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
" 핵연료"으로 검색하여,
23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일본 도쿄전력(東京電力)이 운영 중인 원자력발전소 전경 [출처=홈페이지]일본 도쿄전력(東京電力)에 따르면 2024년 4월26일 니가타현에 있는 카시와자키카리바원자력발전소(柏崎刈羽原子力発電所) 7호기에 핵연료 작업을 완료했다.4월15일부터 재가동을 위해 시작된 작업은 4월17일 설비 문제로 약 16시간 동안 작업을 중단했었다. 하지만 4월26일 872개의 핵 연료를 전부 원자로에 옮겼다.현재 안전상의 문제나 외부 환경에 의한 영향이 없어서 원자로를 정상적으로 가동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니가타현 주민의 동의를 얻지 못해 재가동 시점은 미정이다.재가동 시기를 결정할 수 없지만 원자로에 핵연료가 있으므로 비상시에 원자로의 긴급정지에 필요한 설비, 냉각설비 등의 성능을 검사 중이다.니가타현은 원자력발전소에 대한 주민의 의견을 모으고 있다. 도쿄전력은 주민의 반대가 있지만 발전소의 가동에는 문제가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
원자로 격납고 곳곳 구멍… “문제없다” 결론에도 불신 이어져청렴도 개선 시급… 감사 전문인력 없어 부정행위 적발 한계지난달 12일 확정된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르면 2030년 기준 국내 원자력 발전 비중은 기존 23.9%에서 32.4%로 8.5% 상향조정됐다. 정부는 2036년까지 석탄화력발전소를 줄이는 대신에 액화천연가스(LNG)와 신재생 등을 활용하는 발전소를 확대한다는 방침이다.원자력 발전 비중이 늘어나면 사용후핵연료가 증가해 원자력발전소 내 방사성 폐기물 저장 공간의 포화 시점이 앞당겨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고준위방폐장의 건설이 해결책인데 부지 선정 과정에서 심각한 사회적 갈등이 예상된다. 2011년 발생한 일본 후쿠시마 원전 폭발사고로 방사능 공포가 커졌기 때문이다.원자력 시설 및 방사선 안전 규제를 책임지고 있는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현황을 진단하기 위해 홈페이지, 스카이데일리·국가정보전략연구소(국정연) 데이터베이스(DB), 국정감사·감사원 자료, 각종 제보 등을 참조했다. 글로벌 스탠다드를 지향하며 개발된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을 적용해 KINS의 ESG 경영 현황을 진단해 봤다. ◇ 윤리경영 수준에 머문 ESG 경영체계KINS는 2021년 11월 대전광역시·세종특별시 공공기관 혁신네트워크 및 10개 공공기관과 ESG 경영 및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주요 내용은 △일자리 창출 △취약계층 지원 △지역상생·협력 △네트워크 협력체계 강화 등이다.업무협약을 추진했음에도 ESG 경영선언문·경영헌장·경영위원회·추진체계 등은 준비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홈페이지와 공시 자료에 없기 때문이다. 반면 행동기준·행동규범·윤리강령·윤리헌장 등을 포함한 윤리규범은 제정했으며 청렴전략 및 추진과제도 수립했다.외부전문가로 구성된 감시·견제기구인 청렴 옴부즈만, 의견을 수렴하는 청렴 호민관, 실무진 위주 제도개선 실행조직인 제도개선 태스크포스(TF), 부원장 주도의 고위직 협의체인 사회가치 경영위원회 등을 정비했다. 아직까지 ESG 경영으로 고도화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2021년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4건의 지적을 받았다. 주요 내용은 제대로 보고되지 않은 원전 점검 규제검사원의 검사 내용과 이유를 조사해 조치 등이다. 지적사항은 △2017년 1건 △2019년 1건 △2020년 5건 등으로 증가했다.종합청렴도 평가결과는 △2017년 3등급 △2018년 3등급 △2019년 3등급 △2020년 2등급 △2021년 3등급으로 개선되지 않고 있다. 