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아시아] 4월 23일 경제동향-식품/환경/부동산, 국가식품청(NFA) 재고량 확보를 위해 쌀수매가격 인상 등
필리핀 국가식품청(NFA)에 따르면 재고량 확보를 위해 쌀수매가격을 인상할 방침이다. 현재 P 17페소에 매입하고 있지만 민간 거래업체들이 25페소에 거래하고 있어 실효성이 낮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최소한 매입가격을 20페소로 올려야 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정부는 쌀 매입가격 인상이 인플레이션에 영향을 미칠 것을 우려하고 있다.
필리핀 환경천연자원부(DENR)에 따르면 플라스틱으로 인한 해양오염을 줄일 대책을 마련할 방침이다. 현재의 정책만으로 해양오염을 줄이기 어렵기 때문이다.
현재 2010년 이후 매년 800만톤에 달하는 플라스틱에 해안으로 밀려오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전체적으로 보면 매년 3190만톤의 플라스틱이 해양에 투기되고 있다.
필리핀 재개발청(PRA)에 따르면 1988년 마닐라만개발공사(MBDC)에 매각한 41헥타르 토지거래가 불법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재개발청은 1988년 해당토지를 P 4억7200만페소에 매각했다. 현재 가치는 610억페소에 달한다. 다수의 카지노와 상업건물이 들어서면서 토지가격이 올랐기 때문이다.
▲필리핀 재개발청(PRA) 로고
전문가들은 최소한 매입가격을 20페소로 올려야 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정부는 쌀 매입가격 인상이 인플레이션에 영향을 미칠 것을 우려하고 있다.
필리핀 환경천연자원부(DENR)에 따르면 플라스틱으로 인한 해양오염을 줄일 대책을 마련할 방침이다. 현재의 정책만으로 해양오염을 줄이기 어렵기 때문이다.
현재 2010년 이후 매년 800만톤에 달하는 플라스틱에 해안으로 밀려오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전체적으로 보면 매년 3190만톤의 플라스틱이 해양에 투기되고 있다.
필리핀 재개발청(PRA)에 따르면 1988년 마닐라만개발공사(MBDC)에 매각한 41헥타르 토지거래가 불법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재개발청은 1988년 해당토지를 P 4억7200만페소에 매각했다. 현재 가치는 610억페소에 달한다. 다수의 카지노와 상업건물이 들어서면서 토지가격이 올랐기 때문이다.
▲필리핀 재개발청(PRA) 로고
저작권자 © 엠아이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