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성병"으로 검색하여,
3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말레이시아 표준부(Department of Standards Malaysia, DSM) 홈페이지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두고 있는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활동 중인 기술위원회(Technical Committeee, TC)는 TC 1~TC 323까지 구성돼 있다.기술위원회의 역할은 기술관리부가 승인한 작업범위 내 작업 프로그램 입안, 실행, 국제규격의 작성 등이다. 또한 산하 분과위원회(SC), 작업그룹(WG)을 통해 기타 ISO 기술위원회 또는 국제기관과 연계한다.ISO/IEC 기술작업 지침서 및 기술관리부 결정사항에 따른 ISO 국제규격안 작성·배포, 회원국의 의견 편집 등도 처리한다. 소속 분과위원회 및 작업그룹의 업무조정, 해당 기술위원회의 회의 준비도 담당한다.1947년 최초로 구성된 나사산에 대한 TC 1 기술위원회를 시작으로 순환경제를 표준화하기 위한 TC 323까지 각 TC 기술위원회의 의장, ISO 회원, 발행 표준 및 개발 표준 등에 대해 살펴볼 예정이다.이미 다룬 기술위원회와 구성 연도를 살펴 보면 △1947년 TC 1~TC 67 △1948년 TC 69 △1949년 TC 70~72 △1972년 TC 68 △1950년 TC 74 △1951년 TC 76 △1952년 TC 77 △1953년 TC 79, TC 81 △1955년 TC 82, TC 83 △1956년 TC 84, TC 85 △1957년 TC 86, TC 87, TC 89 △1958년 TC 91, TC 92 △1959년 TC 94 △1960년 TC 96, TC 98 △1961년 TC 101, TC 102, TC 104 등이다.△1962년 TC 105~TC 107 △1963년 TC 108~TC 111 △1964년 TC 112~TC 115, TC 117 △1965년 TC 118 △1966년 TC 119~TC 122 △1967년 TC 123 △1968년 TC 126, TC 127 △1969년 TC 130~136 △1970년 TC 137, TC 138, TC 142, TC 145 △1971년 TC 146, TC 147, TC 148, TC 149, TC 150, TC 153 △1972년 TC 154 △1973년 TC 155 등도 포함된다.ISO/TC 157 비체계적 피임약 및 성병(STI) 예방 콘돔(Non-systemic contraceptives and STI barrier prophylactics)과 관련된 기술위원회는 TC 156과 마찬가지로 1974년 결성됐다. 사무국은 말레이시아 표준부(Department of Standards Malaysia, DSM)에서 맡고 있다.위원회는 페리스 프레데릭(Mr Feris Frederick)이 책임지고 있다. 현재 의장은 파리다 하님 압 하난(Dr Faridah Hanim Ab Hanan)로 임기는 2026년까지다. ISO 기술 프로그램 관리자는 페트리샤 쿡(Mme Patricia Cook), ISO 편집 관리자는 마사 카산토산(Mrs Martha Casantosan) 등으로 조사됐다.범위는 비체계적 피임약 및 성병(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s, STI)을 예방하기 위한 콘돔의 표준화다.현재 ISO/TC 157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발행된 표준은 18개며 ISO/TC 15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개발중인 표준은 2개다. 참여하고 있는 회원은 24개국, 참관 회원은 28개국이다.□ ISO/TC 157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발행된 표준 18개 목록▷ISO 4074:2015 Natural rubber latex male condoms — Requirements and test methods▷ISO 7439:2023 Copper-bearing contraceptive intrauterine devices — Requirements and tests▷ISO 8009:2014 Mechanical contraceptives — Reusable natural and silicone rubber contraceptive diaphragms — Requirements and tests▷ISO 11249:2018 Copper-bearing intrauterine contraceptive devices — Guidance on the design, executi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clinical studies▷ISO 16037:2002 Rubber condoms for clinical trials — Measurement of physical properties▷ISO 16037:2002/Amd 1:2011 Rubber condoms for clinical trials — Measurement of physical properties — Amendment 1▷ISO 16038:2017 Male condoms — Guidance on the use of ISO 4074 and ISO 23409 in the quality management of condoms▷ISO 19351:2019 Fallopian rings — Requirements and test methods▷ISO 19671:2018 Additional lubricants for male natural rubber latex condoms — Effect on condom strength▷ISO/TR 19969:2018 Guidance on sample handling for determination of bursting volume and pressure, and testing for freedom from holes for male condom▷ISO 23409:2011 Male condoms — Requirements and test methods for condoms made from synthetic materials▷ISO/TR 24484:2023 Female condoms — Use of ISO 25841 and the quality management of female condoms▷ISO 25841:2017 Female condoms — Requirements and test methods▷ISO 25841:2017/Amd 1:2020 Female condoms — Requirements and test methods — Amendment 1▷ISO 29941:2010 Condoms — Determination of nitrosamines migrating from natural rubber latex condoms□ ISO/TC 157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개발 중인 표준 2개 목록▷ISO/CD 4074 Natural rubber latex male condoms — Requirements and test methods▷ISO/TS 23148 Compatibility of lubricants with synthetic male condoms
-
▲삼성SDI 자동차배터리 실험실 이미지(출처 : 삼성 홈페이지) ◈ 비전2020으로 추진하는 신사업 모두 성과 부진삼성은 이건희 회장이 삼성특검으로 퇴진한 복귀하면서 ‘비전2020’을 내 세웠다. 새로운 시대에 걸 맞는 신사업을 벌이고 국내에 치중된 기존의 사업구조를 바꾸는 것이 골자다.삼성의 거침없는 행보가 국가경제를 견인하고 국민전체를 먹여 살릴 수 있을 것이라는 환상에 젖어 환호했다.허망한 꿈으로 끝난 MB정부의 ‘747공약’이 머지 않아 실현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가질 수 있게 했다. 삼성이 추진하고 있는 신사업과 3세들이 추진하는 사업에 대해 진단해 보자.삼성은 2010년 초 태양전지, 전기차 배터리, LED, 바이오 제약, 의료기기 등 5개 미래 신수종 사업분야에 23조3000억원을 투자하겠다고 발표했다.2020년까지 50조원의 매출을 올리고, 4만5000개의 일자리도 늘리겠다는 구상을 세웠다. 5년이 지난 시점에서 보면 성과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일부 신수종 사업의 추진실적을 간략하게 살펴보자.첫째, 태양전지 사업은 삼성SDI가 주도하고 있는데 실적이 거의 없다. 각종 자료를 보면 연구개발을 하고 관련 기술을 확보하고 있다고 하지만 눈에 띄는 성과는 나지 않는다.미국 오바마 대통령이 ‘미국경제의 미래’라고 극찬한 미국의 솔린드라(Solyndra)가 2011년에 파산했다. 독일의 태양광산업 간판기업인 솔론(Solon)도 파산신청을 했다.