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물가상승률 급상승"으로 검색하여,
11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터키 정부에 따르면 2021년 12월 현재 물가상승률이 21%를 상회한 것은 공격적인 금리 인하를 추진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20년간 집권해온 에르도안(Erdogan) 대통령은 "집권했을 때 물가상승률을 4%로 낮췄듯이 조만간 다시 낮출 것"이라고 주장한다. 미국 글로벌 인터넷 대기업인 구글(Global)에 따르면 나이지리아와 우간다의 지도앱을 개발하는 벤처기업인 세이프보다(SafeBoda)에 투자할 계획이다. 아프리카투자펀드에 투자금을 지출한다.구글은 아프리카 대륙의 디지털 변환 지원을 위해 US$ 10억달러 규모의 아프리카투자펀드를 설립했다. 향후 5년간 관련 스타트업에 투자할 예정이다.남아프리카공화국 제지업협회(PAMSA)에 따르면 2022년 포장 비용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회수되는 폐지 및 갈색 골판지 부족 등으로 포장용 박스 가격이 비싸지고 있기 때문이다.코로나-19 사태로 지난 20개월 동안 많은 학교 및 사무실 등이 폐쇄되면서 폐지가 나오지 않고 있다. 국내 제분소의 폐지 재고량은 봉쇄 기간 동안 63% 감소했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제지업협회(PAMSA) 홈페이지
-
2021-12-20터키 정부에 따르면 2021년 12월 현재 물가상승률이 21%를 상회한 것은 공격적인 금리 인하를 추진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20년간 집권해온 에르도안(Erdogan) 대통령은 "집권했을 때 물가상승률을 4%로 낮췄듯이 조만간 다시 낮출 것"이라고 주장한다. 리라화를 폭락시킨 정책이 성공적인 '경제 독립 전쟁'의 일부라고 주장하고 있다. 수출과 고용, 투자와 성장을 촉진시킬 것이라고 말한다.하지만 대부분의 경제학자들은 무모한 도전이라고 지적하며 2022년 물가상승률이 30% 이상으로 치솟을 것이라고 예측한다.2021년 12월 중순 기준 미국 달러 대비 리라화 환율은 사상 최저치인 17달러를 돌파했다. 물가상승률이 악화될 것이라는 우려로 인해 리라화는 2021년 55%, 지난 한달 동안 37%의 통화 가치를 잃었다. 최근 터키의 최대 기업단체인 TUSIAD는 정부에게 저금리 정책을 포기하고 고금리 정책으로 돌아갈 것을 요구했다. 야당은 즉각적인 선거를 원하지만 20년간 집권해온 에르도안 대통령은 야당 및 TUSIAD의 요구들을 일축했다. 2023년 중반 전국 선거가 예정돼 있다.2021년 12월 셋째주 주말 수도 이스탄불(Istanbul)과 남동부 도시인 디야르바키르(Diyarbakir) 등에서는 수천명의 시위대가 치솟는 생활비에 대해 항의했다.▲정부 홈페이지
-
2021-06-22영국 싱크탱크인 레절루션 파운데이션(Resolution Foundation)에 따르면 2021년 6월 현재 기준 향후 몇 달 안에 물가상승률이 4%를 넘어설 것으로 예측된다.2021년 4월 12일부터 중국발 코로나-19 사태로 봉쇄됐던 경제가 개방됐고 소비자들이 지난 16개월 동안 쌓아온 저축의 일부를 소비하기 시작하면서 물가 급상승을 경고한 것이다.물가 급상승으로 인해 가구당 평균 소득이 £700파운드나 줄어드는 셈이다. 2022년인 내년 연초까지 저소득층은 최악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한다. 정부는 2021년 4월 도입한 1주당 20파운드의 소득별 차등 보조금인 유니버셜 크레딧의 인상분을 원상복귀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레절루션 파운데이션은 정부의 유니버셜 크레딧 인상분이 복귀 및 축소될 경우 빈곤층이 더욱 증가할 것이라며 우려를 제기했다.2021년 5월 600만명의 사람들이 유니버셜 크레딧을 청구했다. 이는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한 첫번째 경제 봉쇄 이전의 총 청구자 대비 100% 증가한 수치이다. ▲레절루션 파운데이션(Resolution Foundation) 홈페이지
