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 진단] 신흥국 부실대출로 붕괴되는 유럽 금융기관
민진규 대기자
2014-03-17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방만한 경영을 구조조정하는 은행이 대부분, 가계대출과 부동산대출의 부실이 커지면서 금융기관 부실 위험 높아져

국제금융 전문가들의 주장에 따르면, 유럽은행권의 경제성장률 정체와 통화가치 하락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터키, 브라질, 인도,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신흥국가 대출규모가 약 3조 달러(약 3210조원)에 달해 신흥국 경기침체가 지속될 경우 심각한 유동성위기를 경험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은행들의 신흥국가에 대출해 위험해진 대출 규모의 4배가 넘는 수준이다. 유럽은행들은 신흥국 대출뿐만 아니라 자국내의 부실대출도 심각한 수준으로 경영상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위기의 유럽금융기관의 실태를 알아보자. 

▶ 대규모 직원해고로 비용점감 노력 중

최근 영국 런던에 본사를 두고 있는 다국적 은행 및 금융서비스 기업인 바클레이(Barclays PLC)는 2014년 최대 1만 2000명의 직원을 해고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바클레이는 지난해 금융시장의 침체, 비용점감 등의 이유로 1700명을 해고했다.

그리고 168억 파운드(약 29조 7393억 원)의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2015년까지 약 14만 명의 직원 중 1만 ~ 1만 2000명을 해고하기로 결정했다. 또한 은행고객의 온라인 뱅킹 이용이 증가함에 따라 영국에 위치한 1600개의 지점도 폐쇄하기로 했다.

해고대상 직원은 은행의 관리이사 220명, 이사 600명, 고위관리직, 은행창구 직원들이며, 투자은행의 경우에는 수석직원 약 400 등이다. 바클레이는 2012년 546억 4900만 달러(약 61조 1624억 원)의 매출을 올렸지만, 16억 5000만 달러(1조 7888억 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다른 은행인 스코틀랜드왕립은행(Royal Bank of Scotland, RBS)은 향후 3년~5년 동안 현재 근무자인 12만 명의 4분의 1인, 3만 명을 구조조정하기로 결정했다. 영국 정부가 RBS의 지분 81%를 소유하고 있지만, 영업실적 악화로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직원들의 대규모 해고가 불가피해진 것이다.

영국정부가 런던을 유럽의 금융허브로 만들기 위해 RBS를 세계 최대 은행으로 만들기 위해 덩치를 키웠지만, 이제는 목표를 수정했다. RBS의 목표는 세계 최대 규모의 은행으로 성장하는 것이 아니라 크기와 상관없이 수익성을 높은 은행이 되는 것이다. 

▶ 해외지점 축소, 직원 급여삭감으로 경영개선 노력

고강도의 구조조정에 직면하고 있는 그리스 정부가 국립은행의 인력을 축소하고, 해외지점을 대폭 줄이기로 결정했다. 국립은행인 피레우스는 은행의 운영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2000명의 직원을 자발적으로 축소하기로 했다. 이는 전체 직원의 15%에 해당된다. 인력구조조정에 성공한다면 직원급여로만 매년 1억 2000만 유로(약 1780억원)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방만하게 운영되던 해외지점도 대폭 축소한다. 불가리아, 루마니아, 세르비아, 마케도니아, 알바니아 지점은 철수하고, 터키지점은 유지하기로 했다. 현재 피레우스 은행은 예금자에게 0.1%의 이자를 지급하고 있지만, 대출을 늘리면서 대출자에게는 이보다 높은 금리를 적용하기 때문에 이익이 급격하게 늘어 나고 있다.

최근 네델란드 정부는 은행직원의 상여금을 연봉의 20%로 제한하는 규칙을 도입하기로 결정했다. 이 안이 확정될 경우 2015년부터 시행될 것으로 보인다.

보너스총액을 제한해 은행이 부실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미래의 납세자에게 부담을 전가시키지 않겠다는 의지를 내 비친 것이다. 정부는 은행들이 위험한 투자로 단기 이익을 올리고 고액보상을 받는 잘못된 관행에 철퇴를 가하기로 한 것이다.

실제 은행들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의 주범임에도 불구하고 정신을 차리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금융위기로 파산에 직면한 은행을 살리기 위해 각국 정부는 대규모 재정지원을 했지만 금융위기가 극복된 이후 은행들은 무분별하게 대출을 늘렸고, 이자수익으로 돈 잔치를 벌였다.

정부는 과도한 보너스와 퇴직금은 은행원들의 탐욕을 부추기고, 은행의 재정건전성을 악화시키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은행의 직원과 경영진들이 보너스를 챙기기 위해 대출경쟁을 하면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다시 부동산 거품이 생기고 있어 국가경제 기반을 흔들고 있다는 지적을 받는다.

▶ 과다 채무, 부실채권 규모 급증하고 있는 은행 늘어

경제위기로 어려움에 처한 이탈리아의 기업과 국민, 모두 과도한 채무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탈리아 정부의 주장에 따르면 은행대출의 대부분은 대기업에 해당되지만 기업대출은 상환능력이 있다고 한다.

하지만 전체 6100만 명의 국민 중 116만 7000명이 신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들 중 84%가 평균 12만 5000유로(약 1억 7900만원)의 빚이 있다. 은행은 이들의 채무는 부실채권으로 분류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일반 국민들이 갖고 있는 빚은 부동산 버블로 형성되었고, 실업과 임금감소로 인해 채무상환능력이 저하되어 사회, 경제적 문제로 확산되고 있는 중이다. 실업률도 2011년 8.4%에서 2012년 10.6%로 오히려 높아지고 있다. 실업문제를 해결해야 할 정치권이 논쟁만 일삼고 있어 정부가 획기적인 일자리대책을 내 놓기도 어렵다.

