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
" 건설 자재 공급 부족 및 가격 상승"으로 검색하여,
21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4-08-14▲ 미국 존디어(John Deere)[출처=홈페이지]○ 미국 트랙터 제조업체 존디어(John Deere)는 2026년까지 멕시코로 생산 시설을 이전하기 위해 600여 명의 공장 생산 직원을 해고했다.일리노이주 이스트몰린 공장에서 약 280명의 직원을 해고했고 아이오와주 데이븐포트 공장에서 230명을 추가 해고했다.○ 미국 글로벌 자동차업체 지엠(GM)은 2024년 2분기 렌탈 회사에 대한 차량 판매 감소와 CDK의 사이버 해킹 사고로 자동차 판매 성장세가 둔화됐다. 전체 판매량은 69만6086대이고 전년 동기 대비 약 19% 증가에 비해 약 0.6% 확대됐다.○ 미국 수영장 용품 업체 풀포크(Poolcorp)는 2024년 전년 대비 20% 감소된 6만 개의 주거용 지하 수영장의 건설을 추정했다. 2009년 금융위기 때의 대불황에 건설된 5만4000개보다 적은 것으로 평가된다.○ 미국 전국자영업연맹(NFIB)에 따르면 2024년 6월의 중소기업 낙관지수가 1포인트 상승한 91.5를 기록해 2023년 12월 이후 최고치 기록했다.건설, 운송, 소매 부문의 노동력 시장이 부족하며, 약 16%의 기업이 비숙련 노동부문에서 미충원 상태이고 2024년 5월보다 2포인트 증가했다.○ 독일 보쉬(Bosch)는 미국 밀위키(Milwaukee)에 위치한 존슨 컨트롤즈 인터내셔널(Johnson Controls International)로부터 난방, 환기 및 공조 자산을 US$80억 달러에 인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보쉬는 냉난방공조시스템(HVAC) 시장에서 세계적 선두 위치를 달성하고 균형적인 포트폴리오를 확보하기 위한 목적이다. HVAC 시장은 2030년까지 40%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며 보쉬의 HVAC 시장 매출은 두 배 증가하여 연간 약 90억 유로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상원의 2025년 국방수권법(NDAA) 초안에는 미국에서 DJI 사업을 제거할 '중국 공산당 드론 대응법'이 포함되지 않았다.모든 DJI 드론 판매를 본질적으로 금지했을 이 규정은 미국 하원을 통과했다. 상원의 결정은 DJI 금지령에 반대하는 6000개 이상의 공공 안전 기관의 영향을 받았다.10만 명의 드론 조종사가 하원과 상원 의원에게 이 법에 반대 의사를 표명했다. 일부는 DJI 드론이 제공되지 않을 때 최대 67%의 미국 소규모 드론 사업체가 문을 닫을 수 있다고 언급했다.아직 상원 전체 투표를 거쳐야 결정된다. 그런 다음 하원과 상원의 군사위원회가 양 버전 간 차이점을 해결해야 한다. 의회와 상원이 NDAA에 대한 최종 승인을 내리면 서명을 위해 대통령에게 송부된다.○ 미국 GM은 해당 분기 동안 북미 딜러에게 90만3000대의 차량을 판매했으며 2023년 같은 기간보다 7만 대가 늘어난 수치이다.해외 부문 판매량은 2023년 같은 기간보다 약 14만 대 감소했다. GM은 소형 SUV와 같은 저가 차량에서 더 많은 비중을 차지했기 때문에 가격이 약간 하락했으나 고가의 픽업트럭과 대형 SUV의 판매가 호조를 보이는 것으로 평가된다.○ 캐나다 캘거리(Calgary)는 손상된 수도관의 수리를 마칠 때까지 건설업체에 보우 강(Bow River)으로부터 물을 공급하도록 지시했다.웨스트베이커파크 보트 선착장(West Baker Park boat launch) 및 오그덴 보트 선착장(Ogden boat launch)의 부지에 물공급 시설을 오픈했다.○ 캐나다 글로벌 비료 제조업체 뉴트리엔(Nutrien)에 따르면 지난 몇 년 동안 변동성이 심했던 비료 수요가 안정되기 시작해 10년 평균보다 낮은 비료 가격이 형성됐다고 밝혔다.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전 세계 비료 출하가 중단되고 기록적인 가격 상승에도 수요 급락으로 2024년 1분기 수익은 71% 급락했고 주가는 2022년 4월보다 50% 이상 하락했다.○ 캐나다 연방정부는 구매자에게 설탕, 소금, 칼로리 및 포화 지방 함량이 높은 식품에 대해 경고하는 새로운 식품 라벨링 시스템을 채택할 예정이다.성인의 25%가 비만인 칠레는 2016년 식품 라벨링 시스템을 채택했으나 미국은 이와 같은 국가 식품표시정책을 "보호주의"라고 비난했다.○ 캐나다 영양제 제조업체 바이탈리티프로덕츠(Vitality Products)에 따르면 2024년 1분기에 65%의 순손실 감소 및 72%의 제품 판매 총이익률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일반판매비용은 48% 절감했고 일반 및 관리 비용은 22% 절감했다. ○ 캐나다 특수 산업 기계 제조업체인 파이로제네시스 캐나다(PyroGenesis Canada)는 C$1 달러로 미국 알루미늄 폐기물 재활용 기업 드로스리테(Drosrite)에 대한 전권을 인수했다. 지속 가능한 금속을 회수하고 생산 최적화를 통해 원자재 효율 극대화 및 광물의 가용성을 향상하기 위한 목적이다.○ 멕시코 포드 멕시코(Ford Mexico)는 멕시코 주 톨루카(Toluca, State of Mexico)의 페가소 다이나믹 센터(Pegaso Dynamic Center)에서 공급업체 품질의 날을 개최했다고 밝혔다.품질 기반의 비지니스를 추진하려는 공급업체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품질 측면에서 상당한 개선을 달성한 6개 공급업체에 우수 협력업체 상을 수여했다. 현장에는 제조, 제품 개발, 구매, 공급업체 기술 지원(STA) 등의 분야에서 미국과 멕시코 출신의 40여 명의 포드측 리더와 70개 공급업체를 대표하는 100명 이상이 참석했다.참석자들은 올해의 제품 개발 우선순위, 2024년 목표 성과, 글로벌 기술 및 비즈니스 센터(GTBC)가 제공하는 시설에 대해서도 배울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 덴마크 공조 부품 기업 댄포스 그룹(Danfoss Group)은 멕시코의 아포다카(Apodaca) 공장을 4만m² 확장했다고 밝혔다.멕시코와 미주 지역에서의 공급망 탄력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이다. 아포다카 공장의 확장을 통해 10만개의 압축기 장치, 160만개의 압력 센서 및 가연성 냉매용 A2L 누출 감지 센서의 연간 생산 용량을 확보했다. 댄포스 그룹은 2030년까지 멕시코의 탈탄소화, 에너지 효율성 및 지속 가능성 여정에 함께 하며 온실가스 배출량을 35%까지 줄이는 목표에 동참할 방침이다.○ 멕시코 시장조사기관 피엠엠아이 비지니스 인테리전스(PMMI Business Intelligence)에 따르면 포장 분야의 주요 기업들인 유니레버(Unilever), 하이네켄(Heineken), 머크(Merck) 등의 포장소비재(CPG) 기업들이 멕시코에 대한 투자 계획을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와인, 맥주, 주류 생산업체인 컨스텔레이션 브랜드(Constellation Brand)가 베라크루스에 있는 새로운 양조장에 US$130억 달러 투자를 곧 완료할 예정이다. 