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
" UNDP"으로 검색하여,
23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2022년 5월부터 2024년 5월까지 월별 불고용율 통계 그래프. [출처=튀르키예 통계청(TurkStat) 홈페이지] 2024년 8월 중동 경제정책 주요동향은 정부 정책과 통계를 포함한다. 아랍에미리트 두바이(Dubai) 정부에 따르면 2024년 8월12일부터 9월30일까지 유연 근무제 시범 사업인 ‘Our Flexible Summer’를 진행한다. 튀르키예 통계청(TÜİK)에 따르면 2024년 7월 해외 무역적자액은 US$ 72억9500만달러로 전년 동기간과 비교해 41.8% 급감했다.○ 아랍에미리트 중앙은행(CBUAE)에 따르면 2024년 5월 말 기준 금 보유고는 AED 206억1900만 디르함(US$ 56억1000만달러)로 집계됐다.전년 동월 172억1900만 디르함(46억8000만 달러)와 비교해 19.7% 증가했다. 2024년 4월 203억6000만 디르함(55억4000만달러)와 대비해 1.3% 상승했다.최근 3년간 중앙은행의 금 보유고는 △2020년 128억6200만 디르함 △2019년 44억4000만 디르함 △2018년 11억3400만 디르함으로 상승세를 보였다.○ 아랍에미리트 두바이(Dubai) 정부에 따르면 2024년 8월12일부터 9월30일까지 유연 근무제 시범 사업인 ‘Our Flexible Summer’를 진행한다.두바이 정부 인적자원부(DHGR)가 주도하며 최대 15개 정부기관이 참여한다. 시범 사업 기간 동안 근무시간을 7시간 단축하며 일부 기관은 금요일 근무를 없앤다. DHGR의 정부 기관 공무원들의 실적 향상 및 유연한 근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목적이다.두바이 정부는 '두바이 삶의 질 전략 2033(Dubai Quality of Life Strategy 2033)'에 따라 시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 세계적으로 장기 거주하며 일하고 싶은 도시로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정했다.○ 아랍에미리트 두바이복합상품센터(DMCC)에 따르면 2024년 상반기 신규 등록한 기업 회원 수는 1023곳이었다. 전체 기업 회원 수는 약 2만5000곳에 달한다.2024년 상반기 두바이 내 해외직접투자(FDI)의 15%를 차지했으며 전년 동기간 11%와 비교해 상승했다. 에미레이트 국내총생산(GDP)의 7%를 차지한 것으로 조사됐다.DMCC는 두바이 내 해외 투자를 더욱 유치하는 것을 목적으로 2024년 하반기 대규모 부동산 개발 계획과 고부가 가치 산업의 전략적 확장에 집중할 방침이다.○ 아랍에미리트 비영리단체인 두바이 상공회의소(Dubai Chambers)에 따르면 중국 국영상업은행인 중국공상은행(공행) 두바이 지사(DIFC)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파트너십을 통해 두바이와 중국 양국 간 기업 및 기업인들의 협업 및 운영 지원을 향상시킬 것으로 전망된다.공행 고객들의 두바이 현지 사업체 운영 지원에 대한 협업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또한 양국간 무역 및 투자 지원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할 방침이다.○ 아랍에미리트 정부에 따르면 2024년 8월28일 에미라티 여성의 날(Emirati Women’s Day)을 기념해 여성 인권 강화를 강조했다.2022-2026 젠더 평등 전략(Gender Balance Strategy 2022-2026)은 △경제적 협력 및 기업가 정신 △금융 포용과 웰빙, 삶의 질 △안전 △글로벌 리더십 및 파트너십 4개 부문의 양성평등을 이루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유엔개발계획(UNDP)의 성평등 지수 2024(Gender Inequality Index 2024)에서 UAE는 글로벌 7위, 중동 지역 국가 1위를 기록했다. 2015년 49위에서 2022년 11위로 괄목한 성장을 이뤘다.