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디지털 ID 표준] ⑥국제표준화기구(SDOs) 및 표준 - ISO 산하 디지털 ID 관련 분과위원회
▲ 디지털 ID 산업의 발전 전략 [출처=iNIS]
디지털 ID(Digital Identity) 분야에서 상호운용(interoperable)이 가능하고 안전한 서비스 보장을 위한 표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다양한 표준 조직 및 산업 기관이 활동하는 이유다.
디지털 ID 표준을 개발하는 곳은 유럽표준화기구(European Standardisation Organistions), 국제표준화기구(International Standardisation Organisation, SDOs), 상업 포럼 및 컨소시엄, 국가기관 등 다양하다.
국제표준(international standard, IS)은 많은 국가 전문가들의 합의에 의해 개발된 문서다. 이렇게 개발된 문서는 전 세계적으로 공인된 국제표준화기구(SDOs) 중 하나에 의해 승인 및 발행된다.
국제표준화기구(SDOs)가 개발한 기술 사양은 기술 개발 중인 작업이나 최종적으로 국제표준으로 변환되어 재발행될 것으로 예상되는 작업을 다룬다.
국제표준이나 기술 사양보다 더 비공식적이며 어떠한 요구사항도 포함하지 않는 기술보고서. 예를 들어 정보 보고서의 데이터나 인식된 '최신 기술'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전 세계적으로 공인된 국제표준화기구(SDOs)는 세계표준화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국제전기기술위원회(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IEC), 국제전기통신연합(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Union, ITU) 등이 있다.
대부분 국제 디지털 ID와 관련된 활동은 ISO/IEC 공동기술위원회 1(ISO/IEC Joint Technical Committee 1, ISO/IEC JTC 1), 정보보안(Information Security) 내에서 이뤄진다. ISO/IEC JTC1 산하 분과위원회 활동 중 디지털 ID와 관련된 활동은 다음과 같다.
▷ISO/IEC JTC1/SC 6, 시스템간 통신 및 정보교환(Tele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systems)
▷ISO/IEC JTC1/SC 17, 개인식별을 위한 카드 및 보안장치(Cards and security devices for personal identification)
▷ISO/IEC JTC1/SC 27, 정보보안, 사이버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Information security, cybersecurity and privacy protection)
▷ISO/IEC JTC1/SC 31, 자동 식별 및 데이터 캡처 기술(Automatic identification and data capture techniques)
또한 디지털 ID 연구 범위 내에서 ISO TC 307(ISO Technical Committee 307)은 블록체인 기술 및 분산 원장 기술 분야 표준 제품군을 제공하고 있다. 이 중 일부는 이미 준비가 완료됐다.
저작권자 © 엠아이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