또한 컨스텔레이션 브랜드는 나바(Nava)와 오브레곤(Obregon) 양조장에 대한 용량 확장을 위해 추가로 3억2300만 달러를 투자할 예정이다.하이네켄은 유카탄의 카나신(Kanasin, Yucatán)의 새로운 양조장 건설에 MX$5억1100만 멕시코페소를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다. 2024년 초에 건설이 시작되었으며 멕시코에서 하이네켄의 8번째 양조장이다.○ 콜롬비아 항공사 아비안카(Avianca)는 향후 15년 동안 103대의 A320neo 항공기에 휠과 브레이크를 공급받기 위해 콜린스에어로스페이스(Collins Aerospace)와 계약했다. 휠과 브레이크에 대한 전체 수명주기 지원이 포함되어 유지 관리 감소 및 운영 효율성 향상이 기대된다.○ 인도 2륜차 제조기업 바자즈오토(Bajaj Auto)에 따르면 브라질 마나우스(Manaus)에 새로운 생산 공장을 설립하여 100개 이상의 국가에서 차량 판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2023년 건설을 시작해 2025년 가동될 것으로 예상되며 제조 시설의 면적은 9600평방미터이고 단일 교대 기준으로 연간 2만 대의 생산 능력을 구비한다. ▲ 김봉석 기자[출처=iNIS]
-
2024-08-10▲ 프랑스 항공기 제조업체인 에어버스(Airbus)의 항공기 이미지 [출처=홈페이지]2024년 8월 1주차 프랑스 경제동향은 중앙은행의 각종 통계자료, 암호화폐 시장에 대한 규제 정책, 일부 상업은행의 인수합병, 민간 부문 고용 지표, 새로운 원자로 개발, 항공기 제조업체의 실적, 비행택시의 운항 계획 등을 포함한다.○ 중앙은행(Banque de France)은 2024년 상반기 신규 주택 대출액은 473억 유로로 전년 동기 대비 36% 감소했다고 밝혔다. 2014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이며 높은 대출 이자율 및 주택가격이 주요인으로 분석된다.신규 주택 대출 이자율은 2024년 1월 4.17%에서 6월 3.70%로 하락했지만 수수료와 보험를 추가로 납부해야 한다. 대출 기간이 20년 이상이고 수수료 등 제반 비용을 포함하면 이자율은 4.79%에서 4.62% 수준이다.2024년 상반기 가계의 구매력은 2022년 1분기와 비교하면 2~2.5배 낮아졌다. 은행이 주택 대출을 늘리고자 하지만 높은 주택가격으로 구매자의 의욕이 떨어진 것도 영향을 미쳤다. 여름 휴가철인 7~8월은 전통적으로 주택 구매 열기가 낮다.○ 중앙은행(Banque de France)에 따르면 2024년 상반기 무역적자는 400억 유로로 2023년 하반기 450억 유로에 비해 감소했다. 에너지와 무기 수출이 호조를 보였기 때문이다.2024년 상반기 수입액은 2023년 하반기에 비해 1.2% 축소된 반면 동기간 수출액은 0.4% 확대됐다. 수출은 의약품, 향수, 화장품 분야가 좋은 실적을 보였다.2024년 상반기 서비스 분야의 무역수지는 260억 유로 흑자를 기록했다. 금융산업의 흑자는 10년 내 최고치를 기록했다. 2024년 상반기 경상수지는 80억 유로 적자로 2023년 하반기 110억 유로에 비해 대폭 개선됐다.○ 금융 규제기관인 금융시장감독청(Autorité des Marchés Financiers, AMF)은 2024년 7월1일부터 암호자산 서비스공급자의 앱을 허용하고 있다. 2024년 12월30일부터 유럽연합(EU)가 암호화 자산 시장 규정(MiCA)을 적용하므로 이에 대비하기 위한 목적이다.MiCA는 암호화폐의 거래, 거래 플랫폼의 운영, 고객 관리 등에 관한 규제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암호자산 서비스 공급자는 MiCA의 규정을 준수해야 한다. 특히 AMF는 자금세탁방지(AML)과 테러자금조달방지(CTF) 관련 조치를 요구한다.EU에서 암호자산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려면 2026년 7월까지 MiCA 인증을 획득해야 한다. 새로운 규정은 암호자산 산업의 신뢰와 보안을 증진시키기 위한 목적에서 제정됐다.○ 국립통계경제연구소(INSEE)는 2024년 7월 인플레이션은 2.3%로 6월 2.2%에 비해 소폭 상승했다고 밝혔다. 7월 에너지 가격이 8.5% 상승한 것이 주요인으로 분석된다. 6월 에너지 가격은 4.8% 인상에 그쳤다.소비자가격지수(CPI)의 절반 이상을 커버하는 서비스 가격은 7월 2.5% 상승으로 6월 2.9%에 비해 위축됐다. 식품 가격은 0.5% 인상에 그쳤지만 다른 식품은 0.1%로 높지 않았다. 담배 가격이 8.7% 오르는 동안 공산품은 0%로 변화가 없었다.○ 국립통계경제연구소(INSEE)에 따르면 2024년 2분기 민간 부문 고용은 전분기 대비 0.0% 상승으로 변화가 없었다. 2024년 1분기 고용은 전분기 대비 0.3% 늘어났지만 2분기 들어서 하락했다.○ 우정사업자인 라 포스트(La Poste)는 2024년 상반기 순이익이 4억9500만 유로로 전년 동기 대비 7% 증가했다고 밝혔다. 거시 경제지표가 좋지 않았음에도 우편 물량이 줄어들지 않았기 때문이다.2024년 상반기 영업이익은 11억2700만 유로로 전년 동기 대비 3.4% 줄어들었더. 서비스, 우편, 소포 사업에서는 4200만 유로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상반기 동안 우편물은 전년 동기 대비 10.3% 축소됐다.○ 최대 상업은행 중 하나인 소시에테 제네랄(Société Générale)은 영국과 스위스 은행 사업부를 스위스 UBP(Union Bancaire Privée)에 €90억 유로에 매각한다고 밝혔다. UBP는 50년 역사를 자랑하며 피투자펀드를 운용하는 프라이빗 은행이다.매각 대상은 영국 SG Kleinwort Hambros와 스위스 Société Générale Private Banking Suisse를 포함한다. 소시에테제네랄은 수익성인 높은 사업부를 중심으로 사업을 재편 중이다.2024년 8월5일 소시에테제네랄은 마다가스카르의 사업체인 Société Générale Madagasikara를 프랑스 BRED Banque Populaire에 매각했다. 하지만 여전히 프랑스, 룩셈부르크, 모나코에서 개인 금융을 운영하고 있다.○ 금융그룹인 BNP 파리바(BNP Paribas)에 따르면 악사(Axa)의 자산관리 자회사를 €51억 유로에 인수할 계획이다. 만약 협상이 성공한다면 1.5조 유로 규모의 자산을 보유한 유럽 최대 기업으로 등극할 전망이다.현재 BNP 파리바가 5620억 유로, 악사가 8590억 유로 규모의 자산을 보유하고 있다. 현재 BPCE의 자회사인 나티시스 인베스트먼트 매니저(Natixis Investment Managers)가 1조2000억 유로의 자산을 운용 중이다. 아문디(Amundi)는 2조1560억 유로로 1위다.현재 글로벌 자산 관리 산업은 통합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주로 은행이 보험회사가 자산을 운용하고 있지만 규모가 충분하게 크지 않기 때문이다. 2017년 프랑스 보험업계 선두인 악사는 나티시스 IM과 악사 IM의 통합을 논의했다.○ 국영전력회사인 EDF는 향후 6년 이내에 새로운 EPR2를 개발할 계획이다. 2022년 새로운 원자로를 개발하는데 8년이 소요되며 건설에는 7년 이상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최근 건설 기간은 70개월이면 충분하다는 입장이다.