-
영국 싱크탱크인 레절루션 파운데이션(Resolution Foundation)에 따르면 2021년 6월 현재 기준 향후 몇 달 안에 물가상승률이 4%를 넘어설 것으로 예측된다.2021년 4월 12일부터 중국발 코로나-19 사태로 봉쇄됐던 경제가 개방됐고 소비자들이 지난 16개월 동안 쌓아온 저축의 일부를 소비하기 시작하면서 물가 급상승을 경고한 것이다.영국 수퍼마켓 체인운영기업인 테스코(Tesco)에 따르면 국내에 계산대 없는 비접촉식 매장인 체크아웃 프리 매장을 처음 오픈할 예정이다. 미국의 거대 소매업체인 아마존(Amazon)의 체크아웃 프리 매장인 아마존 프레쉬(Amazon Fresh) 매장이 국내에서는 런던 서부지역에 처음 오픈한 바 있다. 영국 수퍼마켓 체인운영기업인 모리슨(Morrisons)에 따르면 미국 사모펀드 투자기업인 클레이턴 두빌리어 & 라이스(CD&R)의 £55억파운드 자사 인수 제안을 거절했다. 모리슨은 CD&R가 자사의 사업과 미래 전망을 크게 저평가한 것으로 판단했다. 이로 인해 모리슨에 대한 인수 경쟁이 더욱 치열해 질 것으로 전망된다. ▲모리슨(Morrisons) 홈페이지
-
나이지리아 금융자원기업인 나이라메트릭스(Nairametrics)에 따르면 2020년 5월 넷째주 나이지리아 원유인 보니라이트(Bonny Light) 가격은 1배럴당 US$ 33.95달러에 거래됐다. 2달러나 오른 금액이다.선진국들이 코로나바이러스 백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세계 경제가 봉쇄를 완화하고 있다는 소식 등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투자자들이 긍정적으로 돌아섰다. 나이지리아 농산물생산기업인 토마토조스(Tomato Jos)에 따르면 투자회사 컨소시엄을 통해 시리즈 A라운드에서N18억3000만나이라 자금을 확보했다. , EUR 390만유로에 해당되는 금액이다.컨소시엄을 구성해 투자한 회사는 Goodwell Investments, Aliyheia Capital, Acumen Capital Partners, VestedWorld 등이다.나이지리아 통계청(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NBS)에 따르면 2020년 4월 물가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12.34%나 급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2020년 4월 물가상승률은 전월인 3월의 12.26% 대비 0.08% 포인트 더 높아졌다. 이러한 수치는 2018년 4월 이후 최고 수치이다. ▲통계청(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NBS) 홈페이지
-