이들 유망기업들이 파산한 이유는 각국의 재정위기로 인한 투자축소, 시장의 공급과잉, 중국업체의 덤핑공세 등이다.삼성SDI도 중국업체가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결정질 대신 박막형 태양전지사업으로 방향을 선회했다고 하지만 미래가 밝은 것은 아니다.둘째, 전기차 배터리도 LG화학과 일본기업들이 이미 시장을 선점하고 있어 성과를 내기 쉽지 않다. LG화학이 GM 등 글로벌선도 자동차기업들과 배터리공급계약을 맺고 활발한 영업활동을 하고 있지만 정작 삼성SDI은 출발도 하지 못하고 있다.삼성에서 배터리사업을 주도하던 삼성SDI는 갤럭시 노트 리콜 사태로 배터리사업의 문제점을 드러냈다. 기술력을 확보하지 못한 상황에서 무리하게 사업을 추진한 결과다.LG화학도 기술력을 보유한 일본기업과 가격경쟁력을 갖춘 중국기업과의 사이에서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본격적인 전기자동차 시대가 열리면 LG화학의 미래도 장담하기 어려운 상황이다.셋째, 바이오 제약과 의료기기사업도 계획대비 실적이 저조하기는 마찬가지다. 의료기기사업은 국내 1세대 초음파 의료기기 업체인 메디슨을 2010년 인수한 후 삼성메디슨으로 바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계열사를 동원해 병원설계와 건설, 의료장비, 정보시스템까지 일괄적으로 수출하겠다는 구상을 했지만 아직 구체적인 결과는 내놓지 못하고 있다.의욕적인 것은 좋은데 삼성물산이 병원설계와 건설에 노하우를 가지고 있는지, 삼성병원이 경쟁력이 있는 운영시스템을 가지고 있는지, 삼성SDS가 병원정보시스템 구축의 경험이 풍부한지 등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우선이라고 본다.삼성이 추진하고 있는 신사업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는 이유가 분명 있는데 실패를 숨기기 위해 핑계거리를 찾고 있지 않나 판단된다.정말 간판기업인 삼성전자가 반도체와 스마트폰 이후의 신성장동력을 찾고자 한다면 기존 사업의 실패원인부터 냉정하게 찾는 것이 우선이다. ◈ 이재용 부회장도 갤럭시노트7 리콜사태에서 리더십 부재 논란 초래,3세들이 추진하는 신사업도 삼성의 위상에 맞지 않거나 삼성의 독특한 기업문화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이건희 회장의 장녀인 이부진이 호텔신라 대표이사는 양식당, 중식당, 일식당은 늘리고 한식당은 줄여서 논란을 초래했다. 호텔사업의 정체성이 없다는 평가를 받는다.둘째 딸인 이서현 제일모직 부사장이 주도하고 있는 ‘8 Second’라는 의류소매점 체인사업도 좋은 결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자라, H&M, 유니클로 등과 같은 글로벌 SPA업체와 경쟁에서 밀리고 있다.이재용 부회장도 ‘e 삼성’을 실패한 후 그룹의 간판기업인 삼성전자에서 경영권수업을 받은 후 이제 전면에 나서고 있다.삼성특검으로 물러난 후 다양한 경험을 쌓기 위해 노력했다고 주장하지만 갤럭시노트7 리콜 사태에서 별다른 리더십을 보여주지 못했다.삼성이 추진하는 신사업과 3세들의 사업을 진단한 이유는 신사업을 추진하면서 성장성, 수익성 등도 검토해야 하지만 정작 중요한 것은 기업문화와 적합도 평가라는 점을 강조하기 위함이다.단기적 성과가 달성 가능한 제조업에 익숙한 삼성의 기업문화가 장기적 노력이 필요하고 섬세한 정서통제가 필요한 서비스업에 적합하지 않다.삼성전자가 강점을 가지고 있는 반도체나 스마트폰 제조업은 단기 운용(operation)노력이 필요한 제품이다. 운영은 다양한 지식과 경험을 실천해야 하기 때문에 관리능력이 중요하다.반면에 바이오 제약이나 의료기기는 장기 연구개발(R&D)과 임상실험이 필요하다. 연구개발에는 삼성이 자랑하는 관리능력이 아니라 창의성이 필요하다.제품이 요구하는 기업문화가 다르다는 말이다. 삼성의 장점은 제품의 품질이나 신뢰도가 아니라 서비스다.전자제품이나 휴대폰은 품질과 안전성에 대한 테스트를 하지 않고 팔아도 된다. 소비자가 항의를 하면 수리해 주거나 수리가 불가능하면 교체해 주면 된다.삼성전자의 가전제품도 LG전자에 비해 품질경쟁력이 뒤떨어졌지만 삼성전자는 이런 방식의 서비스정책으로 성장했다. 몇 년 전부터 서비스를 아웃소싱한 이후 강점이 사라졌다는 평가도 받고 있다.하지만 제약이나 의료기기는 사람의 생명을 다루기 때문에 ‘신뢰’가 가장 중요하다. 신뢰는 하루아침에 쌓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단기적 성과와 품질경쟁보다는 서비스경쟁에 익숙한 삼성의 기업문화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영역이 아니다.삼성이 비전 2020을 제시하면서 목표로 정한 신사업을 성공시키려면 삼성 기업문화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와 개선노력이 우선이라고 보는 이유다. – 계속 - 민진규 <국가정보전략연구소장>stmin@hotmail.com