현재 핀란드 오킬루오토의 원자력발전소는 2022년 공사를 시작했지만 완공까지는 17년이 더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영국 힝클리포인트 원자력발전소는 필단드보다 상황이 좋지만 11~13년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된다.오직 중국만이 원자력발전소의 공사 기간을 단축할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 2010년 이후 44개 원자로를 완공해 전력을 생산하고 있기 때문이다. 44개 원자로 건설 기간은 4~9년으로 평균 6년이 걸렸다.○ 에너지업체인 토탈에너지스(TotalEnergies)는 태양광발전소를 운영하는 자회사인 선파워가 파산했다고 밝혔다. 토탈에너지스는 선파워의 지분 32.5%를 보유하고 있다.선파워는 2023년 기준 매출액 US$ 17억 달러에 2억4700만 달러의 손실을 기록했다. 토탈에너지스가 2023년 기준 2370억 달러의 매출액을 달성했으므로 선파워의 영향은 미미한 수준이다.하지만 탄소중립의 목표를 달성하고자 하는 토탈에너지스에게는 좋은 소식이 아니다. 넷제로를 추진하는 정부의 정책에 호응해야 하므로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프랑스에 기반을 둔 우크라이나 단체 ‘라좀위스탠드(Razom We Stand)’는 2024년 상반기 프랑스가 러시아로부터 수입한 액화천연가스(LNG)는 전년 동기 대비 7% 증가했다고 밝혔다.유럽연합(EU)는 2022년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이후 석유의 수입은 금지시켰지만 LNG는 허용했다.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려는 선박의 연료로 사용하기 위한 목적이다.EU는 2027년까지 러시아산 화석연료의 수입을 종료할 예정이지만 쉽지 않을 전망이다. 프랑스는 유럽 국가 중에서 러시아산 LNG를 가장 많이 수입하는 국가다. 러시아는 석유와 천연가스를 수출해 우크라이나 전쟁 비용으로 충당하고 있다.○ 항공기 제조업체인 에어버스(Airbus)는 2024년 8월7일 홍콩 기반의 캐세이 퍼시픽(Cathay Pacific)으로부터 A330-900s 30대를 주문받았다고 밝혔다. 계약 내용은 30대를 추가로 주문할 수 있는 옵션을 포함한다.계약금액은 US$ 110억 달러에 달한다. 최근 에어버스의 경쟁사인 보잉이 2024년 1월 알래스카 에어라인의 사고에 대한 조사를 받고 있다는 것이 밝혀진 후 대규모 거래에 해당된다.에어버스는 2024년 7월 77대의 신형 항공기를 고객에게 인도했다. 이는 5월 53대, 6월 67대와 비교해서 증가한 수치다. 2024년 1~7월까지 70명의 고객에게 항공기 400대를 전달했다.○ 항공엔진 및 보안 솔루션 제공업체인 사프란(Safran)은 2023년 상반기 매출액은 €130억4700만 유로로 전년 동기 대비 19% 증가했다고 밝혔다. 동기간 영업이익은 19억7400만 유로로 전년 동기 대비 41% 확대됐다.영업이익률은 매출액의 15%를 넘었으며 항공기 인테리어 개선 사업 뿐 아니라 항공기 엔진과 부품 서비스에 대한 사업이 호조를 보였다. 엔진 납품을 적기에 수행하기 위해 공급업체와 유기적인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공항운영사인 ADP(Airport de Paris)는 2024년 연말까지 파리에서 '비행 택시'를 시험 운항할 계획이다. 기체는 독일 벤처기업인 볼로콥터(Volocopter)가 개발했다.ADP는 파리 올림픽 기간 중에 승객이 탑승하지 않은 상태에서 시험 비행을 추진했지만 정부는 허가하지 않았다. 엔진의 안전성이 부족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2024년 8월15일과 18일 양일간 베스사유 궁전에서 수백 미터 떨어진 이블린 생시르레콜에서 비행이 예정돼 있었다. ADP는 복잡한 도심에서 교통과 화물 운송의 편리성을 추구하기 위한 목적에서 '비행 택시'를 도입하려고 한다.○ 글로벌 컨설팅사 윌리스 타워스 왓슨(Willis Towers Watson)에 따르면 2025년 프랑스 직장인의 급여 인상폭은 3.6%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2024년 인상폭인 3.8%보다 낮지만 인플레이션보다는 높은 편이라 국민의 구매력은 향상된다.2024년 급여 인상률은 2023년 4.4%보다 낮았지만 물가상승률인 2.3%보다 높았다. 2024년 상반기 동안 국내 기업의 80% 이상이 급여를 인상했다. 에너지, 원자재 등의 가격 인상이 주요인으로 분석된다.2023년 이전에는 인플레이션보다 낮은 수준으로 급여가 인상돼 국민의 구매력은 하락했다. 기업 경영자도 이 부문에 대해 깊이 고민했지만 기업 차원에서 해결해줄 방안이 없었다.○ 글로벌 기업 WTW에 따르면 2024년 프랑스 실질 임금 인상율은 3.8%로 예상 물가 인상율인 2.3%보다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2023년 임금 인상율인 4.3%보다는 낮은 수준이다.기업들은 2025년 직원의 급여를 3.6% 인상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다. 예상대로 진행된다면 2023년부터 3년 동안 임금 인상율은 12%에 달하게 된다. 우수한 직원을 고용하거나 이직을 보류하게 만들기 위해서는 더 높은 임금 인상이 필요한 실정이다.2023년 기준 프랑스의 임금 인상율은 전 세계 평균 5%보다 낮다. 다른 국가를 보면 독일은 4.3%, 미국 4%, 영국 4.6%, 스페인 4.4% 등으로 조사됐다. 특히 디지털 전환(DX)와 사이버보안 영역에서 새로운 전문가를 영입하기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
▲ 울트라테크 시멘트(UltraTech Cement) 홍보이미지 "건설로 하여금 인도가 성장한다"[출처=울트라테크 시멘트 공식 홈페이지]2024년 7월 서남아시아 제조업 주요동향은 인도 주요 자동차 제조업체들의 실적과 아다니 그룹의 폴리 염화비닐(PVC) 프로젝트, 방글라데시 의류 및 섬유 공장 폐쇄로 인한 손실을 다룬다.○ 인도 원단 조달 스타트업 패브릭로어(Fabriclore)는 피어캐피탈(PeerCapital)과 리갈패브릭스(Regal Fabrics)가 주도한 펀딩에서 US$ 160만 달러를 확보했다고 밝혔다.패브릭로어는 국내를 포함해 중동·유럽·미국 등 주요 글로벌 시장을 중심으로 입지를 확대하며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투자한 바 있다.○ GE 파워 인디아(GE Power India)는 국영화력발전공사(NTPC)로부터 1870만 루피 가치의 주문을 받았으며, 9.5개월 동안 완수할 예정이다. 당사는 공학 기술, 제조업, 사업 경영, 장비 공급 등을 맡고 있다. 발전소의 설계부터 건설, 가동까지 관리하기도 한다.GE 파워 인디아의 회계연도 2023년 4분기 순손실 12억9700만 루피와 비교해 회계연도 2024년 4분기 순이익은 2억5940만 루피이다. 동기의 매출액은 39억760만 루피로 전년 대비 13.43% 상승했다.○ 인도자동차공업협회(SIAM)에 따르면 2024년 6월 국내 이륜차 판매량은 161만4154대로 전년 대비 21.2% 증가했다. 