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문화] (56)삼성그룹의 기업문화-사업은 제품과 시장(2) 야심 차게 추진한 신사업 성과 부진하고 이재용 부회장의 리더십도 보이지 않아
민진규 대기자
2016-10-26 오후 8:44:59
 

 


▲삼성SDI 자동차배터리 실험실 이미지(출처 : 삼성 홈페이지) 

◈ 비전2020으로 추진하는 신사업 모두 성과 부진

삼성은 이건희 회장이 삼성특검으로 퇴진한 복귀하면서 ‘비전2020’을 내 세웠다. 새로운 시대에 걸 맞는 신사업을 벌이고 국내에 치중된 기존의 사업구조를 바꾸는 것이 골자다.

삼성의 거침없는 행보가 국가경제를 견인하고 국민전체를 먹여 살릴 수 있을 것이라는 환상에 젖어 환호했다.

허망한 꿈으로 끝난 MB정부의 ‘747공약’이 머지 않아 실현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가질 수 있게 했다. 삼성이 추진하고 있는 신사업과 3세들이 추진하는 사업에 대해 진단해 보자.

삼성은 2010년 초 태양전지, 전기차 배터리, LED, 바이오 제약, 의료기기 등 5개 미래 신수종 사업분야에 23조3000억원을 투자하겠다고 발표했다.

2020년까지 50조원의 매출을 올리고, 4만5000개의 일자리도 늘리겠다는 구상을 세웠다. 5년이 지난 시점에서 보면 성과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일부 신수종 사업의 추진실적을 간략하게 살펴보자.

첫째, 태양전지 사업은 삼성SDI가 주도하고 있는데 실적이 거의 없다. 각종 자료를 보면 연구개발을 하고 관련 기술을 확보하고 있다고 하지만 눈에 띄는 성과는 나지 않는다.

미국 오바마 대통령이 ‘미국경제의 미래’라고 극찬한 미국의 솔린드라(Solyndra)가 2011년에 파산했다. 독일의 태양광산업 간판기업인 솔론(Solon)도 파산신청을 했다.

이들 유망기업들이 파산한 이유는 각국의 재정위기로 인한 투자축소, 시장의 공급과잉, 중국업체의 덤핑공세 등이다.

삼성SDI도 중국업체가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결정질 대신 박막형 태양전지사업으로 방향을 선회했다고 하지만 미래가 밝은 것은 아니다.

둘째, 전기차 배터리도 LG화학과 일본기업들이 이미 시장을 선점하고 있어 성과를 내기 쉽지 않다.

 LG화학이 GM 등 글로벌선도 자동차기업들과 배터리공급계약을 맺고 활발한 영업활동을 하고 있지만 정작 삼성SDI은 출발도 하지 못하고 있다.

삼성에서 배터리사업을 주도하던 삼성SDI는 갤럭시 노트 리콜 사태로 배터리사업의 문제점을 드러냈다. 기술력을 확보하지 못한 상황에서 무리하게 사업을 추진한 결과다.

LG화학도 기술력을 보유한 일본기업과 가격경쟁력을 갖춘 중국기업과의 사이에서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본격적인 전기자동차 시대가 열리면 LG화학의 미래도 장담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셋째, 바이오 제약과 의료기기사업도 계획대비 실적이 저조하기는 마찬가지다. 의료기기사업은 국내 1세대 초음파 의료기기 업체인 메디슨을 2010년 인수한 후 삼성메디슨으로 바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계열사를 동원해 병원설계와 건설, 의료장비, 정보시스템까지 일괄적으로 수출하겠다는 구상을 했지만 아직 구체적인 결과는 내놓지 못하고 있다.

의욕적인 것은 좋은데 삼성물산이 병원설계와 건설에 노하우를 가지고 있는지, 삼성병원이 경쟁력이 있는 운영시스템을 가지고 있는지, 삼성SDS가 병원정보시스템 구축의 경험이 풍부한지 등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우선이라고 본다.

삼성이 추진하고 있는 신사업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는 이유가 분명 있는데 실패를 숨기기 위해 핑계거리를 찾고 있지 않나 판단된다.

정말 간판기업인 삼성전자가 반도체와 스마트폰 이후의 신성장동력을 찾고자 한다면 기존 사업의 실패원인부터 냉정하게 찾는 것이 우선이다. 

◈ 이재용 부회장도 갤럭시노트7 리콜사태에서 리더십 부재 논란 초래,

3세들이 추진하는 신사업도 삼성의 위상에 맞지 않거나 삼성의 독특한 기업문화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건희 회장의 장녀인 이부진이 호텔신라 대표이사는 양식당, 중식당, 일식당은 늘리고 한식당은 줄여서 논란을 초래했다. 호텔사업의 정체성이 없다는 평가를 받는다.

둘째 딸인 이서현 제일모직 부사장이 주도하고 있는 ‘8 Second’라는 의류소매점 체인사업도 좋은 결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자라, H&M, 유니클로 등과 같은 글로벌 SPA업체와 경쟁에서 밀리고 있다.

이재용 부회장도 ‘e 삼성’을 실패한 후 그룹의 간판기업인 삼성전자에서 경영권수업을 받은 후 이제 전면에 나서고 있다.

삼성특검으로 물러난 후 다양한 경험을 쌓기 위해 노력했다고 주장하지만 갤럭시노트7 리콜 사태에서 별다른 리더십을 보여주지 못했다.

삼성이 추진하는 신사업과 3세들의 사업을 진단한 이유는 신사업을 추진하면서 성장성, 수익성 등도 검토해야 하지만 정작 중요한 것은 기업문화와 적합도 평가라는 점을 강조하기 위함이다.

단기적 성과가 달성 가능한 제조업에 익숙한 삼성의 기업문화가 장기적 노력이 필요하고 섬세한 정서통제가 필요한 서비스업에 적합하지 않다.

삼성전자가 강점을 가지고 있는 반도체나 스마트폰 제조업은 단기 운용(operation)노력이 필요한 제품이다. 운영은 다양한 지식과 경험을 실천해야 하기 때문에 관리능력이 중요하다.

반면에 바이오 제약이나 의료기기는 장기 연구개발(R&D)과 임상실험이 필요하다. 연구개발에는 삼성이 자랑하는 관리능력이 아니라 창의성이 필요하다.

제품이 요구하는 기업문화가 다르다는 말이다. 삼성의 장점은 제품의 품질이나 신뢰도가 아니라 서비스다.

전자제품이나 휴대폰은 품질과 안전성에 대한 테스트를 하지 않고 팔아도 된다. 소비자가 항의를 하면 수리해 주거나 수리가 불가능하면 교체해 주면 된다.

삼성전자의 가전제품도 LG전자에 비해 품질경쟁력이 뒤떨어졌지만 삼성전자는 이런 방식의 서비스정책으로 성장했다. 몇 년 전부터 서비스를 아웃소싱한 이후 강점이 사라졌다는 평가도 받고 있다.

하지만 제약이나 의료기기는 사람의 생명을 다루기 때문에 ‘신뢰’가 가장 중요하다. 신뢰는 하루아침에 쌓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단기적 성과와 품질경쟁보다는 서비스경쟁에 익숙한 삼성의 기업문화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영역이 아니다.

삼성이 비전 2020을 제시하면서 목표로 정한 신사업을 성공시키려면 삼성 기업문화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와 개선노력이 우선이라고 보는 이유다. 

– 계속 - 

민진규 <국가정보전략연구소장> stmin@hotmail.com
저작권자 © 엠아이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Estimate 분류 내의 이전기사
주간 HOT ISS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