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경제동향] 보드카/삼페인/팜오일/설탕 등 식/음료산업, 인도 정부 향후 2년내 수확한 농산물 가공처리 용량 3.2억톤으로 확대 방침 등
러시아 재정부는 6월 13일부터 500미리리터 보드카 1병의 최소가격이 185루블에서 190루블로 인상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재정부는 2009년부터 최저가격을 시행하기 시작했다.
러시아 재무부는 7월 26일부터 삼페인의 법정 최적가격을 시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0.75리터 1병의 가격은 164루블로 정했다. 최저 도매가격은 133루블이다. 러시아 정부는 2009년부터 알코올에 대해 최저가격을 시행하고 있는데 이것은 불법 알코올 생산을 근절하기위한 조치이다. 현재는 브랜디, 보트카 등에도 최저가격을 시행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농업부에 따르면 2015년 우유제품 수입량은 26.5만톤으로 대부분 분유 및 무가당연유로 구성돼 있다. 수입량이 국내수요의 80%를 초과하기 때문에 해외의존도 완화계획안을 검토 중이다.
▲ Indonesia_Republic of Indonesia Ministry of Agriculture_Homepage.jpg
▲인도네시아 농업부 홈페이지
태국 정부의 자료에 따르면 농한기에 농부들이 말린도마뱀을 수출해 연간 1000만바트의 수입을 획득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대만회사가 말린도마뱀을 매입해 해외로 수출하거나 북부지역의 레스토랑에 판매하고 있다.
태국 파리안 지방정부의 자료에 따르면 지역의 농부들이 대나무에서 음용수를 채취해 500cc 1병당 20바트에 판매 중인 것으로 드러났다. 대나무에 구명을 뚫어 물을 채취하고 있으며 3~4시간에 1.5~2.0리터를 확보해 새로운 수익모델로 부상하고 있다.
태국 정부의 자료에 따르면 6월 16일부터 팜오일 가격이 병당 42바트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팜오일 추출업차가 농부들로부터 구입하는 팜오일 원유의 가격도 킬로그램(kg)당 5바트 인상됐다.
필리핀 정부는 미국 정부의 원조금으로 제공받은 미국산 염소 중 우유를 생산하는 비율을 파악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미국 정부는 PL 480법률에 따라 필리핀의 낙농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미국산 염소를 매입해 제공했지만 늙은 염소가 다수 포함돼 실질적으로 우유를 생산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인도 정부는 향후 2년 내 수확후 농산물 가공처리 용량을 3억2000만톤으로 늘릴 방침이라고 밝혔다. 현재 16%에 불과한 가공비율을 20%로 올려 농부들의 수입을 2배로 확대할 계획이다.
인도 정부의 자료에 따르면 설탕에 대한 수출관세를 20% 부과해 내수공급을 진작시키기로 결정했다. 현재 국내 설탕가격이 킬로그램당 40루피로 높기 때문이다. 인도는 브라질에 이어 세계 2위 설탕수출국이며 2015년 10월부터 2016년 5월까지 160만톤을 수출했다. 하지만 이번 결정으로 인해 수출은 더 늘어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파키스탄 농무부는 중국과 무역균형을 맞추기 위한 목적으로 할랄식품시장에 접근하기 위한 기회를 붙잡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2015년 기준 쌀은 $US 4억3000만달러, 과일과 채소 3억2000만달러 상당을 수출했다. 과일의 수요가 높은데 특히 고품질의 파키스탄 망고가 가격 경쟁력이 높은 것으로 분석했다.
러시아 재무부는 7월 26일부터 삼페인의 법정 최적가격을 시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0.75리터 1병의 가격은 164루블로 정했다. 최저 도매가격은 133루블이다. 러시아 정부는 2009년부터 알코올에 대해 최저가격을 시행하고 있는데 이것은 불법 알코올 생산을 근절하기위한 조치이다. 현재는 브랜디, 보트카 등에도 최저가격을 시행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농업부에 따르면 2015년 우유제품 수입량은 26.5만톤으로 대부분 분유 및 무가당연유로 구성돼 있다. 수입량이 국내수요의 80%를 초과하기 때문에 해외의존도 완화계획안을 검토 중이다.
▲ Indonesia_Republic of Indonesia Ministry of Agriculture_Homepage.jpg
▲인도네시아 농업부 홈페이지
태국 정부의 자료에 따르면 농한기에 농부들이 말린도마뱀을 수출해 연간 1000만바트의 수입을 획득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대만회사가 말린도마뱀을 매입해 해외로 수출하거나 북부지역의 레스토랑에 판매하고 있다.
태국 파리안 지방정부의 자료에 따르면 지역의 농부들이 대나무에서 음용수를 채취해 500cc 1병당 20바트에 판매 중인 것으로 드러났다. 대나무에 구명을 뚫어 물을 채취하고 있으며 3~4시간에 1.5~2.0리터를 확보해 새로운 수익모델로 부상하고 있다.
태국 정부의 자료에 따르면 6월 16일부터 팜오일 가격이 병당 42바트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팜오일 추출업차가 농부들로부터 구입하는 팜오일 원유의 가격도 킬로그램(kg)당 5바트 인상됐다.
필리핀 정부는 미국 정부의 원조금으로 제공받은 미국산 염소 중 우유를 생산하는 비율을 파악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미국 정부는 PL 480법률에 따라 필리핀의 낙농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미국산 염소를 매입해 제공했지만 늙은 염소가 다수 포함돼 실질적으로 우유를 생산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인도 정부는 향후 2년 내 수확후 농산물 가공처리 용량을 3억2000만톤으로 늘릴 방침이라고 밝혔다. 현재 16%에 불과한 가공비율을 20%로 올려 농부들의 수입을 2배로 확대할 계획이다.
인도 정부의 자료에 따르면 설탕에 대한 수출관세를 20% 부과해 내수공급을 진작시키기로 결정했다. 현재 국내 설탕가격이 킬로그램당 40루피로 높기 때문이다. 인도는 브라질에 이어 세계 2위 설탕수출국이며 2015년 10월부터 2016년 5월까지 160만톤을 수출했다. 하지만 이번 결정으로 인해 수출은 더 늘어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파키스탄 농무부는 중국과 무역균형을 맞추기 위한 목적으로 할랄식품시장에 접근하기 위한 기회를 붙잡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2015년 기준 쌀은 $US 4억3000만달러, 과일과 채소 3억2000만달러 상당을 수출했다. 과일의 수요가 높은데 특히 고품질의 파키스탄 망고가 가격 경쟁력이 높은 것으로 분석했다.
저작권자 © 엠아이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