-
▲삼성비전 2020을 소개한 책 ◈ 새 도약 발판 마련하기 위해 비전을 수립했지만 실적은 미진삼성은 그룹차원에서 글로벌 선도기업으로 도약하라는 목표를 제시하고 계열사별로 상응하는 비전(vision)을 수립하라고 요구했다. 대표기업인 삼성전자의 비전은 ‘Inspire the World, Create the Future’이다.미래사회에 대한 영감을 불어 넣고, 고객(Industry), 사회(Partner), 임직원(Employee)의 새로운 가치를 도모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인류사회의 번영을 가져오는 새로운 미래를 창조한다는 의미라고 한다.삼성전자는 2009년 10월 30일 2020년까지 매출 목표 4000억달러, 세계 10대 기업, 세계 1위 IT기업, 브랜드가치 5위 기업 등의 세부 목표를 세웠다.비전은 기업이 미래에 도달하고자 하는 목표(goal)이고 미션(mission)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실천방안이다. 삼성의 기업문화를 진단하기 위해 국가정보전략연구소가 개발한 SWEAT Model의 첫 번째 DNA인 비전(Vision)을 목표(Goal)와 책임(Responsibility) 측면에서 평가해 보자.삼성을 포함한 국내 대기업들의 비전에 빠짐없이 등장하는 용어가 신성장동력 확충, 글로벌 선도기업, 브랜드가치 극대화 등이다.삼성전자를 제외하고 삼성생명, 삼성카드, 삼성화재, 삼성중공업, 삼성물산 등 삼성 대표계열사들의 경영실적이 좋지 않다.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를 창안하지 못한 국내 대기업은 제품의 모방, 제조원가 절감으로 글로벌 선도기업과 승부를 벌였다.삼성전자도 하드웨어 경쟁력은 세계 최고 수준이지만 정작 디자인, 브랜드, 소프트웨어 등의 경쟁력은 보완이 절실하다. 매출과 영업이익의 대부분을 점하고 있는 스마트폰은 하드웨어 제조에만 머물러 있고 운영체제는 구글(Google)의 안드로이드에 의존하고 있다.삼성그룹 전체가 하드웨어 중심에서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사업전환을 위해 노력하는 걸 높게 평가하지만 아직 큰 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애플(Apple)과 기업의 운명을 건 특허싸움을 벌이고 있지만 이 싸움의 진정한 승자는 삼성이나 애플이 아니라 구글이 될 가능성이 높다. ◈ 삼성전자도 반도체와 스마트폰에 대한 매출의존도가 심화 중이건희 회장은 김용철 변호사의 내부고발로 경영에서 물러났다가 복귀하면서 조직에 활력을 불어넣고 새로운 도약의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 비전 2020을 세웠다.2016년 10월 현재 삼성전자를 제외하고 몇몇 계열사의 비전 2020을 들여다보면 실현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세계 유수의 병원이 되겠다는 삼성병원은 실제로는 지명도 측면에서 서울대병원이나 현대아산병원에 밀리고 있다.삼성생명은 그런대로 시장지배력을 갖고 있지만 다른 금융계열사인 삼성화재, 삼성카드 등은 국내업체와의 경쟁력에서도 밀리고 있다.삼성전자는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 가전, 반도체, 휴대폰, LCD, 스마트폰 이외에 태양광사업, 바이오 사업 등으로 사업영역을 확장하기로 결정했다.하지만 그린사업, 태양광사업은 출발도 하지 못하고, 의료사업도 메디슨을 인수한 것을 제외하면 진척이 더디다.의욕적으로 추진한 신사업이 부진하면서 기존 사업에 대한 매출과 영업이익의 의존도는 심화되고 있다. 최근 발생한 갤럭시노트의 리콜사태로 드러났지만 반도체와 스마트폰을 제외하면 다른 사업의 실적은 좋지 않다. – 계속 - 민진규 <국가정보전략연구소장>stmin@hotmail.com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