자체 감사부서는 정원 3명에 현원 3명으로 한국에너지공단의 27.3%에 불과 하다. 2021년 12월31일 기준 전문인력은 상시·비상시를 불문하고 참여하지 않았다.2021년 기준 부채총계는 500억 원이며 자본총계는 809억 원으로 부채비율은 61.8%다. 부채는 △2018년 501억 원 △2019년 369억 원 △2020년 396억 원으로 2019년 감소했으나 다시 증가세를 나타냈다. 반면 자본총계는 △2018년 678억 원 △2019년 721억 원 △2020년 715억 원으로 증가했다.2021년 매출액은 1255억 원으로 2020년 1121억 원 대비 11.94% 확대됐다. 매출액은 △2018년 1067억 원 △2019년 1174억 원 △2020년 1121억 원 등 증가세를 보였다. 2021년 당기순이익은 81억 원으로 2017년 이후 처음으로 흑자를 기록했으며 2017~2020년은 모두 적자를 냈다.◇ 봉사활동·기부금액 감소해 대책 필요2021년 정규직 1인당 평균 보수액은 1억359만 원, 무기계약직 1인당 평균 보수액은 7401만 원으로 무기계약직 평균 연봉이 정규직 대비 71.4%다. 정규직 여성의 연봉은 9384만 원으로 남성의 1억515만 원 대비 89.3%로 높은 편이다.최근 5년간 징계 건수는 △2017년 3건 △2018년 1건 등 4건으로 집계됐다. 징계 사유는 △품위유지 의무 위반 △보안업무규정 위반 △취업규칙 위반 △임직원 행동강령 위반 등으로 조사됐다. 징계 종류는 정직 1명, 견책 3명이다.사회공헌활동에서 봉사활동 횟수는 △2017년 9회 △2018년 6회 △2019년 6회 △2020년 2회 △2021년 3회로 한국에너지공단의 1.8~14.1%, 한국가스안전공사의 1.0%~3.1% 수준으로 매우 낮다. 기부 금액은 △2017년 4657만 원 △2018년 5614만 원 △2019년 4259만 원 △2020년 5810만 원 △2021년 5830만 원으로 집계됐다.지난 3년간 중증장애인 생산품 구매액은 △2019년 3억3700만 원 △2020년 3억3300만 원 △2021년 2억5900만 원으로 매년 감소했다. 총구매액 대비 중증장애인 생산품 구매액 비율은 △2019년 1.21% △2020년 1.21% △2021년 0.86%로 축소됐다.일·가정 양립 지원제도 중 육아 휴직 사용자는 △2017년 9명 △2018년 11명 △2019년 17명 △2020년 18명 △2021년 16명으로 2018년 이후 꾸준히 10명대를 유지했다. 여성 사용자는 9~13명인데 반해 남성 사용자는 2018년부터 2~6명으로 적었다.홈페이지에 ESG 교육을 위한 교재는 없지만 △원자력 방사선 안전규제 △원자력 안전 △방사능 누출 시 대처요령 등을 파악하도록 홍보활동을 강화하고 있다. 교육 내용은 △기관장 및 신입 보직자 대상 부패방지 △방사선 작업종사자 정기교육·역량강화 교육·방사선 사고 및 테러 초동대응 교관양성 등이다.▲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의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 평가 결과◇ 에너지 총사용량 증가세 유지사업장별 에너지 총사용량은 △2016년 63.17TJ(테라줄) △2017년 65.94TJ △2018년 66.29TJ △2019년 66.25TJ △2020년 68.55TJ로 집계됐다. 2019년 소폭 감소된 것을 제외하면 증가세를 나타냈다.온실가스 감축률은 △2019년 35.07% △2020년 37.53% △2021년 38.03%로 상승했다. 온실가스 기준배출량은 △2019년 4991.23tCO₂eq(이산화탄소 환산t) △2020년 5356.78tCO₂eq △2021년 5356.78tCO₂eq으로 증가했다. 온실가스 배출량은 △2019년 3241.02tCO₂eq △2020년 3346.38tCO₂eq △2021년 3317.06tCO₂eq으로 등락을 반복했다.2021년 12월31일 기준 저공해 자동차 구매·임차 의무구매비율을 달성했다. 2021년 1종 전기·수소 차량 2대 일반차량 1대를 확보했다.녹색제품 구매 실적 비율은 △2019년 67.89% △2020년 58.18% △2021년 230%로 집계됐다. 녹색제품 구매액은 △2019년 3억3200만 원 △2020년 3억1300만 원 △2021년 7억6600만 원으로 대폭 증가했다. 2021년 녹색제품 구매 실적이 급상승한 이유는 산정 기준이 총구매액에서 구매이행계획으로 변경됐기 때문이다.