최근 국민소득도 감소추세에 있다. 현재상황으로 보면 이탈리아가 2014년에도 경제위기에서 탈출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경제전문가들은 가계 빚은 가계소득 증대로 해결할 수 있는데 기업실적 호전으로 인한 임금상승과 정부의 일자리창출은 2015년에도 기대하기 어렵다고 주장한다.

최근 유럽중앙은행(ECB)의 주장에 따르면 오스트리아 주요 6개 은행이 300억 유로(약 43조 3600억 원)의 부실채권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향후 오스트리아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한다. 이 중에서 Erste Group은 124억 유로(약 17조 9200억 원), RBI(Raiffeisen bank Internaional)은행은 85억 유로(약 12조 2800억 원)로 전체의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OVAG의 경우 38억 유로(약 5조 4900억 원)의 부실채권을 갖고 있으며, 그 중 10억 유로(약 1조 4400억 원)는 루마니아에 대출한 것이다. UniCredit Bank Austria의 이탈리아 지점도 64억 유로(약 9조 2500억 원)의 부실대출을 갖고 있다.

스페인의 경기침체가 장기화되면서 금융권이 보유하고 있는 부실채권의 규모가 지난 50년 동안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다. 스페인은 ‘Credito O’의 수준을 부실대출로 규정하는데, 이 부실대출 규모는 10월 기준으로 1909억 7100만 유로(약 276조 3800억 원)에 달해 전체 대출의 13%를 넘어섰다.

부실채권은 은행들이 부실자산을 구조조정하면서 2012년 말과 올해 초에 감소했지만, 다시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이후 8개월 연속 부실채권의 규모가 늘어나면서 은행부실이 심화되는 것은 아닌지 우려를 낳고 있다.

개인들의 주택담보대출 중 부실채권은 3분기 말 기준 전체의 5.36%로 320억 7400만 유로(약 46조 4200억 원)나 된다. 부동산개발 대출의 경우 전체의 33.6%인 65억 7000만 유로(약 9조 5000억 원)가 부실이다. 전체 신용대출 잔액은 9월말 1조 4810억 유로(약 2143조 4000억 원)에서 10월말 1조 4690억 유로(약 2126조 540억 원)로 소폭 줄어 들었다.

체코 정부의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1년 만에 처음으로 가계부채가 감소했지만, 기업과 금융기관 등의 부채를 포함할 경우 전체적으로 426억 코루나(약 2조 2600억 원)가 증가했다. 중앙은행의 자료에 의하면 기말의 총 가계부채는 1조 2060억 코루나(약 64조원)이다. 지난해 12월 부채는 23억 코루나(약 1200억 원)이 감소했다. 가구당 저축은 전년 동기대비 증가했으며, 특히 지난해 12월에는 70억 코루나(약 3700억 원)가 늘어났다.

반면 기업의 부채는 총 9957억 코루나(약 52조 8400억 원)으로 12월의 경에 11월에 비해 55억 코루나(약 2900억 원)가 감소했다. 중앙은행은 식품가격과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고 있어 가계와 기업의 재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 강력한 구조조정과 민영화, 부채탕감으로 정상화 노력

국가재정이 파탄 난 키프로스가 강력한 자체 구조조정을 거친 후 회생기미를 보이고 있다. 키프로스는 지난 3월 예금자들이 은행에서 예금을 대규모로 인출하는 뱅크런이 발생하자 EU로부터 구제금융을 받았다. 이후 혼란한 경제는 안정을 되찾았고, 올해 7.7%의 경제성장을 이뤘다. 내년에는 4.8%의 성장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예상보다 소비가 감소했으며, 주력산업인 관광산업도 예상보다 저조했다.

키프로스 정부도 구제금융을 받은 후 강력한 의지로 구조조정을 단행했다. 부실은행은 정리하기 위해 주요 은행 중 하나를 청산했으며, 10만 유로(약 1억 4800만원) 이상의 예금자 자산을 100% 보호하기로 결정했다. 금융부문의 부실을 없애기 위해 과감한 민영화도 추진하고 있다.

아이슬랜드 정부는 2014년 중반부터 가구당 2만 4,000유로(약 3,400만원)의 부채를 탕감하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정부는 이 계획을 실행하기 위해 4년 동안 약 1,500억 크레노(약 215조 9,400억 원)에 달하는 예산을 배정하기로 했다.

아이슬랜드 은행들은 2008년 금융위기가 발생하기 이전까지 채권을 기반으로 GDP의 108%에 달하는 부채를 양산했다. 금융위기로 아이슬랜드의 통화인 크로나의 가치는 하락했고, 더불어 경제도 곤두박질 쳤다.

5년 간의 경제침체로 여전히 가계부채는 GDP의 108%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국제적인 기준에서 평가하면 아이스랜드의 가계부채는 너무 높은 편이다.

정부 관계자는 가계에 대한 부채탕감으로 가계의 가처분 소득을 늘리고, 저축을 장려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문제는 정부가 가계부채를 탕감할 수 있는 재원을 마련할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 현재로선 정부의 재원계획은 불투명하다.

▲ 유럽중앙은행(ECB) 빌딩(출처 : 홈페이지)
저작권자 © 엠아이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Special Report 분류 내의 이전기사
주간 HOT ISS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