▲ 아랍에미리트 비영리단체인 두바이 상공회의소(Dubai Chambers)는 중국 국영상업은행인 중국공상은행(공행) 두바이 지사(DIFC)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출처=두바이 상공회의소 홈페이지]○ 사우디아라비아 중앙은행(SAMA)에 따르면 2024년 6월 외환 보유 자산 SAR 1조7540억 리얄(US$ 4675억 달러)로 전년 동월 1조6620억 리얄(4429억8000만달러) 대비 5.5% 증가했다.2024년 5월 1조7530억 리얄과 대비해 0.06% 상승했다. 2022년 11월 이후 외환 보유자산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2024년 6월 순외화자산 규모는 1조6700억 리얄이었다. 2024년 6월 국내 통화량(M3)은 전년 동기간 대비 8.95% 성장했다.○ 사우디아라비아 정부에 따르면 2025년부터 국내 투자법 개정안이 발효된다. 비전 2030(Vision 2030)과 국내 투자 전략(National Investment Strategy)의 일환으로 진행됐다.기존의 투자 관련 법안을 하나로 통합된 체계로 두어 투자자들에게 투명성과 유연성, 신뢰를 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국제 투자법을 기반으로 개정된 투자법은 투자자 권리를 높이고 규제 사항의 간소화와 공정한 경쟁 등을 고려했다.○ 튀르키예 이스탄불 상공회의소(ICOC)에 따르면 2024년 7월 이스탄불 근로자 생활비 지수는 전월 대비 4.21%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이스탄불 근로자 생활비 지수는 이스탄불의 소매가격 이동을 보여주는 지표다. 7월 소매가는 4.21%, 도매가는 1.04%로 전월 대비 각각 올랐다.2024년 7월 소매가는 전년 동월 대비 72.80% 상승했으며 도매가는 전년 동월 대비 55.12%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튀르키예 통계청(TurkStat)에 따르면 2024년 5월 불고용률은 8.4%로 전월 대비 0.1포인트 히락했다. 2023년 5월과 비교해 1.1포인트 내린 것이다.고용되지 않은 인구 수는 301만1000명으로 집계됐다. 2024년 5월 15세 이상 인구 중 고용되지 않은 수는 전월 대비 2만7000명 감소했다. 2024년 5월 남성의 불고용율은 7%, 여성의 불고용율은 11%로 각각 추정됐다.○ 튀르키예 통계청(TurkStat)에 따르면 2024년 7월 소비자가격지수(CPI)는 61.78%로 전월 71.6%와 대비해 완화됐다. 2024년 5월 75.4%로 최고치를 기록하며 6월 71.6%로 완화한 것과 비교해 급격히 하락했다.2024년 7월 CPI 인플레이션은 전년 동월 대비 3.23% 상승하며 예측보다 낮았다. 2024년 6월 월별 CPI 인플레이션은 1.64%였다.정부와 중앙은행의 세수 및 가격 조치 영향으로 연간 인플레이션이 하향될 것으로 예측됐다. 정부는 인플레이션 수치가 8월에는 50까지 낮춰질 것으로 전망한다.○ 튀르키예 통계청(TÜİK)에 따르면 2024년 7월 해외 무역적자액은 US$ 72억9500만달러로 전년 동기간과 비교해 41.8% 급감했다.2024년 7월 무역 수출은 225억 달러로 전년 동기간 대비 13.8% 상승했다. 반면 2024년 7월 무역 수입은 298억 달러로 전년 동기간과 비교해 7.8% 감소했다.2024년 1월부터 2024년 7월까지 해외 무역 적자는 499억3800만 달러로 전년 동기간과 비교해 32.4% 축소됐다. 높은 인플레이션과 리라화 가치 하락으로 어려움을 겪는 국내경제가 안정을 찾아가는 것으로 추정된다.▲ 아랍에미리트 두바이복합상품센터(DMCC)의 건물 외관. [출처=DMCC 엑스(X) 계정]○ 오만 노동청(MOL)에 따르면 2024년 상반기 고용 계획 달성률은 54%로 집계됐다. 