나이지리아 전자상거래기업인 주미아(Jumia)에 따르면 2020년 1분기 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21% 상승해 €1840만유로로 집계됐다.중국발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경제활동 봉쇄에도 불구하고 전자상거래 사업의 장점인 비대면 사업이 이익 상승에 기여했다.나이지리아 통계청(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NBS)에 따르면 2020년 4월 물가상승률은 12.95%로 전년 동월 0.69% 대비 급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수치는 8개월 연속해서 상승한 것으로 지난 2년 중 최고 수준이다. 물가상승률 급등의 주요인은 계절적 및 구조적 충격 등으로 조사됐다. 나이지리아 석유제품 소매점소유자 협회인 PETROAN(Petroleum Products Retail Outlets Owners Association of Nigeria)에 따르면 정부의 석유 후방산업 부문에 대한 규제 완화 주장에 반대한다.중국발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역사적으로 낮은 국제유가에 비해 국내 디젤 및 등유가격은 여전히 높기 때문이다. 또한 규제 완화된 시장에서 석유가격이 고정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PETROAN(Petroleum Products Retail Outlets Owners Association of Nigeria) 홈페이지
-
인도 정부에 따르면 담배 소비량 감소를 위해 모든 담배 제품에 세금 28%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 담배의 일종인 bidi를 포함된다. 탄산음료, 담배, 고급 승용차, 판마살라를 해로운 상품 목록으로 분류하며 해당 상품들의 소비량을 감소하기 위해 세율을 높일 계획이다. 인도 IT기업인 GSTN(Goods and Services Tax Network)에 따르면 중앙정부 및 주정부에 대한 평균 청구액은 매달 50~70루피이다. 해당사의 포털사이트 이용료로 납세자가 등록, 신고, 세금 납부, 환급 등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처음에는 납세자 1인당 매달 50루피로 책정했으나 운영비용 등을 감안해 평균 50~70루피 사이로 정했다. ▲Goods and Services Tax Network(GSTN) 로고 인도 중앙은행(RBI)에 따르면 인플레이션에 대한 부담으로 금리비율을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금융 전문가들은 가격 변동성을 위협적으로 판단했으나 산업성장률이 곧 향상할 것으로 전망했다. 산업 성장률이 2017년 2월 예기치 못하게 축소되며 소비자 물가상승률은 3월 5개월만에 최고치로 급상승했다. 산업 생산량은 2017년 1월 3.3%에서 2월 1.2%로 감소했다.
-
러시아 푸틴 대통령은 군대 퇴직자에게 5000루블의 연금을 지불하라고 명령했다. 2017년 군퇴직연금 수혜자는 258만명에 달한다. 정부가 연금제도를 개편하면서 국방부에서 연금을 받는 군 퇴직자를 제외했고 이들의 연금은 이보다 적기 때문이다.푸틴이 모든 연금생활자를 동일하게 대우하라고 명령했기 때문에 2017년 초부터 모든 연금생활자는 5000루블을 받게 된다. 2016년 수령액보다 4% 증액된 것인데 물가상승률인 12.9%보다는 낮다.미국 소프트웨어회사인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에 따르면 2017년 러시아에서 제품가격을 9~10% 인상할 계획이다. 개인용은 10%, 기업용은 9% 각각 인상한다.하지만 클라우드서비스 등의 가격은 인상하지 않는다. 2016년 연말까지 해당제품을 구입할 경우 현재 가격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이라고 주장했다. 러시아 연방독점청(FAS)에 따르면 2016년 5~9월 시부르(SIBUR)와 가즈프롬(Gazprom)이 LNG가격을 과다하게 올렸는지 여부를 조사하고 있다. 