사업장별 폐기물 발생량은 △2016년 14t △2017년 17.1t △2018년 17.6t △2019년 27.06t △2020년 1342.91t을 기록했다. 2020년 폐기물 발생량은 2019년 대비 49.63배에 달했지만 갑자기 증가한 이유를 밝히지 않았다.◇ 전문인력 배치해 부정행위 척결해야△거버넌스(Governance·지배구조)=2021년 ESG 경영 및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으나 ESG 경영을 위한 체계를 구축하지 않았다. 종합청렴도는 2등급 1회를 제외하면 3등급으로 개선의 여지가 많다. 특히 자체 감사부서에 전문인력이 없어 부정행위를 적발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사회(Social)=무기계약직 연봉이 정규직 대비 71.4%로 한국에너지공단보다 높은 수준이며 정규직 여성의 연봉은 남성의 89.3%로 큰 차이가 없다. 봉사활동은 연평균 5.2건에 불과했으며 중증장애인 생산품 구매액도 감소해 사회적 가치에 대한 인식을 제고해야 한다.KINS는 한빛 4호기가 재가동될 수 있도록 구조적 문제가 없다는 결론을 내렸으나 원자로 격납건물 콘크리트 곳곳에 빈 구멍인 공극이 대량 발견되면서 판단 근거에 의문이 제기됐다. 2013년 적발된 원전 비리로 원전마피아라는 용어가 탄생했지만 여전히 전문영역이라며 복마전이 벌어진다.△환경(Environment)=본사의 에너지 사용량과 온실가스 배출량이 증가해 에너지경영을 강화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2020년 폐기물 발생량이 급증했으나 구체적인 원인을 밝히지 않았다.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ESG 경영을 추진하므로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김백건 국가정보전략연구소 선임연구원[출처=iNIS]- 계속 -
-
아랍에미리트 연방원자력규제청(FANR)에 따르면 원자력에너지기업인 나와 에너지(Nawah Energy)가 바라카 원자력발전소(Barakah Nuclear Power) 1호기의 정기적 핵연료 보급과 정비를 시작했다.바라카 원자로 1호기는 2020년 전력 생산능력의 50% 달성 이후 이번에 정기적인 핵연료 재급유 단계를 위한 유지보수를 시작한 것이다. 이번 단계에서 새로운 핵연료 조립체가 배치된다. 전력 생산에 사용되는 장비, 안전 관련 시스템 등에 대한 몇 가지 유지보수 및 시험 활동 등도 수행된다.2022년 4월 현재 연방원자력규제청(FANR)은 바라카 원자로 1호기의 핵연료 주입 및 유지관리 단계에서 연방 당국의 규정에 의해 요구되는 모든 관련 활동을 보장하기 위한 규제 감독활동을 수행하고 있다.바라카 원자로 1호기의 전력 수준을 더욱 높이고 2호기에 대한 운영 준비를 계속함에 따라 향후 몇 개월 동안 추가 성과를 기대하고 있다.바라카 원자로 1호기는 아랍에미리트의 국가 송전망에 국내 최초로 메가와트급 청정 전기를 안전하게 성공적으로 송전한 기록을 세웠다. 2020년 9월 에미레이트 원자력공사(ENEC)와 한국전력공사(KEPCO)의 합작법인인 나와 에너지(Nawah Energy)는 바라카 원자력발전소 원자로 1호기가 전력 생산능력의 50%를 달성했다고 발표했다.▲연방원자력규제청(FANR) 로고
-
2022-01-14일본 도쿄전력(東京電力)에 따르면 로봇을 활용해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의 원자로 내부 조사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조사는 6개월 이상 지속될 예정이다. 해체 과정의 일부로서 원자로 내부의 잔해물을 제거하기 위한 목적이다. 잔해물은 용융된 핵연료와 금속 부품으로 구성된다. 로봇은 6가지 유형의 탐침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로봇은 초음파 장치를 사용하여 원자로 격납 용기 내부에서 파편을 찾고 파편의 두께를 측정할 계획이다. 또한 파편의 샘플을 수집할 방침이다.또한 로봇이 이동하는 경로에 덮개가 설치될 예정이다. 