공공과 민간 부문에서 1만4074명이 취업에 성공한 것이다.2024년 상반기 공공 부문의 고용 인원은 6963명으로 2024년 목표 달성치인 1만명에서 69.63%를 달성했다. 2024년 상반기 민간 부문의 고용 인원은 7111명으로 2024년 목표 달성치인 1만6000명에서 44.44%를 달성한 것으로 조사됐다.직접 고용과 더불어 노동청은 취업과 연관된 교육 프로그램도 진행했다. 공공 부문의 교육을 완수한 사람은 305명, 민간 부문의 교육은 1107명으로 각각 집계됐다.○ 오만 통계청(NCSI)에 따르면 2024년 5월 말 기준 무역수지 OMR 29억8900만 리알(US$ 77억6000만 달러)로 집계됐다.2023년 동기간 무역수지인 29억8600만리알과 비교해 근소하게 증가했다. 수출량이 크게 늘었음에도 수입 증가분이 상쇄한 것으로 조사됐다.2024년 5월말 기준 총 상품 수출은 96억8900만 리알(251억6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간 대비 5% 늘었다. 2024년 5월 말 기준 중계무역은 7억700만 리알로 전년 동기간 대비 8.1% 증가하며 긍정적인 성장률을 기록했다.○ 쿠웨이트 통계청(CSB)에 따르면 2024년 6월 도매가격 지수는 149.2로 2023년 6월 146.2와 비교해 2.1% 상승했다.국내 생산품 중 농업, 임업, 어업 생산품의 도매가는 4.4% 올랐다. 곡물과 가축 생산품 가격은 4.5% 확대된 것으로 조사됐다.2024년 6월 수입품의 가격은 2.8% 상승한 반면 국내 생산품 가격은 8.1% 급상승해 도매가격 지수에 영향을 줬다.
-
2024-08-31▲ 아랍에미리트 항공사 모기업인 에미레이트 그룹(The Emirates Group)은 2024년 8월28일 에미라티 여성의 날(Emirati Women’s Day)을 맞아 그룹 내 다양한 직군에서 활약한 여성 근로자들의 역할을 강조했다. [출처=에미레이트 그룹 홈페이지]2024년 8월 4주차 아랍에미리트 경제는 통계와 기업경영, 유통을 포함한다. 아랍에미리트 디지털 은행인 알 마리야 커뮤니티 은행(Mbank)에 따르면 라스 알 카이마 경제자유지대(RAKEZ)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아랍에미리트 알루미늄 복합기업인 에미리트 글로벌 알루미늄(EGA)에 따르면 2024년 상반기 순이익은 AED 18억4000만 디르함(US$ 5억 달러)로 집계됐다.○ 아랍에미리트 보안 솔루션 및 인쇄기업인 E7 그룹(E7 Group)에 따르면 2025년부터 디지털 납세필 인지 생산을 시작할 계획이다.가동을 시작한 이후 생산량을 점차적으로 확장할 예정이다. 전체 투자금액은 AED 1억8200만 디르함(US$ 4955만 달러)이다.기술을 활용한 보안 솔루션에 대한 글로벌 수요가 높아지며 기술 활용도와 생산 능력을 높여 새로운 시장 진출에 집중할 방침이다.참고로 E7 그룹은 은행, 정부, 통신사 등 산업 분야에 기술 보안 시스템을 활용한 제품인 은행 카드, 통신사 카드, 국가 ID 카드, 여권 등을 생산하고 있다.○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공항 자유지역(ADAFZ)에 따르면 새로운 창고 시설을 건설하기 위해 로지스틱 기업인 MSM 로지스틱(MSM Logistic)과 파트너십을 맺었다.건설 위치는 알 팔라 구역(Al Falah District)으로 2만8623평방미터 규모다. 국내 무역 및 경제 개발을 향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내 및 국제 기업체들에게 운송 인프라시설을 제공해 운영 유연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아랍에미리트 국영 글로벌 투자회사인 무바달라 투자(Mubadala Investment Company)에 따르면 싱가포르 아시아 투자회사인 CBC 그룹(CBC Group)과 파트너십을 맺었다.벨기에 제약회사인 UCB 제약(UCB Pharma)의 지분 100%를 획득하면서 중국 시장 플랫폼을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무바달라는 UCB의 중국 대륙 내 신경학과 알러지 포트폴리오, 주하이 제조시설 등을 함께 인수할 계획이다. 2023년 UCB의 중국 제약업 순매출은 1억3100만 유로로 집계됐다.