이들 기업은 국내시장에 LNG공급을 줄임으로서 가격을 올렸다는 혐의를 받고 있다. 9월 16일 기준 LPG평균가격은 톤당 2만2800루블로 5월초 8100루블에 비해 급상승했다.▲ Russia_FAS(Federal Tariff Service)_Homepage▲러시아 연방독점청(FAS) 홈페이지러시아 소비자보호위원회에 따르면 2016년 1~9월 독극물과 같은 위생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육고기는 0.06%로 1% 이하를 기록했다. 최소한 10만건의 샘플을 조사한 결과다.동기간 박테리아와 같은 미생물검출 기준을 충족시키기 못한 경우는 4%로 전년 동기 대비 3.4% 증가했다. 하지만 지난 몇 년동안 위생문제로 제재를 받은 경우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
잉카제국의 중심지로 개방경제의 전환이 빨라 경제적 안정 확보,정치적 불안과 실업률 및 인플레이션 통제해야 선진국 도약 가능페루는 15세기 잉카제국이 탄생한 지역으로 16세기 초부터 에스파냐의 지배를 받아왔다. 이후 1821년에 독립을 선언하고 1824년 군정지배에서 완전한 독립을 이뤘다. 1980년부터 민주적인 국가경영을 주도하기 시작했지만 경제적 문제와 폭력적 저항세력들로 인해 사회적으로 혼란의 시기를 맞이했다. 대통령 및 정부의 권위주의적인 실정, 에콰도르 및 칠레와의 영토분쟁, 게릴라전, 물가폭등 등으로 어지러운 국정이 이어졌다.1991년부터 선진국과의 외교, 에콰도르와 칠레와의 평화협정, 긴축정책 시행 등을 모토로 경제발전에도 진전이 보이기 시작했다. 2006년 시장지향적 경제정책, 안정적 재정정책, 글로벌 국가와의 무역활성화, 빈곤층 완화 등의 슬로건을 내걸며 국가발전에 노력해왔다. 지난해부터 남아메리카의 경제가 침체기를 겪으면서 페루도 영향을 받고 있지만 기존의 경제정책을 유지하며 극복하고 있다. ▶ 지난 5년 동안 연평균 경제성장률 5.6%로 높아, 광물자원의 부국, 구리와 은의 세계 최대 생산량 확보 다양한 광물자원, 풍부한 바다의 어원, 산악과 해안지역의 천연자원과 지형 등은 농업과 상업의 안정적 발전을 유지해주는 주요 배경이다. 지난 5년 동안 5.6%라는 안정적인 연평균 경제성장률과 적정수준의 환율, 낮은 물가상승률로 라틴아메리카 지역에서 ‘경제적 안정국가’로 꼽히고 있다.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은 생산국이자 세 번째로 큰 구리 생산국이기에 수출의 60%가 광물자원이다. 문제는 광업에 대한 지나친 의존도로 인해 지난해부터 하락하고 있는 국제금속시세에 무역적자가 3년째 이어져오고 있다.국가빈곤율 역시 20%를 훌쩍 넘기면서 주요 국정과제로 자리매김하고 있어 고용시장에도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다. 무역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국가와의 외교정책과 외국인투자유치를 위한 개방정책을 시행하고 있지만 정치적 행동과 민간시위로 마찰을 빚고 있다.이러한 페루의 경제현황을 평가하기 위해 국내총생산(GDP), 무역수지, 예산 및 공공부채, 노동력 및 실업률, 주요 제품 및 물가상승률 등을 살펴보자.첫째, 페루의 2013년 GDP 구매력지수는 2012년 대비 167억 달러(약 18조2600억원)가 증가한 3440억 달러(약 376조3300억원)로 세계 40위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에도 안정적인 재정정책으로 GDP의 감소폭이 약 1억 달러(약 1098억원) 정도만 감소했다가 다시 반등했으며 현재까지 약 80% 증대됐다. 세계은행(World Bank)의 자료에 따르면 세계경제의 0.33%를 담당하고 있다.실질성장률은 2012년 6.3%에서 2013년에 5.1%로 하락했고 세계 54위에 위치해있다. 