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11월 2주차 경제동향-기업경영전략/통계/농업/무역분쟁, 정부 EU의 엄격한 검역요건에 따른 국산 과일 수출 길 봉쇄 여파로 불만 제기 등
베트남 최대 부동산기업인 빈그룹(Vingroup)에 따르면 2016년 1~9월 매출액은 34.7조동으로 전년 동기 대비 80%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세후이익은 3조940동으로 전년 동기 대비 3배나 많았다. 이미 연간 이익목표치의 103%를 달성했다. 2016년 9월 30일기준 총자산은 173조2000억동이며 주식은 41조9000억동으로 집계됐다.
부동산 시장의 활황을 보이고 있어 매출액이 급증한 것이다. 호치민과 하노이 등 주요 도시의 부동산시장에 거품이 발생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어 2016년 남은 기간동안 실적은 저조할 것으로 전망된다.
베트남 평가회사 베트남리포트(Vietnam Report)는 2016년 '베트남 우량 상장 기업 TOP10'을 발표했다. 유제품 생산업체 비나밀크(Vinamilk)가 1위를 차지했다.
이 순위의 평가지표는 2016년 상반기 재무능력, 2015년 7월부터 2016년 10월까지의 미디어 신뢰성, 성장가능성과 베트남주가지수에 미치는 영향 등이다.
▲베트남리포트(Vietnam Report) 홈페이지
베트남 농업농촌개발부(MARD)에 따르면 2016년 1~10월 주요 8개 농산물 수출액은 $US 10억달러를 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쌀의 수출은 급감했지만 커피, 채소, 해산물의 수출은 호조를 보였다.
동기간 쌀수출물량은 420만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21%, 수출금액은 19억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7% 각각 감소했다. 중국이 가장 큰 시장을 전체 수출물량의 35%를 차지하고 있지만 물량은 23%, 금액은 14% 각각 줄었다.
이 같은 상황에 따라 국가식량협회(VFA)는 2016년 쌀수출 목표치를 570만톤으로 이전 예상치인 650만톤에서 80만톤 하향조정했다.
베트남 정부에 따르면 EU의 엄격한 검역요건으로 인해 국산 과일의 수출이 봉쇄되고 있다고 불만을 제기했다. 현재 대부분의 과일은 중국으로만 수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EU는 베트남이 유럽으로 과일을 수출하려면 검역조건을 충족해야하고 검역을 위한 감독관을 훈련시키고 제품의 이력을 추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비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베트남의 수출점유율을 국가별로 보면 미국이 21%, EU가 19%, 아세안국가가 11%, 중국이 10%, 일본이 9%로 나타났다. EU로 수출은 커피가 5%, 목재가 3%, 캣슈가 1%이다.
세후이익은 3조940동으로 전년 동기 대비 3배나 많았다. 이미 연간 이익목표치의 103%를 달성했다. 2016년 9월 30일기준 총자산은 173조2000억동이며 주식은 41조9000억동으로 집계됐다.
부동산 시장의 활황을 보이고 있어 매출액이 급증한 것이다. 호치민과 하노이 등 주요 도시의 부동산시장에 거품이 발생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어 2016년 남은 기간동안 실적은 저조할 것으로 전망된다.
베트남 평가회사 베트남리포트(Vietnam Report)는 2016년 '베트남 우량 상장 기업 TOP10'을 발표했다. 유제품 생산업체 비나밀크(Vinamilk)가 1위를 차지했다.
이 순위의 평가지표는 2016년 상반기 재무능력, 2015년 7월부터 2016년 10월까지의 미디어 신뢰성, 성장가능성과 베트남주가지수에 미치는 영향 등이다.
▲베트남리포트(Vietnam Report) 홈페이지
베트남 농업농촌개발부(MARD)에 따르면 2016년 1~10월 주요 8개 농산물 수출액은 $US 10억달러를 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쌀의 수출은 급감했지만 커피, 채소, 해산물의 수출은 호조를 보였다.
동기간 쌀수출물량은 420만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21%, 수출금액은 19억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7% 각각 감소했다. 중국이 가장 큰 시장을 전체 수출물량의 35%를 차지하고 있지만 물량은 23%, 금액은 14% 각각 줄었다.
이 같은 상황에 따라 국가식량협회(VFA)는 2016년 쌀수출 목표치를 570만톤으로 이전 예상치인 650만톤에서 80만톤 하향조정했다.
베트남 정부에 따르면 EU의 엄격한 검역요건으로 인해 국산 과일의 수출이 봉쇄되고 있다고 불만을 제기했다. 현재 대부분의 과일은 중국으로만 수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EU는 베트남이 유럽으로 과일을 수출하려면 검역조건을 충족해야하고 검역을 위한 감독관을 훈련시키고 제품의 이력을 추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비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베트남의 수출점유율을 국가별로 보면 미국이 21%, EU가 19%, 아세안국가가 11%, 중국이 10%, 일본이 9%로 나타났다. EU로 수출은 커피가 5%, 목재가 3%, 캣슈가 1%이다.
저작권자 © 엠아이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