관세 문제와 의무적인 반독점 금지 허가 등의 조건을 충족해야 하기 때문에 2024년 4분기 계약이 완료될 것으로 예상된다.▲ 아랍에미리트 국영 글로벌 투자회사인 무바달라 투자회사(Mubadala Investment Company)는 싱가포르 아시아 투자회사인 CBC 그룹(CBC Group)과 함께 벨기에 제약회사인 UCB 제약(UCB Pharma)의 지분 100%를 획득했다. [출처=무바달라 투자회사 엑스(X) 계정]○ 아랍에미리트 정부에 따르면 2024년 8월28일 에미라티 여성의 날(Emirati Women’s Day)을 기념해 여성 인권 강화를 강조했다.2022-2026 젠더 평등 전략(Gender Balance Strategy 2022-2026)은 △경제적 협력 및 기업가 정신 △금융 포용과 웰빙, 삶의 질 △안전 △글로벌 리더십 및 파트너십 4개 부문의 양성평등을 이루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유엔개발계획(UNDP)의 성평등 지수 2024(Gender Inequality Index 2024)에서 UAE는 글로벌 7위, 중동 지역 국가 1위를 기록했다. 2015년 49위에서 2022년 11위로 괄목한 성장을 이뤘다.○ 아랍에미리트 디지털 은행인 알 마리야 커뮤니티 은행(Mbank)에 따르면 라스 알 카이마 경제자유지대(RAKEZ)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파트너십을 통해 RAKEZ에서 운영하고 있는 모든 기업들은 Mbank의 기업 플랫폼에서 48시간 이내로 디지털 은행 계좌를 개설할 수 있다.Mbank의 통합 디지털 플랫폼 내의 다양한 서비스도 쉽게 이용할 수 있다. 이번 협업은 기업에 맞춘 다양한 은행 서비스 수요를 충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참고로 RAKEZ 내의 산업 분야는 50개 이상으로 자유구역과 비자유구역 기업 2만3000개 이상이 운영되고 있다.○ 아랍에미리트 항공사 모기업인 에미레이트 그룹(The Emirates Group)에 따르면 2024 회계연도 전체 인력 중 여성 비율은 38%로 집계됐다.2024년 8월28일 '에미라티 여성의 날(Emirati Women’s Day)'을 맞아 그룹 내 다양한 직군에서 활약한 여성 근로자들의 역할을 강조했다.2023 회계연도 그룹의 여성 고용 수는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그룹의 중요 직책에 속한 여성 수는 200명 이상으로 조사됐다.○ 아랍에미리트 항공기 리스사인 두바이 항공우주 엔터프라이즈(DAE)에 따르면 다수 기업체와 US$ 11억 달러에 항공기 23대를 임대하는 계약을 체결했다.총 9개국 항공사 13곳과 계약을 맺었다. 항공기의 평균 기체연수는 3.4년이며 평균 리스 기간은 8.8년이다. 임대한 기체의 91%는 협동기이며 차세대 기술을 탑재한 기체는 86%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2024년 말까지 모든 항공기 리스 계약이 완료될 것으로 예상된다. 코로나19 팬데믹이 종료되며 항공여객이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며 항공사의 기체 도입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아랍에미리트 알루미늄 복합기업인 에미리트 글로벌 알루미늄(EGA)에 따르면 2024년 상반기 순이익은 AED 18억4000만 디르함(US$ 5억 달러)로 집계됐다.2023년 상반기 순이익인 19억6000만디르함(5억3300만달러)과 비교해 감소했다. 2024년 상반기 EBITDA는 42억 디르함(11억4000만 달러)로 2023년 상반기 41억5000만 디르함(11억3000만 달러)와 대비해 근소하게 상승했다.2024년 상반기 알루미늄 부문 EBITDA 마진율은 27.5%로 2023년 상반기 26.9%와 비교해 상승했다.