이중 오토바이 103만906대·스쿠터 54만2851대 판매돼 전년 대비 각각 13.4%·40% 증가했다.수출량은 28만8967대로 전년 대비 5.8% 증가했다. SIAM은 승용차, 상용차, 삼륜차, 이륜차 모두 2024-25년 1분기 동안 성장했으며 특히 이륜차와 삼륜차는 두 자릿수 성장을 기록했다고 언급했다.○ 인도 상용차업체 아쇽 레이랜드(Ashok Leyland)는 서부 마하라슈트라주 도로교통공사(MSRTC)로부터 바이킹 승객 버스 2104대를 주문받았다. 이는 9억8200만 루피 상당의 완전 제작버스 주문이다.아쇽 레이랜드는 알와르와 엔노레에 위치한 모든 공장에서 제조해 2024년 8월부터 배달할 예정이다.○ 인도 이륜차 제조업체 바자즈오토(Bajaj Auto)의 회계연도 2025년 1분기 순이익은 19억4200만 루피이다. 전년 동기 대비 18% 증가했다.2024년 4월부터 6월까지의 바자즈오토 판매량은 110만2056대로 전년 대비 7% 증가했다. 이륜차 95만917대·상용차 15만1139대를 판매해 전년 대비 각각 7%·9% 증가했다.○ 인도 시멘트 제조업체인 울트라테크 시멘트(UltraTech Cement)는 최근 인디아 시멘트의 지분 33%를 인수했다고 밝혔다. 인디아 시멘트는 첸나이를 기반으로 영업활동을 하고 있으며 1주당 가격은 Rs 390루피다.울트라 테크는 이미 6월에 인디아 시멘트의 지분 23%를 매입했다. 이후 공개시장에서 주주들에게 추가로 26%의 주식을 인수하겠다고 제안했다. 계획대로 주식을 매입하려면 총 710억 루피가 필요할 것으로 추정된다.만약 규제당국이 주식 인수를 허락하면 울트라 테크는 타밀 나두와 같은 급성장하고 있는 인도 남부 지역에서 시장 지배력을 높일 수 있다. 테랑가나, 안드라 프라데시, 라자스탄 지역 등에 1450만 톤(t)의 시멘트 공급 능력을 확보하게 된다.○ 인도 복합기업인 아다니 그룹(Adani Group)은 2026년까지 US$ 40억 달러 규모의 폴리 염화비닐(PVC) 프로젝트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석유화학 산업에 진입하기 위한 목적이며 국내 수요에 비해 공급이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다.국내의 PVC 수요는 연간 400만 톤(t)인데 국내 생산량은 단지 150만 톤에 불과한 실정이다. 아다니 그룹의 핵심 계열사인 아다니 엔터프라이즈는 구자라트주 문드라에 연간 200만t을 생산할 수 있는 석유화학 클러서는 개발하고 있다.연간 100만 톤을 생산할 수 있는 시설은 2026년 12월까지 완료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3년 3월 재정 불확실성으로 잠시 중단됐다가 재개했다. 아다니 그룹은 투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주식과 부채를 포함해 50억 달러를 조달했다.○ 인도 최대 자동차 제조업체인 마루티 스즈키(Maruti Suzuki)는 2025 회계연도 1분기 매출액은 ₹3387억5300만 루피로 전년 동기 3084억5200만 루피 대비 증가했다고 밝혔다. 1분기 순이익은 364억990만 루피로 전년 동기 248억5100만 루피 대비 46.9% 확대됐다.순이익이 증가한 것은 비용 절감 노력, 우호적인 원자재 가격, 환율 등이 주요인으로 분석된다. 순판매액 대비 원자재 가격의 비율은 90베이시스포인트 개선됐다.1분기 할인액은 1대당 평균 2만1700루피로 전분기 1만4500루피 대비 상승했다. 할인폭이 커졌음에도 매출액은 오히려 늘어났다.○ 인도 이륜 및 삼륜차 제조업체인 바자즈 오토(Bajaj Auto)에 따르면 2024년 7월 판매대수가 35만4169대로 전년 동월 31만9747대에 비해 11% 증가했다. 2륜차의 판매는 29만7541대로 전년 동월 26만8840대에 비해 늘어났다.수출 물량을 살펴보면 7월 이륜차 수출은 12만8694대로 전년 동월 12만6850대와 비교하면 1% 증가했다. 7월 국내 시장에서 이륜차는 16만8847대가 판매돼 전년 동월 대비 19% 확대됐다.○ 인도 자동차제조업체인 도요타 키롤르스카르 모터(Toyota Kirloskar Motor)는 마하라슈트라 주정부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330억 루피를 투자해 비다디에 3번째 공장을 짓기 위한 목적이다.도요타자동차는 1999년 사업을 시작한 이후 인도를 중요한 시장으로 판단하고 있다. 'Grow India - Grow with India'라는 캐치프레이즈를 앞세워 기술 개선, 현지화, 현지 생태계 발전 등을 위해 노력 중이다.○ 인도 자동차 제조업체인 타타모터스(Tata Motors)는 2025 회계연도 1분기 세후순이익은 Rs 556억6000만 루피로 전년 동기 320억3000만 루피 대비 74% 급증했다고 밝혔다.1분기 매출액은 1.07조 루피로 전년 동기 대비 5.7% 확대됐다. 상업용 자동차 관련 매출액은 1780억 루피로 전년 동기 대비 5.1% 늘어났다. 1분기 EBIT는 910억 루피이며 EBIT 마진율은 8.4%를 기록했다.1분기 자동차 판매량은 13만8682대로 집계됐다. 승용차는 선거와 전국적인 무더위로 판매량이 평년 수준을 유지했지만 SUV 차량의 판매는 소폭 감소했다. 글로벌 수요는 변화가 없었지만 국내 시장의 수요는 견조할 것으로 전망된다.영국 자회사인 재규어랜드로버(JLR)의 1분기 매출액은 £73억 파운드, EBIT 마진율은 8.9%로 양호한 실적을 기록했다. 판매 대수도 늘어났지만 재료비 개선도 큰 도움이 됐다.○ 파키스탄 통계청(PBS)에 따르면 2023-24 회계연도 시멘트 수출액은 US$ 2억665만6000달러로 전년 동기 1억8987만6000달러 대비 40% 증가했다. 수출한 시멘트를 톤(t)으로 환산하면 708만7401t으로 전년 대비 66.85% 증가했다.2024년 5월 시멘트 수출액은 2971만9000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39.58% 확대됐다. 동남아시아 국가로의 수출이 늘어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파키스탄 자동차제조업체협회(PAMA)에 따르면 2024년 6월 자동차 판매량은 1만3300대로 전년 대비 120% 급증했다. 이러한 실태는 2023년 공장이 폐쇄되며 자동차 판매가 감소했고 자동차 가격 상승 및 소비자 구매력 하락이 주요인으로 분석된다.업체별 판매량을 살펴보면 인더스 모터스(INDU)는 2975대, 파키스탄 스즈키모터(PSMC)는 6885대를 판매해 전년 대비 각각 44%·15% 증가함으로써 기여했다.○ 2024년 7월24일 방글라데시 의류제조수출협회(BGMEA)에 따르면 4일 간의 폐쇄 이래 어제 7월23일부터 의류 및 섬유 공장이 다시금 가동하기 시작했다.다카에 위치한 섬유 공장의 30%가 개장했다. BGMEA는 오늘이면 모든 공장이 다시 문을 열 것이라고 밝혔는데 이번 일을 통해 640억 타카의 잠재적 수익 손실을 입은 것을 분석된다.그동안 지속적인 인터넷 차단으로 해외 구매자와의 소통이 원활하지 않았다. 이를 근거로 의류 및 섬유 부문 지도자들은 내무부 장관과 정보통신기술부 장관을 상대로 인터넷 복구를 위해 로비활동을 진행했다. 생산 재개에 따른 시기 적절한 수송을 위해 인터넷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
