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시리즈-글로벌 이머징마켓] (38) ‘지진의 나라’ 일본의 안전 대책(1) - 비상용축전지·지진보험
▲지난 2011년 동일본 대지진으로 폐해(출처 : japan-guide)
2011년 3월 11일 일본 도호쿠 지방에서 리히터 규모(Richter scale) 9.0의 대지진이 발생했다. 일명 ‘동일본 대지진 사건’으로 2만명에 가까운 인명피해를 일으켰던 끔찍한 재해였다.
또한 2016년 4월에도 구마모토에서 진도 7를 기록한 지진이 발생했다. 이처럼 일본은 환태평양 조산대에 위치해 있어 지진이 자주 발생하고 강진의 발생 빈도가 높은 지역이다.
결국 일본은 지진에 대한 대비책을 오랫동안 사회 다방면에 적용해왔다. 건물의 내진설계와 재해예보 및 대피망을 기본으로 현재는 ‘생활화’ 단계까지 진보하고 있다.
지금부터 일본의 지진 시 대책방안에 대해 2개의 파트로 나눠 1편에서는 ▲비상용축전지 ▲지진보험 등을, 2편에서는 재난통신 서비스로서 ▲열기구 ▲위성통신 등에 대해 각각 살펴본다.
▲비상용 축전지(출처 : 도시바)
◈ 도쿄지하철 - 지진에 의한 정전(black-out) 대비한 ‘비상용 축전지 탑재’
일본 도쿄지하철(東京地下鉄)에 따르면 2016년 5월 지진에 의한 정전에 대비하기 위해 36억엔(약 393억원)을 투자해 열차에 ‘비상용 축전지’를 탑재할 계획이다.
지진이 발생할 경우 여진 및 터널 내부의 위험성이 높기 때문에 승객이 차량에서 내릴 수 없게 된다. 또한 단선 및 전력기기 등의 파괴로 정전이 발생하면 고립될 가능성이 커진다.
도쿄지하철은 이러한 상황에 대비해 역(驛)간 차량에 장시간 갇혀있는 것을 방지하고 승객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대피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축전지를 탑재하는 것이다.
해당 축전지를 탑재할 경우 전력공급이 끊겨도 전후 역(1편)까지는 운행할 수 있다. 또한 교량 부근의 변전소에 축전지를 배치해 타사 차량에도 송전을 가능하게 했다.
▲손해보험요율산출기구 홈페이지
◈ 손해보험요율산출기구 - 2015년 ‘지진보험’ 가입률 60.2%로 전년 대비 0.9%P 상승
일본 손해보험요율산출기구(損害保険料率算出機構)에 따르면 2015년 신규화재보험 계약자 중 ‘지진보험’의 가입비율은 60.2%로 집계됐다. 지난해에 비해 0.9%P 상승한 것이다.
지난 2011년 동일본대지진과 올해 4월 구마모토지진 이후 지진보험에 대한 필요성이 더욱 높아지면서 지진보험 가입의 중요성이 재인식되고 있기 때문이다.
지진보험은 지진, 화산폭발, 쓰나미 등에 의한 주택 및 재산피해 등을 보상받는 보험상품이다. 전문가들은 지진에 따른 화재발생에 대비하기 위해 화재보험도 동시에 가입하라고 권고한다.
해당부처는 지진보험제도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2017년 1월부터 보험료를 전국평균 5.1%로 인상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향후 지진보험의 수요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 국민안전처 홈페이지
◈ 한국도 더이상 ‘지진 안전국’이 아니다...지진에 대한 체계적이고 실용적인 대안 필수
지금까지 일본의 지진 대책방안 중 물리적인 축전지 탑재와 심리적인 지진보험에 대한 사례를 각각 살펴봤다. 점차 발전되는 현대식 지진 대응책이라는 점에서 눈여겨 볼만하다.
한국도 2016년해 9월 12일 경상북도 경주시에서 규모 5.8의 지진이 발생했다. 한반도에서 발생한 역대 최대 규모의 지진으로 아직까지도 지진에 대한 피해가 속출되고 있다.
한국은 일본과 달리 지진에 대한 안전대책, 국민행동요령, 피해복구지원 등의 제도가 체계화돼 있지 않다. 앞서 다룬 비상 축전지나 지진보험(한국은 화재보험 특약임)도 마찬가지다.
현재 초보적인 대응조차 미비한 실정이라 다음 2편에서는 지진 대책의 첫째라 할 수 있는 대국민 재난통신 서비스에 대한 개발사례를 살펴보도록 한다.
저작권자 © 엠아이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