-
▲ 연례회의에 참석한 패널 [출처 = ISO]지난 9월18~22일 5일간 2023 ISO 연례회의(Annual Meeting)가 오스트레일리아 브리즈번(Brisbane)에서 개최됐다. 올해 국제표준화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가 개최한 연례회의 에디션의 주제는 '글로벌 니즈 충족(Meeting global needs)'이다.1주일 동안 개최된 연례회의는 오늘날 지구가 직면한 가장 시급한 문제에 대해 건설적인 대화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참가자들이 협력 솔루션을 찾을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연례 회의는 다양한 정부, 업계 및 시민단체 대표 뿐 아니라 ISO 커뮤니티 전문가와 리더가 가장 큰 트렌드 및 과제에 대해 생각을 공유하기 위한 목적으로 참여했다.이번 회의는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순환경제(Circular economy), 청정 에너지(Clean energy), 사이버보안(Cybersecurity), 스마트 농업(Smart farming) 등을 중심으로 논의가 진행됐다.3일차 연례회의의 주제는 지속 가능성과 무역(Sustainability and trade) 이다. 이날 연례회의는 △정책 분야 표준(Standards in policy) △도시를 탄력적으로 만들기(Making cities resilient) △지속 가능성을 위한 동맹 구축(Forging alliances for sustainability) △무역에 대한 신뢰(Trust in trade) △고객 경험(The customer experience) 등을 중심으로 토론이 이뤄졌다.3일차 지속 가능성을 위한 동맹 구축(Forging alliances for sustainability) 세션은 ISO의 현재 및 미래 전략적 파트너의 목소리를 모아 보다 공평하고 지속 가능한 미래로 전환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국제 표준의 고유한 가치와 ISO 단독으로 할 수 없는 이유에 대한 토론이 진행됐다.이번 세션은 10:00~11:30분까지 개최됐으며 참석 패널은 △옌스 하이데(Jens Heiede, 덴마크 표준(DS) 최고경영자(CEO)) △파비엔 미쇼(Fabienne Michaux, UNDP SDG Impact 이사) △아니카 안드레아슨(Annika Andreasen, 스웨덴표준협회(SIS) CEO) △후안-파블로 다빌라(Juan-Pablo Davila, UNIDO 산업 개발 책임자) 등이다.참석자들은 2030년까지 지속가능발전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를 진전시키기 위한 진전을 방해하는 자원 제한, 용량 장애물 등을 포함해 복잡한 요소들이 얼켜 있다고 강조했다.보다 지속 가능한 길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긴급한 조치, 혁신적인 솔루션 및 협업에 대한 새로운 약속이 필요하다, 따라서 참석자들은 파트너십 구축이 어떻게 UN의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 달성을 가속화 할 수 있는지 탐구했다.UNDP와 ISO는 글로벌 개발 과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국제 표준의 역할에 대한 의지를 표명하는 의향서에 서명했다. UNDP 임팩트 이사인 파비엔 미쇼는 새로운 UNDP/ISO 파트너십을 강조했으며 동맹 구축이 핵심이라고 설명했다.특히 참석자들은 공동의 노력이 어떻게 글로벌 규모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주도할 수 있는지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는 세션이 됐다.