로봇이 수중에서 원활하게 이동하기 위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위험한 작업에 로봇의 활용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도쿄전력(東京電力)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인도 경영컨설팅 기업인 아발론 컨설팅(Avalon Consulting)에 따르면 2022년 1월 10일 '2023년 일류 화이트기업 랭킹 TOP 100(2023年卒版 一流ホワイト企業ランキング TOP100)'을 발표했다. 조사 기간은 2021년 1월부터 12월까지로 직장 환경, WLB, 급여, 복리후생, 성장 환경, 사업 전망, 재무 재표 등을 지표로 약 1만3000개사에 대한 화이트 경영 정도를 점수로 매겨 산출했다. 일본 도쿄전력(東京電力)에 따르면 로봇을 활용해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의 원자로 내부 조사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조사는 6개월 이상 지속될 예정이다. 해체 과정의 일부로서 원자로 내부의 잔해물을 제거하기 위한 목적이다. 잔해물은 용융된 핵연료와 금속 부품으로 구성된다. 로봇은 6가지 유형의 탐침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글로벌 라이프스타일기업인 요기보(Yogibo)에 따르면 웹샤크(ウェブシャ?ク)가 미국의 요기보 본사를 인수했다. 인수 금액은 비공개됐으며 웹샤크는 일본의 요기보 판매대리점이다. 인해당사의 일본 판매는 2014년 일본 총대리점 계약을 체결한 이후 시작됐다. 2021년 7월 요기보의 인수 타진 이후 2021년 12월 지분 양도 계약을 맺고 양도를 완료했다. ▲요기보(Yogibo) 로고
-
2021-08-11일본 전력회사인 도쿄전력(東京電力ホールディングス)에 따르면 신규 경영 재건 계획을 발표했다. 2020년 봄 작성할 예정이었지만 중국발 코로나-19 팬데믹 등의 영향으로 1년 이상 연기됐다. 해당 계획은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사고 이후 배상과 폐수 처리 비용 등을 염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고 처리 비용인 22조엔에서 약 16조엔을 도쿄전력 측에서 부담하는 방안은 변경되지 않았다.2030년 이후 폐로 등 비용은 연간 5000억엔 부담하고 이익 향상을 목표로 정했다. 원자력규제위원회가 핵연료의 이동금지명령을 내렸지만, 조기에 재가동하는 방안을 찾고 있다.▲도쿄전력(東京電力ホールディングス) 빌딩(출처 : 홈페이지)
-
2020-10-06일본 전국경자동차협회연합회(全国軽自動車協会連合会)에 따르면 2020년 9월 경자동차 신차 판매대수는 17만6185대로 집계됐다. 2019년 동월 대비 12.1% 감소한 것으로 12개월 연속 하락세를 기록했다. 중국발 코로나 19 팬데믹 영향으로 판매가 급감했다.일본 총무성(総務省)에 따르면 2019년 야마가타현과 총 35시읍면의 기부 건수는 2017년 대비 1억건 감소했다. 건수가 감소한 한편 기부 총액은 과거 최고액인 234억5748만엔으로 집계됐다. 전국 기준으로 기부 액수는 총 4875억엔으로 2019년 대비 약 252억엔이 감소했다. 7년 만에 하락한 것으로 공제적용자 수는 406만명으로 2019년 대비 10만명 증가했다. 일본 전력회사인 도쿄전력(東京電力)에 따르면 2021년 3월~4월 안에 가시와자키 가리와 원자력발전소(柏崎刈羽原発) 7호기에 핵연료를 장전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 해당사는 가시와자키 가리와 발전소를 재가동하는 것을 목표로 정했다. 아직까지 발전소가 위치한 니가타현에서 논의를 시작할 예정은 없다. ▲도쿄전력(東京電力) 홈페이지
-
