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트레일리아] 2월 18일 경제동향, NEM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로 국가전력 50% 충족 가능 등
오스트레일리아 에너지시장운영기업인 내셔널일렉트릭시티마켓(NEM)에 따르면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로 국가전력 최소 50%를 충족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풍력, 태양열 등 다양한 신재생에너지로 13GW만 생산하면 되기 때문에 매우 쉬운 목표에 해당된다. 발표되지 않은 옥상 태야양광발전소 프로젝트 등을 제외하고도 연간 1.2GW만 충족시키면 되기 때문이다.
오스트레일리아 중앙은행(RBA)에 따르면 2019년 안에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전망된다. 경제전문가들은 8월로 예상하고 있지만 빠르면 6월이 될 가능성도 높은 편이다.
중앙은행은 공식적으로 기준금리를 낮추기 전에 선거결과와 예산안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경제지표를 기다릴 것으로 예상된다.
글로벌 석유대기업인 쉘(Shell)에 따르면 독일의 가정용 배터리 제조사인 존넨(Sonnen)을 인수해 오스트레일리아 국내에 투자할 계획이다. 신재생에너지 기술 부문에서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목적이다.
존넨이 현재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SA)주 주도인 애들레이드의 북부 지역에서 사업을 확장하고 있는 것도 주요인으로 분석된다.
▲존넨(Sonnen)의 가정용 배터리(출처 : 홈페이지)
풍력, 태양열 등 다양한 신재생에너지로 13GW만 생산하면 되기 때문에 매우 쉬운 목표에 해당된다. 발표되지 않은 옥상 태야양광발전소 프로젝트 등을 제외하고도 연간 1.2GW만 충족시키면 되기 때문이다.
오스트레일리아 중앙은행(RBA)에 따르면 2019년 안에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전망된다. 경제전문가들은 8월로 예상하고 있지만 빠르면 6월이 될 가능성도 높은 편이다.
중앙은행은 공식적으로 기준금리를 낮추기 전에 선거결과와 예산안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경제지표를 기다릴 것으로 예상된다.
글로벌 석유대기업인 쉘(Shell)에 따르면 독일의 가정용 배터리 제조사인 존넨(Sonnen)을 인수해 오스트레일리아 국내에 투자할 계획이다. 신재생에너지 기술 부문에서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목적이다.
존넨이 현재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SA)주 주도인 애들레이드의 북부 지역에서 사업을 확장하고 있는 것도 주요인으로 분석된다.
▲존넨(Sonnen)의 가정용 배터리(출처 : 홈페이지)
저작권자 © 엠아이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