구리가격의 급감으로 인해 2014년에는 4.8%에서 1.76%까지 급락했다. 1980년부터 2014년까지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3.47%이며 지난해 매우 낮은 수준으로 평균치보다 못했다.구성 비율은 가계소비(62.4%), 정부소비(10.8%), 고정자본 투자(27.0%), 재고 투자(0.1%)로 이루어져 있다.둘째, 무역수지 현황을 보면 2013년 무역적자는 61억 달러(약 6조6700억원)다. 2012년 무역적자 13억 달러(약 1조4200억원)에서 48억 달러(약 5조2500억원)가 증가한 수치다. 2004년~2011년 동안 무역흑자를 유지해왔지만 금속가격이 조금씩 하락하고 수요가 감소하면서 무역재정이 취약해졌다. 이후 2012년부터 적자로 전환됐으며 2014년에는 65억 달러(약 7조1100억원)로 적자규모가 소폭 확대됐다. 2012년 기준 수출입 주요 대상국은 칠레, 미국, 중국, 캐나다, 일본, 스페인, 브라질, 아르헨티나 등이다. 2009년부터 미국과의 교역촉진을 위한 협정이 체결됐고 이 외에도 중국, 한국, 일본, 유럽지역 등까지 자유무역협정 체제하 글로벌 무역을 활성화하고 있다. 광물자원에 대한 지나친 의존으로 지난 3년 동안 무역적자를 기록하고 있지만 경제외교를 통해 극복하려고 노력 중이다.셋째, 공공부채는 2013년 GDP의 14.9%로 310억 달러(약 33조9100억원)이며 2012년 대비 1.7% 감소해 세계 144위다. 2003년 공공부채가 GDP의 47.1%였으며 이에 약 1/3 수준으로 감축한 것은 정부의 빠른 부채상환과 안정적인 재정 및 환율정책이 이끈 결과다.예산은 2013년 집행이 609억5000만 달러(약 66조6700억원)며 지출은 589억1000만 달러(약 64조4400억원)다. 집행액수보다 지출이 더 적은 흑자예산으로 GDP의 1.0%인 204억 달러(약 22조3100억원)다. 2010~2011년 GDP의 1.4%의 예산적자를 극복하고 2012년부터 흑자로 전환돼 안정적인 재정정책을 유지하고 있다. 2014년에도 0.9%로 흑자예산을 편성해 균형예산에 가깝도록 조정하고 있다.넷째, 2013년 기준 노동인구는 전체인구 약 3000만 명 중에서 1616만 명으로 53.8%의 인구가 경제활동을 하고 있다. 세계 42위의 인구와 38위의 경제활동인구를 보유하고 있다. 노동비율은 2011년 기준 농업(25.8%), 산업(17.4%), 서비스(56.8%)로 구성됐다. 2013년 기준 구매력지수 1인당 GDP도 1만1100달러(약 1200만원)로 112위를 차지했고 빈곤율 수치는 2012년 기준 25.8%로 높은 수준이다.실업률은 2012년 3.6%에서 2013년 5.8%로 2.2%P 상승했다. 2014년에는 글로벌 경기가 침체기를 겪으면서 7.0%까지 급상승했으며 2015년 1월에 5.6%로 다시 완화됐다. 청년실업률의 해소와 소득불평등 해결, 빈곤층 완화 정책의 일환으로 정부에서 고용촉진정책을 펼친 결과이지만 여전히 위험한 수치다.다섯째, 주요 농업제품에는 아스파라거스, 커피, 코코아, 면화, 사탕 수수, 쌀, 감자, 옥수수, 질경이, 포도, 오렌지, 파인애플, 구아바, 바나나, 사과, 레몬, 배, 코카, 토마토, 망고, 보리, 약용 식물, 팜 오일, 금잔화, 양파, 밀, 마른 콩, 가금류, 쇠고기, 돼지 고기, 유제품, 기니피그, 생선 등이 있다.과거부터 농경사회를 유지해왔으며 자연환경이 작물에 적합해 다양한 농산물 생산이 가능하다. 주요 산업제품에는 광물 정제, 철강, 금속 제조, 정유 추출 및 정제, 천연가스 및 액화, 어업 및 생선가공처리, 시멘트, 유리, 섬유, 의류, 식품 가공, 맥주, 청량음료, 고무, 기계, 전기기계, 화학, 가구 등이 있다. 풍부한 광물자원과 에너지 정제 및 식품가공이 발달해있다.