-
2023-07-10▲ 유엔개발계획(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UNDP) 카자흐스탄 홈페이지유엔개발계획(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UNDP) 에 따르면 지난 6월30일 카자흐스탄 아스타나에서 진행중인 기업과 인권 프로젝트 첫 번째 결과를 발표했다.프로젝트 결과를 보면 카자흐스탄이 첫 번째 국가 기본 평가에서 인권보호에 관한 기존 기업 정책 및 국가 법률과 수많은 격차가 드러났다.정부기관, 기업, 시민사회 대표 등을 대상으로 6회의 인터뷰를 진행했다. 또한 4개의 포커스 그룹을 대상으로 데스크 분석 및 현장조사를 포함해 다양한 방법론을 활용했다.비즈니스 관행을 분석하기 위해 278개 기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60개의 기업 웹사이트를 조사하고 모니터링을 잔향했다. 기업 인권 벤치마크 방법론을 사용해 UN 지침이 비즈니스 정책에 포함된 정도를 평가했다.전반적으로 UN 전문가들은 UN 이행 원칙(United Nations Guiding Principles, UNGP)을 구현하기 위한 3가지 기본 영역과 관련된 20개 이상의 개별 권장 사항을 공식화했다.UNDP와 일본 정부가 주도하는 글로벌 이니셔티브의 일부인 기업과 인권 프로젝트는 17개국을 다상으로 한다. 책임 있는 기업 표준을 촉진하고 시민권 보호를 강화하기 위한 목표를 수립했다.카자흐스탄 기업이 인권에 관한 명시적인 정책을 수립, 수용, 시행하도록 권장헌다. 20개 이상의 권고사항 중에는 직장 내 성희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동법 시행, 출산 휴가 중인 자영업자에게 현금 수당을 보장하는 법안 등이 채택됐다.아스타나에서 개최된 원탁 UN 인권이사회는 모든 회원국이 UNGP를 준수하기 위한 국가 행동 계획을 개발할 것을 촉구했다. 또한 결정 전 국가 기본 평가를 실시해 비즈니스의 부정적인 영향을 조사하고 가장 시급한 인권 문제가 무엇인지 식별했다.UN은 모든 이민자, 노동자, 그 가족의 권리 보호에 관한 협약과 2014년 강제 노동 협약에 관한 의정서 등을 비준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글로벌 경제 대국 중 기업 관련 인권법을 채택한 국가는 노르웨이, 독일, 영국, 프랑스 등이다. 기업활동이 인권에 미치는 잠재적인 부정적 영향을 식별, 예방, 고려하도록 의무화하고 있다.참고로 2011년 UN 인권이사회에서 만장일치로 승인된 UNGP는 국가의 인권 보호 의무, 인권 옹호에 대한 기업의 책임, 권리가 침해될 경우 구제책에 대한 접근성을 뒷받침하는 국가 및 기업을 위한 일련의 권장 사항 및 규칙을 나타낸다.UNDP(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는 뉴욕에 본부를 두고 있는 UN 기구로 국가의 빈곤 퇴치, 지속가능한 경제 성장, 인간의 개발 달성 등을 돕는 역할을 맡고 있다.