2023-03-1610일 미국 자산 기준 16위인 실리콘밸리은행(SVB)이 파산하며 금융시장의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원금을 전액 보증하겠다며 위기를 진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금융시장의 불안감은 해소되지 않았다. 법무부와 증권거래위원회(SEC)는 파산 과정과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조사를 시작했다.세계 각국 금융당국은 2008년 세계 4위 투자은행이었던 리만브라더스(Lehman Brothers)의 파산으로 촉발된 글로벌 금융위기가 재연되지 않을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미국의 금융산업과 동조화 현상을 보이는 우리나라 금융시장도 주식시장부터 충격을 받고 있다. 윤석열정부의 관치금융 논란이 확산되면서 바람직한 금융정책에 대한 갑론을박이 봇물처럼 쏟아지고 있다.국가정보전략연구소(국정연)가 지방자치단체의 행정·선거공약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한 ‘오곡(五穀)밸리혁신(5G Valley Innovation)’ 모델을 적용해 서울특별시의 금융허브 경쟁력을 정치·경제·사회·문화·기술 측면에서 평가했다.▲ 서울의 금융허브 경쟁력 평가 [출처 = iNIS]◇ 금융공기업 지방 이전 대상 선별 중요글로벌 컨설팅그룹인 지옌(Z/Yen)이 평가하는 국제금융센터지수(GFCI)가 지난해 9월 세계 11위인 서울은 2019년 36위에서 급상승했다. 지난해 5월 윤석열정부의 출범과 7월 시작한 오세훈시장의 정책 노력과는 무관한 것이며 대내외 금융시장의 변화가 주요인으로 분석된다.윤 정부는 대통령 선거 기간 동안 KDB산업은행·한국수출입은행·IBK기업은행 등 주요 국책은행을 지방으로 이전한다고 밝혔다. 지난해 말부터 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산업은행부터 부산광역시로 이전하기 위한 작업이 착착 진행되고 있다. 노무현정부 이후 역대 정부가 추진했던 서울의 금융허브 문제점을 분석해 보자.정치적으로 일관성 없는 금융정책으로 혼란 가중, 미·중 대립 구도에서 외교정책 미확정, 수도권 집중과 지역균형발전 갈등 지속 등이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과제다. 국가균형발전위원회는 서울을 ‘종합금융 중심지’, 부산은 ‘해양파생상품 특화금융 중심지’로 육성하겠다고 밝혔다.또한 금융위원회는 산업은행·기업은행·수출입은행·금융감독원·수출보험공사 등은 수도권에 반드시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윤 정부는 폐기 혹은 조정이 불가피하다고 말한다. 우리나라는 미·중 대립 구도에서 어느 편에 서야 할지 명확한 입장을 정하지 못했다. 수도권에 인구와 기업이 몰리면서 균형발전 논란이 가중되고 있다.경제적으로 보면 조선·반도체·전자·철강 등 주력산업의 부진, 원자재 가격 상승 및 보호무역 등으로 교역량 감소, 불안한 환율 및 부침이 심한 주식시장 등이 금융의 발목을 잡고 있다. 1970~80년대 중화학공업 진흥정책으로 육성한 조선·철강, 1980~90년대 전자·반도체가 중국의 추격으로 경쟁력을 잃어가고 있다.지난해 2월 시작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원자재 가격을 상승시켰고 미국 주도의 보호무역이 심화되며 글로벌 교역량이 감소했다.코로나19 대유행 이후 세계 교역량은 20% 이상 줄어들었고 우리나라 무역도 비슷한 규모로 축소됐다. 1997년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이후 급락한 환율은 회복될 조짐이 없다.사회는 단일민족으로 외국인에 대한 배타적 성향, 이주민에 대한 영주권 발급 요건의 강화, 높은 주택가격 및 물가 등 정주 여건 악화도 우수 인재의 유치를 막고 있다.우리나라 국민은 과거에 비해 단일민족이라는 자부심은 낮아졌지만 여전히 외국인에 배타적인 편이다. 백인보다는 흑인, 선진국 국민보다는 후진국 국민을 하대한다.영주권인 F5 비자 취득요건은 5년 이상 체류, 생계유지능력, 한국어 능력 등으로 단출하지만 발급 실적은 저조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재외동포와 일반 외국인을 구분해 요건이 달라진다. 특별한 공로가 없는 외국인이 한국 영주권을 받기란 불가능에 가깝다.문화는 국제학교와 외국어 가능한 병원 등 인프라 부족, 일상생활에서 외국어로 생활 애로, 고궁·백화점 등에 한정된 관광자원 등도 해결책을 찾기 어렵다. 서울과 수도권에 국제학교가 다수 설립됐지만 이른바 ‘검은 머리 외국인’의 수요를 충족하는 수준을 넘지 못하고 있다.외국인이 우리나라에 살면서 어려운 점 중 하나가 종합병원에 영어로 진료가 가능한 의료진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국제화가 잘 된 여의도에서조차도 영어로 일상생활이 쉽지 않다. 서울의 관광지는 고궁·백화점을 제외하곤 남대문·동대문에 있는 재래시장이 전부다.기술은 디지털 격차(DIgital Divide)로 계층 분리, 5세대(G) 이동통신망 구축 지연과 높은 무선 데이터 비용, 우수한 소프트웨어(S/W) 엔지니어 부족 등이 장치산업으로 변한 금융업의 발전에 걸림돌이다.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사회가 급진전되면서 노인층은 디지털 격차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초고속 모바일 통신을 지원한다던 5G망은 구축 속도가 더디고 무선 데이터 요금은 국민소득과 비교하면 많이 비싸다. 2019년 개봉돼 2020년 미국 아카데미에서 4관왕에 등극한 기생충은 남의 집 무선 공유기를 무료로 사용하는 데이터 난민을 그렸다. ◇ 여의도 금융특구 지정해 정책 일관성 확보해야 종합금융 중심지 가능우리나라는 세계 제조업 5위 국가로 경쟁력을 갖췄다. 하지만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에 따르면 지난해 1월 기준 국제 결제시에 사용하는 통화 비율은 0.1%에 불과하다. 0.7%대인 태국, 0.3%대 말레이시아, 0.2%대인 남아프리카공화국·뉴질랜드·멕시코·헝가리 등에도 미치지 못한다. 서울의 금융허브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정치적으로 보면 서울을 금융허브로 육성하겠다는 의지 확립, 쿼드(Quad) 등 동아시아 질서 재편에 편승, 합리적 지역균형발전정책 수립 필요 등이 정부의 정책 기조로 자리매김해야 한다.서울에 있는 금융공기업 중 지방에 내려가도 무방한 곳만 선별하는 작업부터 시작해야 한다. 무조건 이전으로 서울 금융허브의 경쟁력을 훼손하지 않기 위함이다.21세기는 태평양의 시대로 미·중의 패권 다툼이 격화될 가능성이 높아 국가안보에 직결되는 외교정책의 방향 설정이 중요해졌다. 친미와 친중으로 나눠진 국론을 통합할 묘책을 찾아내야 한다. 지방의 균형발전이 불가피하지만 공공기관 이전으로 달성하기란 불가능에 가깝다.경제는 4차 산업혁명 주도할 신기술에 대한 투자 확대, 국내 경제에서 무역 비중 줄여 체질 강화, 관치금융 중단해 금융산업 자율성 부여 등으로 금융업의 자양분을 키워야 한다. 