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11월 4주차 경제동향-제조업/광업/농업, 중국 정부 인도 정부와 바스마티 쌀과 바스마티 이외 쌀 등을 수입하기로 결정 등
중국 국가통계국(国家统计局)에 따르면 2016년 10월 맥주 생산량은 300만6000kl로 전년 동월 대비 0.9% 증가했다.
또한 2016년 1~10월 맥주 총 생산량은 3985만3000kl로 전년 동기 대비 1.4% 줄어들었다. 중국내 경기침체 및 글로벌 경기침체로 중국내 소비와 수출이 감소했기 때문이다.
▲ China_NBS(National Bureau of Statistics)_Homepage 05
▲국가통계국(国家统计局) 홈페이지
중국 가전대기업 추앙웨이그룹(创维集团, SkyWorth)에 따르면 2016년 3분기 매출액이 $HK 202억910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3.8% 증가했다.
매출총이익은 $HK 41억700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3.7% 늘어났으며 그룹전체 매출총이익율은 20.6%를 기록했다. 또한 동기간 그룹 총이익은 $HK 9억480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3.8% 줄어들었다.
▲ China_Sky Worth(Chuangwei)_Homepage 03
▲추앙웨이그룹(创维集团, SkyWorth)
중국 정부에 따르면 희토류의 생산이 현재속도로 진행된다면 향후 2040~2050년경 고갈되어 수입국으로 전환될 것으로 전망된다.
희토류의 채굴 및 생산을 엄격히 제한하고 있으나 여전히 희토류의 불법 채굴 및 밀수가 이뤄지고 있다. 중국은 지난 10년간 세계 희토류 수요의 대부분을 공급해 왔으나 최근 희토류 매장량이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따라서 희토류의 불법 채굴 및 밀수 단속을 통해 희토류 자원을 보호하고 자연환경을 보존할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중국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제조업 고도화 정책, 경제구조의 전환 노력에 장애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중국 국가건강가족계획위원회는 지난 11월 21일 상하이에서 개최된 WHO회의에서 공공장소내 흡연규제를 중국 전역에 실시 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2016년내 발표 및 시행할 수 있는 법적 절차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미 약 20개 도시에서 공공장소에서 금연하도록 하고 있다.
중국 국가연초전매국의 2015년도 세입은 1조1000억위안으로 2014년 대비 20% 증가했으며 중국 담배시장을 거의 독점하고 있다.
또한 중국이 세계 최대 담배 생산국이자 소비국으로서 정부의 금연정책으로 영향으로 세수뿐만 아니라 농민공 소득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 China_NHFPC(National Health and Family Planning Commission)_Homepage 2
▲중국 국가건강가족계획위원회 홈페이지
중국 정부에 따르면 인도 정부와 바스마티 쌀과 바스마티 이외 쌀 등을 수입하기로 결정했다. 중국은 세계 최대 쌀 수입국이나 인도 쌀이 품질, 건강, 안전표준 등이 미흡하다는 이유로 그동안 수입하지 않았다.
하지만 인도 정부가 중국의 쌀 시장을 오픈하기 위해 끈질기 노력했으며 지난 2016년 9월 중국 정부 관리가 인도내 쌀 가공공장을 조사해 쌀을 수입하기로 결정했다.
중국 정부는 인도 펀잡(Punjab)주, 하리아나(Haryana)주, 우타르프라데시(Uttar Pradesh)주, 마디야 프라데시(Madhya Pradesh)주에 있는 19개의 쌀 가공공장을 조사해 17개 공장으로 부터 쌀을 수입하기로 했다.
중국과 인도간 무역 규모는 2003/04년 $US 11억달러에서 2015/16년 52억7000만달러로 증가했으며 쌀 수입으로 수출입규모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 India_Basmati Rice 1
▲인도 바스마티 쌀(출처 : 인도 ROI)
또한 2016년 1~10월 맥주 총 생산량은 3985만3000kl로 전년 동기 대비 1.4% 줄어들었다. 중국내 경기침체 및 글로벌 경기침체로 중국내 소비와 수출이 감소했기 때문이다.
▲ China_NBS(National Bureau of Statistics)_Homepage 05
▲국가통계국(国家统计局) 홈페이지
중국 가전대기업 추앙웨이그룹(创维集团, SkyWorth)에 따르면 2016년 3분기 매출액이 $HK 202억910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3.8% 증가했다.
매출총이익은 $HK 41억700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3.7% 늘어났으며 그룹전체 매출총이익율은 20.6%를 기록했다. 또한 동기간 그룹 총이익은 $HK 9억480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3.8% 줄어들었다.
▲ China_Sky Worth(Chuangwei)_Homepage 03
▲추앙웨이그룹(创维集团, SkyWorth)
중국 정부에 따르면 희토류의 생산이 현재속도로 진행된다면 향후 2040~2050년경 고갈되어 수입국으로 전환될 것으로 전망된다.
희토류의 채굴 및 생산을 엄격히 제한하고 있으나 여전히 희토류의 불법 채굴 및 밀수가 이뤄지고 있다. 중국은 지난 10년간 세계 희토류 수요의 대부분을 공급해 왔으나 최근 희토류 매장량이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따라서 희토류의 불법 채굴 및 밀수 단속을 통해 희토류 자원을 보호하고 자연환경을 보존할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중국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제조업 고도화 정책, 경제구조의 전환 노력에 장애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중국 국가건강가족계획위원회는 지난 11월 21일 상하이에서 개최된 WHO회의에서 공공장소내 흡연규제를 중국 전역에 실시 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2016년내 발표 및 시행할 수 있는 법적 절차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미 약 20개 도시에서 공공장소에서 금연하도록 하고 있다.
중국 국가연초전매국의 2015년도 세입은 1조1000억위안으로 2014년 대비 20% 증가했으며 중국 담배시장을 거의 독점하고 있다.
또한 중국이 세계 최대 담배 생산국이자 소비국으로서 정부의 금연정책으로 영향으로 세수뿐만 아니라 농민공 소득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 China_NHFPC(National Health and Family Planning Commission)_Homepage 2
▲중국 국가건강가족계획위원회 홈페이지
중국 정부에 따르면 인도 정부와 바스마티 쌀과 바스마티 이외 쌀 등을 수입하기로 결정했다. 중국은 세계 최대 쌀 수입국이나 인도 쌀이 품질, 건강, 안전표준 등이 미흡하다는 이유로 그동안 수입하지 않았다.
하지만 인도 정부가 중국의 쌀 시장을 오픈하기 위해 끈질기 노력했으며 지난 2016년 9월 중국 정부 관리가 인도내 쌀 가공공장을 조사해 쌀을 수입하기로 결정했다.
중국 정부는 인도 펀잡(Punjab)주, 하리아나(Haryana)주, 우타르프라데시(Uttar Pradesh)주, 마디야 프라데시(Madhya Pradesh)주에 있는 19개의 쌀 가공공장을 조사해 17개 공장으로 부터 쌀을 수입하기로 했다.
중국과 인도간 무역 규모는 2003/04년 $US 11억달러에서 2015/16년 52억7000만달러로 증가했으며 쌀 수입으로 수출입규모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 India_Basmati Rice 1
▲인도 바스마티 쌀(출처 : 인도 ROI)
저작권자 © 엠아이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