-
2023-05-11▲ 이란 표준산업연구소(Institute of Standards and Industrial Research of Iran, ISIRI) [출처=홈페이지]이란 표준산업연구소(Institute of Standards and Industrial Research of Iran, ISIRI)에 따르면 토양보호를 위한 671개의 표준을 설정했다. 이와 관련된 26개의 다른 표준도 마련했다.환경부(Department of Environment, DoE)에 따르면 토양 관련 표준은 220개, 비료 관련 표준은 89개, 퇴비 관련 표준은 18개, 농약 관련 표준은 322개, 성장 개선제 관련 표준은 19개, 독성 물질 관련 표준은 3개 등으로 총 671개에 달한다.토양오염방지법(Soil Protection Law, SPL)에 따르면 표준산업연구소(ISIRI), 환경부(DoE), 보건부(Ministry of Health, MoH), 농업부(Ministry of Agriculture, MoA)가 공동으로 표준화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이란 국내의 토양 품질은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농업 및 천연자원 분야의 비옥한 토양은 파괴와 오염으로부터 보호돼야 하기 때문이다.미래에 식량안보에 문제가 발생생하지 않으려면 토양을 철저하게 관리해야 한다. 침식, 염분과 같은 오염, 파괴로부터 토양을 보호하면 식량안보를 유지할 수 있고 건강한 사회를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2018년 유엔개발계획(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 UNDP)에 따르면 전 세계에서 240억 톤(t)의 토양 침식이 발생하고 있다. 이중 이란에서 발생하는 토양침식은 20억 톤으로 전 세계의 약 12분의 1에 해당된다.이란 국토는 세계 육지의 1%로 토양 침식률이 전 세계 평균보다 8배나 높은 셈이다. 심각한 황폐화와 토양 침식으로부터 고통을 받고 있다.정부는 토양 1센티미터를 만들기위해 약 800년이 소요되는 것으로 추정한다. 정부와 국민들은 전 세계 평균의 2배나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
-
나이지리아 다국적 에너지기업인 사하라그룹(Sahara Group)에 따르면 청정에너지와 저탄소 솔루션으로 빠르게 사업을 전환하기 위해 사업 운영 과정을 조정하고 지속해왔다.2019년 사하라그룹은 유엔개발계획(UNDP)과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바 있다. 유엔(UN)이 추진하고 있는 지속가능발전 목표 세븐(7)에 따라 경제적이고 지속가능한 청정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함이다.나이지리아 석유생산업체인 아이테오(Aiteo Eastern E&P Co. Ltd.)에 따르면 다국적 석유기업인 로얄 더치 쉘(Royal Dutch Shell)의 서아프리카국가 내 은행 계좌 접근을 제한했다.분쟁과정에서 법원이 위와 같은 결정을 내렸다. 양사는 6년 전 송유관 매매계약을 체결했는데, 송유관의 상태에 대해 법적 분쟁을 벌이고 있다.나이지리아 증권거래위원회(SEC)에 따르면 은행 및 금융업계 고위 임원들이 주축인 차타드은행연구소(CIBN)와 협력해 젊은 세대를 지도할 계획이다.젊은 은행가 및 금융인들에게 금융 산업의 지속가능성, 안전성, 건전성 등에 대해 멘토링한다. 이를 통해 젊은 세대가 업계에서 도전할 수 있는 길이 열릴 것으로 전망된다. ▲차타드은행연구소(CIBN) 홈페이지
-
2021-02-24나이지리아 다국적 에너지기업인 사하라그룹(Sahara Group)에 따르면 청정에너지와 저탄소 솔루션으로 빠르게 사업을 전환하기 위해 사업 운영 과정을 조정하고 지속해왔다.2019년 사하라그룹은 유엔개발계획(UNDP)과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바 있다. 유엔(UN)이 추진하고 있는 지속가능발전 목표 세븐(7)에 따라 경제적이고 지속가능한 청정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함이다.사하라그룹은 아프리카, 아시아, 유럽, 중동 등에서 사업 전반에 걸쳐 상기 목표와 지속가능한 청정에너지 공급을 실현하기 위해 기술 활용을 강화해왔다.환경보호와 순환경제 활성화를 위해 기업 내외의 폐기물 재활용 활동을 지속해왔다. 예를 들어 타이어를 재화용하는 사이클링 직업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2019년 아프리카 석유 후방산업 부문의 범아프리카 단체인 아프리카정유유통협회(ARA)의 표준을 준수하기로 약속했다. 환경친화적인 연료를 공급하기 위함이며 LPG 형태의 청정에너지 공급에 대한 투자를 확대했다.▲사하라그룹(Sahara Group) 로고