물가상승률은 2013년 2.9%로 2012년 대비 0.5%P 하락했다. 2015년 1월 3.0%인 물가상승률은 현재까지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1970년 300%까지 치솟았던 물가상승률을 기준으로 하면 무려 1/100로 축소된 것을 인지할 수 있다. ▶ 산유국임에도 석유를 수입하는 국가로 정치적 안정을 기반으로 경제 도약 필요 현재 페루의 주요 경제현안 이슈를 살펴보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GDP, 광산업의 침체로 인한 재정우려, 안정적인 경제성장률, 무역수지 적자 전환 후 최대치 기록, 외교 및 무역 활성화에 주력, 공공부채와 예산부문의 안정적인 수준 유지, 25%대의 높은 빈곤율, 다양한 농산물과 풍부한 광물자원에도 글로벌 수요의 감소, 물가상승률의 지속적인 조정정책, 기준금리 인하 및 동결, 국가신용평가기관의 등급 하양조정 우려, 엘니뇨 현상에 따른 어업 및 농업부문 피해 전망, 여전히 불안정한 정치, 개발 못한 다량의 자원 등이 있다. 이러한 경제적 현안 이슈에 따라 페루 정부는 농목축수산업, 광업을 2대 주요산업으로 지정했다.첫째, 농목축수산업은 산악, 해안지대가 넓게 펼쳐져 있어 재배 및 어업행위의 자연환경이 잘 뒷받침돼있다. 특히 어업의 경우 세계 어획량의 10% 내외를 책임지고 있을 만큼 대량생산을 하고 있다. 정어리 및 고등어의 대량 공급과 2차 제조산업을 통해 통조림 생산을 통해 수출해왔다.지난해 상반기부터 페루 연안의 바닷물 온도가 상승해 발생하는 이상기후현상인 ‘엘니뇨’로 인해 약 1000만 달러(약 109억원)의 피해액이 예상되기도 했다. 정부에서 1994년 수산업종을 민영화하면서 가치 창출과 규모의 경제를 확보해왔지만 환경의 영향과 글로벌 수요의 감소로 인해 조금씩 빛을 잃고 있다.농업 및 목축업은 야자, 망고, 옥수수, 사탕수수, 기타 야채 및 채소 등의 작물을 생산하고 있으며 목축은 쇠고기와 닭고기의 국내 수요가 증가하면서 2013년부터 생산량이 증가해왔다. 최근 전세계적으로 조류독감으로 인한 피해가 속출하고 있어 정부에서도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다.둘째, 광업으로서 구리와 은의 세계 3위권 생산국으로서 인접 국가로는 칠레와 경쟁구도를 갖추고 있다. 철, 구리, 은, 몰리브덴, 금, 아연 등의 생산량이 2013년 소폭 증가하면서 원유개발부문에서 석유정제제품과 천연가스 및 액화탄화수소 등이 주요산업이었다.금속 가격이 점점 하락하면서 구리시세가 가장 급락했으며 금의 가격도 떨어지면서 광산업체가 문을 닫기 시작했다. 정제관련 사업도 산유국에서 직접 인프라를 구축하다 보니 기술력과 가격경쟁력에서 밀리고 있는 실정이다. 석유 및 천연가스도 국내에 매장돼 있지만 보통 금속에 대한 의존도가 높기에 산유국이라고 하기에는 제한적인 면이 있다.광업으로 인한 금속수출이 전체의 60%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불안정한 정치, 미개발 유전지역에 대한 탐사 및 개발의 지연과 해외업체에 헐값에 넘기는 사례가 많아 에스파냐 시절의 식민지 잔재의 모습이 남아있다는 평도 많다. 자원부국의 경우 정치적으로 불안정하더라도 자원의 매각을 통한경제적 혜택으로 먹고 사는 산유국이 많음에도 페루는 아직 경제국 대열에 진입하지 못했다.남아메리카는 북아메리카 만큼 천연자원이 풍부한 지역이며 저렴한 인건비, 투자 잠재력이 높은 지역이 많다. 그러나 정치적으로 불안정한 환경과 소득불균형, 청년층들의 실업률 문제로 국가의 기반이 항상 취약하다. 페루 역시 이러한 고질병에 시달리고 있는 정치적 후진국의 모습을 갖추고 있다.경제지표의 안정화도 중요하지만 정치적 안정 속에 행해지는 국민경제도 돌아볼 필요가 있다. 과거 불안한 국정과 게릴라전, 영토분쟁이 있던 30~50년 전 그때로 돌아가고 싶은 국민은 없을 것이다.▲페루 정부 빌딩(출처 : 위키피디아)
