까지의 흐름을 뒷받침할 계획이다.일본 정부(政府)와 도쿄전력(東京電力)은 2017년 1월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2호기의 원자로격납용기 안을 로봇으로 조사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작년 8월에 예정된 조사였지만 장애물의 철거와 투입구의 제염에 시간이 걸려 연기하고 있었다. 녹아 떨어진 핵연료의 상황을 확인하고 꺼낼 방법을 찾을 계획이다.▲ Japan_Tepco_Homepage▲도쿄전력(東京電力) 홈페이지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