-
미국 석유기업 쉐브론(Chevron)의 인도네시아법인에 따르면 2018년 4월 석유관리기구(SKKMigas)로부터 신규 시추작업에 대한 승인을 받았다.해당 유전지대는 인도네시아에서 원유생산량이 가장 많은 지역인 리아우(Riau Islands)의 로칸(Rokan) 블록이다. 6개 필드에 22개 시추지점이 선정돼 있다.인도네시아 통계청(BPS)에 따르면 2017년 인간개발지수(HDI)는 70.81포인트로 전년 대비 0.63포인트 상승된 것으로 나타났다.인간개발지수(HDI)는 유엔개발계획(UNDP)에서 매년 국가별 ▲소득수준 ▲교육수준 ▲평균수명 등을 기준으로 삶의 질을 측정하는 지수다.인도네시아 금융감독청(OJK)에 따르면 2018년 1분기 국내 '이슬람금융'의 자산·대출 실적이 모두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이슬람금융은 이슬람 율법인 샤리아(sharia)에 맞춰진 은행시스템이다. 무슬림 고객이 대부분이지만 최근 비무슬림 고객들의 수요도 늘고있다.▲금융감독청(OJK) 로고
-
필리핀 투자청(BOI)에 따르면 국내 기업의 33.6%는 포용적사업(IB)에 대한 관심이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포용적사업은 저소득 계층에게 도움이 되는 지속가능한 사업모델을 말한다.국내 기업의 26.9%는 유통채널, 22.9%는 공급자로서 가난한 사람들과 비지니스에 관심이 없다. 즉 대부분의 국내 기업들은 포용적 사업에 대한 관심이나 이해도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필리핀 통상산업부(DOTI)에 따르면 일본과 건설노동자 훈련과 고용에 대한 협약을 체결한 것으로 드러났다. 필리핀과 일본 모두 숙련된 건설노동자가 부족하기 때문이다.이번 협약에 따라 일본 정부는 필리핀 정부가 훈련시킨 건설노동자의 30%를 자국에 일을 할 수 있도록 허용할 방침이다. 나머지 70% 훈련된 인력을 국내에서 취업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필리핀 통상산업부(DOTI) 로고필리핀 공공사업도로부(DPWH)에 따르면 마닐라와 라구나호수를 연결하는 도로건설에 500억페소를 투자할 계획이다. 이 도로프로젝트는 아시아개발은행(ADB)에 자금을 지원해 지난 10월에 타당성 조사를 진행했다. 또한 2017년 11월 1일 자금융자 협약이 체결됐다.
-
우즈베키스탄 정보통신기술개발부에 따르면 유엔개발계획(UNDP)과 공동으로 효과적인 공공 행정관리 및 디지털화 개발에 대한 지원 프로그램을 시작할 계획이다.새로운 계획은 2017년 10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프로그램에 필요한 자금은 총 US$ 120만달러로 추정된다.▲정보통신기술개발부 홈페이지유럽부흥개발은행(EBRD)에 따르면 2017년 10월 18일 우즈베키스탄 정부가 추진하는 2개 프로젝트에 대한 재정지원을 승인했다.우즈베키스탄에 대한 최초의 재정적인 지원으로 대외 경제활동을 위해 US$ 1억달러 규모의 기금도 개설한다. 1억달러 중 중소기업 프로젝트에 7000만달러, 무역분야 지원을 위해 3000만달러를 각각 사용할 예정이다.우즈베키스탄 정부에 따르면 2017~2021년간 양봉업계를 발전시킬 계획이다. '양봉업계 발전 프로그램'을 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 대통령이 승인했다.현재 양봉업계에서는 1만2000개가 넘는 업체가 종사하고 있다. 2016년 1만2000톤의 벌꿀을 생산해 전년 대비 생산량을 20% 확대했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