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경제동향] 조선공업협회/히다치조선/오토마린 등 항공/우주 및 선박/조선업, 싱가포르 조선업체 트리야즈 2015/16년 4분기 순이익 S$ 306만달러로 지난해 동기에 비해 73% 급감 등
박재희 기자
2016-11-03 오후 5:29:06
중국조선공업협회(中国船舶工业行业协会, CANSI)에 따르면 2016년 1~9월 중국의 신규선박수주량은 1852만DWT로 전년 동기 대비 2% 증가했다. 또한 동기간 선박완성량은 2493만DWT로 전년 동기 대비 15.1% 하락했으며 2016년 9월말 기준 선박수주량은 1만930DWT로 전년 동월 대비 18.1% 감소했다.


▲ China_CANSI(China Association of the National Shipbuilding Industry)_Homepage

▲중국조선공업협회(中国船舶工业行业协会) 홈페이지

일본 도쿄해양대학(東京海洋大学)은 2016년 10월 NREG도시바와 공동으로 수소로 달리는 연료전지선박의 실험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해당실험결과는 국토교통성이 2020년을 목표로 개발을 진행하고 있는 연료전지선박의 가이드라인에 활용될 예정이다. 

일본 선박제조업체인 히타치조선(日立造船)은 2016년 10월 중유 및 액화천연가스(LNG)를 연료로서 구분해 사용하는 선박용엔진을 개발한다고 발표했다. 세계적으로 강화되고 있는 선박의 환경규제에 대응하는 제품으로 수주를 확보하는 것이 목표이다. 신엔진은 중유의 소비를 대폭으로 줄여 질소산화물(NOx)등의 배출을 억제한다.

말레이시아 해양유전서비스업체 Perdana Petroleum에 따르면 2016년 10월 석유업체 페트로나스(Petronas)와 해양지원선박 17척에 관한 공급계약을 체결했다. 공급될 선박은 업무형소형선박(workboat) 2척, 해양작업예인선(AHTS) 8척, 바지선(barge) 10척 등이다. 2019년 9월까지 약 3년간 공급계약이 이행되며 계약금은 6700만링깃이다. 

▲Perdana Petroleum 홈페이지

싱가포르 복합기업 케펠(Keppel)에 따르면 2016년 3분기 순이익은 S$ 2.25억달러로 지난해 동기에 비해 38.1% 급감했다. 동기간 매출액도 40.2%나 떨어졌다. 해양건설 사업부의 실적이 부진하면서 전체적인 매출축소에 영향이 미쳤다. 특히 중단됐던 브라질 석유가스 사업이 추가 연장되면서 인력 구조조정까지 단행한 실정이다.

싱가포르 조선업체 트리야즈(Triyards)에 따르면 2015/16년 4분기 순이익은 S$ 306만달러로 지난해 동기에 비해 73% 급감했다. 동기간 매출액은 7.0% 증가했지만 해양선박제조 및 엔지니어링솔루션 사업부인 Ezra Holdings의 저조한 프로젝트 수익률로 실적이 하락된 것이다. 올해 상반기 선박업계의 회복세를 이끌던 트리야즈도 기존에 진행됐던 해양선박 프로젝트의 차질로 다시 실적이 감소되는 추세다.

싱가포르 셀레타르공항(Seletar Airport)에 따르면 2018년 말까지 S$ 5000만달러 규모의 신규 승객터미널을 완공해 운영할 계획이다. 해당 터미널에 대한 재개발 프로젝트는 2008년부터 승인됐다. 이를 통해 연간 승객 수용량이 기존에 비해 26배 이상 확대된 70만명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참고로 셀라타르공항은 말레이시아로 향하는 단일 소규모 취항지였으나 터미널을 지속적으로 확장하면서 승객수용률을 높이고 있다.

▲셀라타르공항 홈페이지

싱가포르 해양건설업체 Keppel O&M에 따르면 2016년 10월 선박업체 Keppel Smit와 Maju Maritime으로부터 'LNG 예인선' 2척 수주계약을 체결했다. 첫 이중연료장치를 탑재한 예인선을 건조할 예정이며 향후 2018년 내로 완공해 인도할 예정이다. 해당 프로젝트는 석유업체인 로열더치쉘(Royal Dutch Shell)과 합작투자로 전개된다.


▲LNG 예인선 이미지(출처 : Keppel 홈페이지)

싱가포르 해양건설업체 오토마린(Otto Marine)에 따르면 2016년 2분기 순손실액은 US$ 1910만달러로 지난해 동기에 비해 7배 이상 급증했다. 최근 민간사업 입찰건까지 연기되면서 적자구조가 더욱 심화됐기 때문이다. 동기간 매출액도 41% 급감했으며 조선소, 해상운송, 용선, 해상유전서비스 등의 사업부 실적도 둔화되고 있다. 


▲오토마린 홈페이지

필리핀 정부에 따르면 해군구축함 2대를 건조해 영유권 분쟁 중인 남중국해 순찰활동에 배치할 예정이다. 2020년 건조가 완료될 것으로 전망된다. 두테르테 대통령이 친미정책을 포기하고 중국과 밀월관계를 유지하고 있지만 남중국해의 영유권은 포기할 수 없는 입장이기 때문이다. 참고로 이 구축함은 한국의 현대중공업이 건조하기로 계약했다. 스페인의 조선사와 한국의 대우해양조선도 입찰에 참여했지만 기술적 요건을 충족하지 못해 탈락했다.
저작권자 © 엠아이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Digest 분류 내의 이전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