-
세계 2위의 농산물 수출국으로 경기 침체의 영향에서 벗어나,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공공부채가 급상승해 재정위험 확대돼네델란드는 유럽 알프스, 플란다스의 개, 풍부한 치즈, 큰 풍차가 연상되는 나라다. 1515년부터 에스파냐의 지배를 받아오다 독립운동을 통해 1579년 독립을 선언했다. 이후 식민지 운용을 통한 동인도회사, 서인도회사 등을 설립했고 선박사업에도 진출했다. 1810년 프랑스 혁명의 영향으로 약 4년 동안 프랑스의 지배를 받다가 1839년 다시 독립했다.네덜란드는 유럽의 대표적인 농산물 수출국으로서 농업의 현대화 및 기계화의 선두주자다. 현재 유럽연합(EU)의 전신인 ECC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의 창립멤버이며 1999년 당시 유로화 도입에도 참가했다. 이후 급격한 경제발전으로 유럽의 경제대국 10위 서열에 진입했지만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적자재정으로 전환해, 디플레이션 우려와 GDP구매력지수 감소네델란드는 유로존(Eurozone)에서 6번째로 큰 경제규모를 갖추고 있으며 2008년 이전에는 안정적인 노사관계, 낮은 실업률, 무역흑자의 지속, 유럽의 운송허브로 ‘안정적인 국가’로 인식돼 왔다. 산업활동 역시 글로벌 경쟁력이 될 만한 가공식품, 화학, 석유정제, 전자기계 등이 발전하면서 제조업 분야가 성장했다. 농업 부문도 노동력의 2%만이 종사하고 있지만 현대화 및 기계화된 특성으로 식품가공을 통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국가기반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문제는 금융부문에서 미국으로부터의 주택저당증권을 사들이면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침체기에 빠질 수밖에 없었다. 먼저 예산에 타격을 받아 2010년 GDP의 5.3% 적자로 전환됐으며 2011년부터 긴축정책을 시행했다.2012년 경기침체에 따라 세수확보가 감축되면서 예산적자 규모가 불어나기 시작했지만 2013년 세금수입이 개선되면서 점차 안정세를 되찾았다. 실업률은 점점 높아지고, 경기의 수축, 일자리 찾기가 어려워지면서 가처분소득도 감소하고 있다. 네덜란드의 경제현황을 평가하기 위해 국내총생산(GDP), 무역수지, 예산 및 공공부채, 노동력 및 실업률, 주요 제품 및 물가상승률 등을 살펴보자.첫째, 네덜란드의 2013년 GDP 구매력지수는 2012년 대비 56억 달러(약 6조2700억원)가 감소한 6997억 달러(약 783조6600억원)로 세계 24위를 기록했다. 전체 GDP는 2012년부터 점진적으로 증가해왔지만 통화가치와 물가를 고려한 구매력지수는 개선되지 않았다.유럽 지역 디플레이션에 맞게 1.0%대의 물가상승률, 실업률의 상승, 소비심리의 위축이 주요인이다. 실질성장률은 2012년 -1.2%에서 2013년에 -0.8%로 상승했고 세계 202위에 위치해 있다. 올해 11월 경제성장률은 0.2%로 지난 9월에 비해 0.5%P 하락했지만 마이너스를 극복했다는 것에 의의를 두고 있다.GDP 구성비율은 가계소비(45.3%), 정부소비(27.7%), 고정자본 투자(15.7%), 재고투자(0.4%) 등이다. 2013년 기준 1인당 GDP구매력지수가 4만3300달러(약 4850만원)로 세계 18위인 점을 감안하면 절반도 안 되는 낮은 비율이다.그만큼 내수시장의 의존도는 적지만 국가의 회생에 있어 국내수요가 뒷받침할 수 있는 여지가 적다는 위험성도 있다. 수출형 투자에 대한 수요는 증가할 지 몰라도 국민들의 소비가 저하되거나 해외로 자금이 이전될 경우 국가재정에 악영향을 끼칠 수도 있다.