영국 베이커리전문업체인 파티세리 발레리(Patisserie Valerie)에 따르면 마이클 애슐리(Mike Ashley)가 인수전에 뛰어든 것으로 드러났다. 파티세리 발레리는 지난달 파산했다.미국 사모펀드인 Carlyle Group LP가 인수하는 것으로 거의 확정적이었지만 새로운 경쟁자가 나타난 것이다. 현재 글로벌 컨설팅기업인 KPMG가 법정관리를 맡고 있다.글로벌 환경단체인 그린피스(Greenpeace France)에 따르면 노르망디의 핵 시설 위로 2대의 드론을 날려 조난탄을 투하했다. 핵시설은 코탱틴(Cotentin) 반도의 라 헤이그(La Hague)에 위치해 있으며 세계 최대의 핵연료 가공시설이다. 그린피스는 핵 시설이 외부의 공격으로부터 충분히 보호받지 못한다는 것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고 밝혔다. 특히 이 드론이 4개의 30년된 풀(pool)건물의 옥상에서 조난탄을 발사할 수 있었다는 것은 충격적인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 영국 시장조사회사인 스프링보드(Springboard)에 따르면 2019년 1월 기준 빈 점포의 비율이 9.9%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2018년 1월 8.9%에서 동년 10월 9.6%를 기록한 이후 더욱 상승한 것으로 드러났다. 지역별로 보면 북아일랜드가 14%, 북잉글랜드가 13.2%로 가장 높았다. ▲Mothercare 로고
-
2019-02-12글로벌 환경단체인 그린피스(Greenpeace France)에 따르면 노르망디의 핵 시설 위로 2대의 드론을 날려 조난탄을 투하했다. 핵시설은 코탱틴(Cotentin) 반도의 라 헤이그(La Hague)에 위치해 있으며 세계 최대의 핵연료 가공시설이다.그린피스는 핵 시설이 외부의 공격으로부터 충분히 보호받지 못한다는 것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고 밝혔다. 특히 이 드론이 4개의 30년된 풀(pool)건물의 옥상에서 조난탄을 발사할 수 있었다는 것은 충격적인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즉 세계에서 가장 많은 양의 방사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건물의 가장 약한 지점에 대한 점화를 시도한 것이기 때문이다. 프랑스의 국가경찰은 밖으로 나와 근처의 차량을 조사했지만 누구도 체포되지 않았다.프랑스에서는 핵 시설에 급접해 드론을 비행할 수 없다. 이를 어긴 범죄자는 1년까지 감옥에 수감되거나 최대 €7만5000 유로, 약 $ 8만5000달러의 벌금형을 부과 받을 수도 있다.2019년 1월 1일부터 800g(1.8lb)보다 무거운 드론을 알파탱고(AlphaTango) 포털에 등록해야 한다. 또한 알파탱고 사이트에서 미니 교육세션을 이수해야 한다.최근 사용 빈도가 급증하고 있는 드론을 이용해 손쉽게 핵 시설에 대한 공격을 시도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보다 강화된 안전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France-GreenpeaceFrance-Drone▲ 프랑스 라 헤이그의 핵 시설 옥상에서 피어오르는 조난탄 연기(출처: 그린피스 홈페이지)
-
우크라이나 국영원자력발전업체 Energoatom에 따르면 2017년 내로 미국 발전업체 웨스팅하우스(Westinghouse)로부터 '핵연료'를 공급받을 예정이다.기존에는 대부분 러시아로부터 핵연료를 조달했지만 양국간 외교관계에 마찰이 발생되면서 공급원이 불안정한 상태다. 지난 2016년에도 웨스팅하우스 스웨덴 발전소로부터 핵연료를 수입했다. ▲Energoatom 로고우크라이나 천연자원부에 따르면 2017년 체르노빌(Chernobyl) 지역에 2500메가와트(MW) 규모 태양광발전소가 설립될 계획이다.발전소 설치 목적은 ▲국가 신재생 프로젝트 중심지로서 역할을 부여 ▲향후 화석연료에 대한 의존도 완화 등 에너지 안보와 직결된 것이다.글로벌 신용평가기관 피치(Fitch)에 따르면 2017년 우크라이나 경제성장률이 기존 2.5%에서 2.0%로 햐향 전망됐다. 지난 2016년 경제성장률 2.3% 보다 하락될 것으로 평가됐다.올해 대외경기 불황 및 러시아와 블록상태로 광업, 금속가공, 전력 등 주요 산업이 성장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국제기구로부터 금융지원이 전개되고 있지만 회복단계까지 갈 길이 먼 상태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