수박 겉핥기식으로 추진하는 4차 산업혁명 정책으론 반도체·전자 이후의 먹거리를 찾을 수 없다.경제에서 수출과 같은 무역 의존도를 줄이고 내수를 강화해야 하며 국민소득·인구를 늘릴 방안을 찾아야 한다. 독일은 1980년대 이후 인구 정체를 이민자로 해소해 지난해 기준 8400만 명을 넘어섰다. 스위스·네덜란드 등도 이민자에 문호를 개방하고 있다. 관치금융은 IMF 외환위기 이후에도 사라지지 않은 적폐다.사회는 글로벌 마인드 함양해 ‘지구촌(global village) 건설, 이민 확대해 다민족 국가로 이행, 금융특구에 저렴한 외국인 전용 아파트 공급 등을 통해 금융선진국을 따라잡을 수 있다. 동북아시아 반도국가인 우리나라는 개방정책을 통해 거점 국가로 거듭나야만 강대국으로 떠오를 수 있다.미·러·중·일 등 4강 뿐 아니라 동남아시아·서남아시아·중앙아시아 국가를 모두 포용할 글로벌 마인드를 함양해 지구촌의 중심이 돼야 한다. 단일민족 국가를 포기하고 다민족 국가로 이행해야 지정학적인 우위를 유지할 수 있다. 세종특별자치시로 국회가 이전하면 해당 부지에 복합금융센터를 건립하고 금융특구로 지정해야 한다.문화는 금융특구에 국제학교와 병원 등 인프라 개선, 행정·방송·일상생활 등에서 영어 병용 추진, K-컬처(K-Culture) 관련한 볼거리·놀거리 공급 확대 등으로 우수 금융전문가의 한국행을 유도해야 한다. 여의도가 금융중심지이지만 외국인을 위한 국제학교나 종합병원 하나 없는 실정이다.영어를 제1외국어로 지정해 수십 년 동안 천문학적인 규모의 예산을 쏟아부었지만 국민의 영어 울렁증을 해결하지 못했다. 일반 행정이나 방송에서부터 영어 병용을 추진해 일상생활에 스며들 수 있도록 조치하는 방안도 검토해야 한다. K-컬처도 일회적 유행을 넘어서려면 다양한 관광자원으로 육성해야 한다.기술은 국가 차원의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DX) 추진, 5G망·공공 아이파이(Wifi) 확대해 데이터 난민 해소, 초중고교부터 S/W 소양교육 실시 등이 요구된다. DX는 디지털 사회·국가로 전이하기 위해 필수적인 관문으로 체계적인 대책을 수립해 지원하지 않으면 성공하기 어렵다.디지털 사회는 거미줄처럼 얽힌 유·무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완성되기 때문에 국가 차원에서 투자를 집해야 한다. 이동통신사의 중복투자를 해소해 효율성을 높이는 것도 중요하다. 이제 정보통신기술(ICT)은 하드웨어(H/W)보다 S/W에 초점을 맞춰야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주도권을 쥘 수 있다.▲ 민진규 국가정보전략연구소 소장 [출처 = iNIS]- 끝 -
-
영국 주택건설업체연맹(Home Builders Federation, HBF)에 따르면 2021년 12월 연말 기준 향후 1년간 신규 주택 공급을 늘리려면 자재공급 부족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1년 전인 2020년 12월 연말 기준 건설업체의 20%만 벽돌, 목재, 시멘트 등의 건설 자재 공급 부족 및 가격 상승 등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했다. 이탈리아 스포츠카 제조기업 페라리(Ferrari)에 따르면 암호화폐 중심의 예술성을 자동차 부문에 도입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스위스 NFT 마켓플레이스 소유주 벨라스 네트워크(Velas Network)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NFT 및 블록체인 기반 제품의 형태로 독점적인 디지털 컨텐츠를 출시하고 양 브랜드간 상호 교류를 지속적으로 이어나갈 계획이다. 벨라스는 eSports Series 및 후속 팀을 위한 페라리 타이틀 스폰서로도 선정됐다.스페인 발렌시아시(city of Valencia)에 따르면 발렌시아 폴리텍대(UPV, Universitat Politècnica de Valencia)와 무인 항공기 고속도로를 구축할 계획이다.드론 고속도로는 초기 의약품 배달과 같은 서비스에 활용된다. 향후에는 에어택시와 같은 여객 수송을 위해 운용할 방침이다.▲ 발렌시아 폴리텍대(UPV, Universitat Politècnica de Valencia) 홈페이지
-
영국 주택건설업체연맹(Home Builders Federation, HBF)에 따르면 2021년 12월 연말 기준 향후 1년간 신규 주택 공급을 늘리려면 자재공급 부족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1년 전인 2020년 12월 연말 기준 건설업체의 20%만 벽돌, 목재, 시멘트 등의 건설 자재 공급 부족 및 가격 상승 등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2021년 12월 연말 기준 이러한 생각을 가진 업체의 비중이 78%로 상승했다. 게다가 노동력 부족과 임금 상승까지 해결 과제로 부상했다. 정부는 만성적인 주택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20년대 중반까지 주택 건설을 연간 30만 가구로 늘리겠다고 공약했다. 2020년 건설된 주택은 24만3000채인데, 지난 30년 동안 중 가장 많았다. ▲주택건설업체연맹(Home Builders Federation, HBF) 홈페이지
-
2021-12-10네덜란드 암스테르담 기반의 원가관리 컨설팅기업인 아카디스(Arcadis)에 따르면 2022년 제2의 원자재 가격 상승폭은 3~5%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2021년의 원자재 및 제품 가격 상승폭보다는 2022년의 상승폭이 적을 것으로 예상된다. 2021년에는 글로벌 공급망 붕괴로 인한 원자재 부족 사태로 가격이 올랐다.2022년에는 높은 에너지 비용이 원자재 및 제품 가격의 상승 압력을 만들 것으로 전망된다. 벽돌, 유리, 시멘트, 콘크리트와 같은 제품들이 특히 많이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주로 금속과 목재에 영향을 미쳤던 원자재 부족 사태보다 원자재 및 제품 가격에 미치는 영향이 훨씬 클 것으로 전망된다.민간주거용 및 산업용 창고 형태의 일부 업종은 호황을 이어가겠지만 원자재 및 제품 가격에 민감한 시장인 임대주택용 및 알뜰주택용 업종이 타격을 받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건설시장이 둔화될 수 있다.2022년 원자재 및 제품 가격 상승은 주로 에너지 비용 상승에 의해 추진될 것으로 예상했듯이 건설 자재 제조에 사용되는 에너지는 전체 건설 비용의 4분의 1로 환산된다.이에 따라 건설 자재 부문은 특히 장기적인 가격 상승으로 이어진다. 건설 자재뿐만 아니라 에너지 가격 변동에 취약한 또 다른 분야는 건설 현장 운영 비용이다.건설 현장에서 장비의 유휴 시간 및 대기 시간을 단축한다면 연료비를 절약하고 탄소 배출량도 줄일 수 있다. 노동자들에 대한 연료 절감 교육 및 수소 연료를 채택하는 것도 현장 운영 비용 절감에 기여할 것으로 분석된다.▲아카디스(Arcadis) 홈페이지
-
영국 시장조사기업인 IHS마킷(IHS Markit)에 따르면 2021년 7월 건설구매관리자 지수는 58.7포인트로 전월 66.3포인트 대비 크게 하락했다. 7월 국내 건설업체들은 새로운 주택 건설과 정비공사 등에 대한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노력했다. 하지만 자재 및 숙련된 인력의 부족이 건설 부문의 성장을 크게 둔화시켰다.2021년 6월 건설구매관리자 지수는 24년 만에 최고치를 경신했다. 하지만 2021년 7월 지수는 2021년 2월 이후 가장 느린 속도로 성장했다.2021년 상반기 건설 기업들의 비축된 자재가 바닥나기 시작하면서 7월 불어난 주문을 충족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또한 건설 노동자도 충분하게 확보하지 못했다.7월 건설업체 10곳 중 8곳 이상이 원자재 가격과 기타 비용 상승을 경험한 것으로 조사됐다. 시멘트, 구리, 철강 등의 공급 부족과 함께 원자재 가격이 상승했다. ▲IHS마킷(IHS Markit) 홈페이지
-
미쯔비시 상사(Mitsubishi Corporation, 이하 미쯔비시)는 미쯔비시 도쿄UFJ은행, 미쯔비시 중공업과 미쯔비시그룹의 3각을 이루고 있으며 1950년 설립한 교와실업이 모태다.이토추상사, 미쓰이물산, 스미토모상사, 마루베니와 함께 일본 최대 종합상사 중 하나이며 1954년 미쯔비시 상사로 상호가 변경됐다.1865년~1868년까지 3년간 사카모토 료마를 중심으로 현재의 주식회사와 같은 상사활동을 하는 카이엔다이 조직이 결성됐다. 또한 사쓰마번의 재정지원을 받아 사설 해군 및 무역활동을 담당했다.1867년 에도시대 말기에 발생한 오우 미야 사건으로 카이엔다이 조직의 사카모토 료마와 나카오카 산타로가 암살됐다. 직후 조직은 고토 쇼지 타로가 이어 받았으며 1870년 미쯔비시의 창업주인 이와사키 야타로에게 이어졌다.이와사키 야타로는 카이엔다이 조직을 개인상회로 바꿨으며 명칭을 구십구상회로 변경했다. 또한 1873년 미쯔비시상사로 사명을 변경하고 해운과 무역을 중심으로 사업을 시작했다.미쯔비시(三菱)의 로고는 토사한의 향사 이와사키가문의 산까이비시(三階菱), 토사번주 야마우치가문의 산츠카시와(三ツ柏)를 조합해 만들었다.미쯔비시 창업주의 조카 이와사키 고타야는 所期奉公(しょきほうこう), 処事光明(しょじこうめい), 立業貿易(りつぎょうぼうえき)을 기업 경영이념으로 삼았다.1차 세계 대전 당시 군수물자를 취급해 비약적인 발전을 한 미쯔비시는 각 사업부문이 독립했으며 미쯔비시 상사도 1918년에 독립했다.하지만 운송 등을 독점한 미쯔비시는 여론의 비판뿐만 아니라 기업들의 견제를 받았다. 2차 세계대전 발발과 재벌해체론, 정치권의 보호가 사라지면서 미쯔비시는 해체됐으나 1954년 미쯔비시상사는 재설립됐다.▲ Japan_Mitsubishi Corporation_CEO 01▲ 타케히코 카키우치 사장 ◈ 연결자회사수 815개, 지분법 적용회사 427개 등 총 1242개의 계열사를 보유한 글로벌 종합상사미쯔비시상사는 일본내 거점 28개소, 해외거점은 사업소 107개, 현지법인 본점 42개, 지점 42개 등 191개를 포함해 총 219개소를 운영하고 있다. 연결자회사수는 815개, 지분법 적용회사 427개로 총 1242개의 계열사를 갖고 있는 글로벌 종합상사로 연결직원수는 6만8247명, 자본금은 2044억4666만7326엔에 달한다. 미쯔비시는 비지니스서비스부문, 지구환경 및 인프라사업그룹, 신산업금융사업그룹, 에너지사업그룹, 금속그룹, 기계그룹, 화학그룹, 생활산업그룹등 8개 사업군으로 구성돼 있다. 비즈니스 서비스 부문은 고객의 문제해결, 비즈니스 프로세스 개선, 기업가치 향상을 위한 시스템 통합사업, 클라우드서비스사업, 데이터센터사업, 컨설팅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IT에 대한 개별전략, 기획, 개발, 운용 등 전사적 IT전략을 담당하고 있으며 비즈니스 환경의 다양성, 글로벌화, 디지털기술 발전 등을 위해 컨설팅, 시스템구축, IT인프라 구축 등을 추진하고 있다. 신산업 금융사업그룹은 2007년 무역회사형 산업 금융산업을 목적으로 설립됐으며 부동산 펀드의 조성 및 운영, 사모투자운용 등 자산관리사업을 하고 있다.또한 인프라 관련 금융사업과 오토리스, 항공엔진 등 종합임대 등 산업금융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수익성 부동산 및 도시개발 사업, 국내외 종합물류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에너지 사업그룹은 에너지 자원 확보 및 안정적 공급 실현, 지구환경 배려 등의 이념 아래 석유·가스 탐사 및 개발사업, 천연가스사업, 석유사업, 탄소·LPG사업을 중심으로 조직을 재편했다. 또한 천연가스, 원유, 석유제품, LPG, 석유코크스, 석탄코크스, 탄소제품 등을 취급하고 있다. 금속그룹은 양질의 원재료 및 제품을 안정적,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철강제품, 금속자원 트레이딩, 금속자원분야로 조직을 구분하고 철강제품, 철강원료, 비철금속 등 다양한 상품을 취급하고 있다.기계그룹은 산업기계사업, 선박·항공우주사업, 자동차사업, 이스즈사업으로 조직이 구성되어 있으며 공작기계, 농업기계, 건설기계, 광산기계, 엘리베이트, 에스컬레이터, 선박, 우주항공관련기기, 자동차 등을 취급하고 있다. 화학품그룹은 석유화학, 화학, 에너지, 자동차, 건축, 도료·접착제, 전기·전자·반도체, 통신기기, 섬유, 화학비료·농약, 농업 및 축산, 식품 및 식료품, 의약품 및 의료기기, 유통 등의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생활산업 그룹은 국내외 소비자에게 식량, 생활 소비재, 의류, 의료 재료 등 생필품을 제공하고 있다. 소비자 니즈에 맞는 상품 및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리테일본부, 생활유통본부, 생활소비재본부, 농산물본부, 생활원료 본부로 조직을 구성했다. 또한 미쯔비시상사코리아는 영업지원 및 경영보좌를 위한 지원본부와 에너지사업본부, 금속사업본부, 기계인프라사업본부, 화학품사업본부, 생활사업본부로 구성돼 있으며 미쯔비시상사가 100%출자해 설립한 한국 법인이다. ▲ Japan_Mitsubishi_Business Group▲미쯔비시 사업 영역 ◈ 글로벌 포춘 500대 기업중 2013년 118위, 2014년 108위, 2015년 132위로 또다시 추락미쯔비시상사는 2013년 글로벌 포춘 500대 기업 중 118위에서 2014년 108위로 10계단 상승했으나 2015년 132위로 24계단 추락했다. 2015년도(2015년 4월~2016년 3월) 영업이익 및 순이익이 적자를 기록했으며 매출, 영업이익, 순이익 등이 전년도 대비 각가 9.7%, 116.2%, 132.6% 감소했기 때문이다. 지난 2012년 연말 출범한 일본 아베정권의 경제부흥정책, 유럽 및 미국, 신흥국을 중심으로 경기회복 신호에도 불구하고 매출, 영업이익, 순이익이 급속히 하락하고 있다. 2013년도 매출은 전년도 대비 27%, 영업이익 20.2%, 순이익 12.4%의 성장을 이룩했으나 2014년도에는 전년도 대비 각각 0.4%, 8.0%, 5.2%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2015년도(2015년 4월~2016년 3월) 매출은 6조9255억8200만엔으로 전년도 대비 9.7% 하락했다. 영업이익은 928억2300만엔의 적자를 기록해 전년도 대비 116.2% 감소했으며 순이익은 1326억6400만엔의 적자로 전년도 대비 132.6%의 줄었다. 미쯔비시상사가 현 체제로 갖춰진 이후 60여년 만에 처음 적자로 전환됐다. 중국경제 및 신흥국 경제가 둔화되고 글로벌 수요가 감소하면서 석탄 및 원유가격이 하락해 자원 사업의 채산성이 악화됐기 때문이다. 또한 칠레 구리사업과 오스트레일리아 LNG사업에서 감액 손실이 발생했다. 자원약세로 4300억엔을 이익감소 처리한 100억엔대의 인도네시아 니켈광산개발 지분을 프랑스업체에 매각 후 철수했다.▲ Japan_Mitsubishi Corp 02▲화학그룹 해외주요 투자지역 ◈ 2016년도 적자 탈출 및 연결순이익 2500억엔 흑자 목표 일본 종합상사 미쯔비시상사(三菱商事)는 2016년도 적자 탈출 및 연결 순이익 2500억엔 흑자 달성, 2020년 ROE 2자리수 실현을 목표로 하고 있다.자원분야에서는 원료탄, 구리, 천연가스에 경영 자원을 집중 투자하고 비자원분야에서는 강점을 발휘할 수 있는 분야에 집중 투자를 해 포트폴리오 구성을 다양화하기로 결정했다.우선 일본 내에서는 2016년 5월 아키타현에 200억엔 이상 규모의 육상풍력발전소 건설 및 운영 사업 참가하기로 했다. ▲ 1▲아키타현 풍력발전사업업체 벤티재팬(출처: 벤티재팬 홈페이지)또한 싱가포르 농업원자제업체 올람(Olam)과 공동으로 일본 내 식품원료판매 회사를 설립하고 커피·참깨 등을 수입해 식품원료공급사업을 확대하기로 했다. 해외에서는 미쓰비시지쇼와 공동으로 미얀마 양곤 지역 대규모 개발사업에 참여하기로 결정했다. 말레이시아에서는 미쓰비시상사와 일본정책투자은행이 2015년에 설립한 말레이시아 투자펀드 AIGF가 약 3억링깃을 투자해 슈퍼마켓 자야그로서(Jaya Grocer)를 인수하고 유통사업을 확대하기로 했다.미국 펜실베니아주에 천연가스화력발전소 건설위해 1000억엔을 투자하고 전력량 92만킬로와트를 현지 전력시장에 공급할 예정이다. 미쓰비시상사(三菱商事株式会社)는 미쯔비시 중공업과 공동으로 우즈베키스탄의 화학산업공사의 대규모 비료제조공장 프로젝트를 수주 계약했으며 인도 농약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하기로 했다. 펄프사업의 축소, 인도네시아 원료조달·생산·소매의 수직 통합 실행 등 향후 3년간 자원의 가격하락 및 장기화에 대응하고, 비자원 수익 확대전략을 펼쳐나가기로 했다. ◈ 미쯔비시 자원개발, 전기자동차, 위성사업의 경쟁력 부족으로 3년만에 회복한 실적에 빨간불 일본 아베정권의 경제부흥정책, 엔저약세에 힘입어 일부 기업들은 흑자를 기록하고 있으며 강력한 구조조정, 기업 인수합병을 통해 위기탈출을 시도하고 있다. 하지만 자원사업에 집중했던 미쯔비시상사는 일본 미쓰이물산과 함께 사상 처음으로 적자를 기록했다. 비자원 부문에 집중했던 이토추상사와 마루베니는 상사 업계 1, 2를 기록하며 약진했다. 지난 10년간 중국의 실질 GDP 성장률이 평균 10%를 상회하면서 광공업 생산과 자원 수요가 급증했다. 2008년 리먼사태 이후 글로벌 경기 불황에도 적극적으로 투자했으며, 구미의 경기 침체에도 중국과 신흥국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판단해 투자를 늘렸다. 따라서 미쯔비시는 전세계 석유, 천연가스, 철광석, 비철금속이 이익실현의 원천으로 보고 적극적 M&A 및 지분 인수를 통해 실적이 상승했다. 하지만 리먼 쇼크 이후 3년에 걸쳐 회복되던 자원가격은 또다시 급락하고 있다. 최근들어 구미지역 경기 침체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중국의 경기둔화와 신흥국의 경기침체로 이어지면서 원자재 수요 감소 및 가격폭락 영향으로 미쯔비시는 사상 첫 적자를 기록했다. 중국, 인도, 브라질 등 신흥국 경제성장이 동반 둔화되면서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이 증폭되고 있다. 유럽, 미국 등 회복세를 보이던 선진국 경기가 최근 영국의 브렉시트(Brexit) 영향으로 글로벌 경기에 악영향을 줄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일부 전문가들은 미쯔비시가 향후 10년간 자원분야 수익에 기대해 투자하기 보다는 섬유와 식품사업 등 비자원분야에 집중하는 전략으로 수정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
러시아 정부의 자료에 따르면 지난주 휘발류 AL-92이 리터당 34.78루블로 상승해 유럽국가들보다 비싼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주에 휘발유 가격은 평균 8코페이카 올랐다.러시아 국영석유회사인 가즈프롬 넵트(Gazprom Neft)의 자료에 따르면 베트남의 중꽛정유소 지분 49%인수 추진을 중단한 것으로 드러났다. 베트남이 제시한 운영계획에 따르면 수익성이 너무 낮기 때문에 대규모 투자를 할 수 없다고 판단했다.우크라이나 국가회계국(ГФС)에 따르면 2016년 6월 석유가스생산업체 Ukrnafta의 세금체납액이 110억그리브나까지 증가됐다고 발표했다. 지난해 해당기업의 순손실액이 56억그리브나로 집계되면서 경영실적이 악화됐고 현재 재무여력 부족한 상황이다. 아제르바이잔 석유공사(SOCAR)에 따르면 2016년 러시아, 이탈리아와 합작해 국내 '가스화학단지'를 건설할 계획이다. 35억달러 규모의 프로젝트로 예상되며 러시아로부터 자재 및 장비 등을 공급받을 예정이다. ▲아제르바이잔 석유공사 로고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NDRC)의 자료에 따르면 5월 원유 생산량은 1676만톤으로 전년 동월 대비 7.45% 감소했다. 또한 원유가공용량은 4409만톤으로 전년 동월 대비 11.1% 늘어 났다. 정제원유 생산량은 2711만톤, 정제원유 소비량은 전년 동월 대비 각각 7.6%, 3.5% 증가했다.▲ China_NDRC_Homepage.jpg▲국가발전개혁위원회 홈페이지대만무역센터(TAITRA)에 따르면 2016년 인도네시아에 플라스틱 및 고무가공 제품을 공급할 계획이다. 현재 인도네시아의 플라스틱 소비가 늘어남에 따라 시장진입을 고려하고 있으며 오는 8월 중순에 관련 전시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베트남 국영석유회사인 페트로베트남(PetroVietnam)의 자료에 따르면 2016년 5월말 기준 판매목표의 75%를 달성해 165.5조동의 매출을 기록했다. 올해 1~5월 동안 원유가격이 하락해 매출목표를 달성하는데는 성공하지 못했다.베트남 국영석유회사 페트롤리멕스(Petrolimex)의 자료에 따르면 6월 20일 기준 가솔린가격안정화펀드액은 1조4870억동으로 전회 대비 1630억동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2016년 들어 6회 연속 감소하고 있으며 총 1조2000억동이 줄었다.인도네시아 국영석유업체 페르타미나(Pertamina)에 따르면 2015년 연간 매출액은 417.6억달러로 지난해에 비해 40% 급감했다. 유가 1배럴당 106달러에서 42달러까지 60.38% 급락한 것이 실적타격의 주요인이다. 오스트레일리아의 커먼웰스은행의 CommSec보고서의 자료에 따르면 석유 및 철강 등의 가격 상승이 예측돼 국내증권시장이 상승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브렉시트에 대한 투표가 임박해 이의 영향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