둘째, 무역수지 현황을 보면 2013년 무역흑자는 659억 달러(약 73조8000억원)로 2012년 무역흑자 515억 달러(약 57조6800억원) 대비 144억 달러(약 16조1200억원)가 증가했다. 네덜란드 무역의 특징은 상품과 서비스의 수출로 국가재정의 약 30%를 취한다는 점이다.상품수출에 관해서는 세계 5위, 서비스부문은 세계 9위이다. 이 중 농산물의 수출은 세계 3위 이내에 진입하고 있으며 유럽지역에서 가장 큰 수출국이다. 2014년 8월 7일 러시아 연방정부의 유럽지역에 대한 식품수입 금지조치로 인해 토마토와 사과의 수출이 부진하다. 공급과잉으로 초과된 물량은 자선단체에 기부하거나 폐기하기로 결정했고 추정 손실액은 3억9550만 달러(약 4008억원)다. 러시아가 야채 및 과일 수출대상국 중 2번째로 큰 규모이기 때문에 손실도 컸다. 2013년 기준 수출입 주요 대상국은 독일, 벨기에, 프랑스, 영국, 이탈리아, 중국, 러시아 등이다. 유럽지역 간에 오가는 품목 중 닭고기 등의 가금류가 차지하는 비율도 높은 편인데 올해 조류 인플루엔자의 검출로 공급대상국이 네덜란드에서 브라질, 아르헨티나 등으로 이전되고 있다.셋째, 공공부채는 2013년 GDP의 74.3%로 6541억 달러(약 732조5900억원)이며 2012년 대비 3.0% 증가해 세계 35위다. 2008년 GDP의 45.3%였던 공공부채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GDP의 58.5%로 급증한 뒤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그 규모가 확대되고 있다.예산은 2013년 집행이 3155억 달러(약 353조3600억원)며 지출은 3393억 달러(약 380조원)다. 과지출로서 GDP의 3.3%인 238억 달러(약 26조6400억원)가 예산적자다. 2010년 적자로 전환된 이후 긴축정책을 시행하면서 예산지출을 줄이려고 했지만 연금, 실업수당 등의 사회적 비용이 증가하면서 지출감소는 어려웠다.넷째, 2013년 기준 노동인구는 전체인구 약 1680만 명 중에서 793만9000명으로 47.2%의 인구가 경제활동을 하고 있다. 세계 65위의 인구와 59위의 경제활동인구를 보유하고 있다. 지난 8월 정부는 2015년 7월 1일부터 유기고용 계약근로자가 해고돼도 실업급여를 지급하도록 법률을 개정했다.일정한 기간만 고용되는 근로자를 보호하기 위한 방침으로 고용과 사회보장에 관한 법안이 6월 국회를 통과했다. 고용시장의 시스템을 점차 개선하려는 정부의 노력으로 볼 수 있다.노동비율은 농업(2.3%), 산업(18.8%), 서비스(78.9%)로 구성됐다. 농업의 경우 2~3%의 적은 비율이지만 그만큼 현대화된 농업 및 기계의 지원으로 부가가치 창출이 높다. 실업률은 2012년 6.4%에서 2013년 8.3%로 2.9%P 상승했다. 올해 3월까지는 8.8%로 고점을 찍고 10월 말까지 지속적으로 하락하다 8.0%까지 내려왔다. 고용시장은 큰 성장도 변화도 없는 상태이며 11월 실업률 추정치도 8.0%로 고정될 것으로 보인다.다섯째, 주요 농업제품에는 곡물, 감자, 사탕무, 과일, 야채, 가축 등이 있다. 최대 농산물 수출국 중 하나이기 때문에 농산물 생산과 더불어 병행사업으로 가공식품분야도 성장하고 있다. 주요 산업제품에는 금속 및 엔지니어링 제품, 전기기계 및 장비, 화학, 석유, 건설, 마이크로 전자공학제품 등이 있다.전기기기, 화학, 석유정제의 기술력을 활용해 수출경쟁력으로 삼고 있지만 최근 국제유가의 하락으로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물가상승률은 2013년 2.5%로 2012년 2.5%와 동일했다. 올해 11월 물가상승률은 1.0%로 전월 대비 0.1%P 하락해 점점 둔화되고 있다. 1.0%이하부터는 디플레이션 위기라고 인식해도 무방하다. ▶ 농업, 에너지, 제조업이 주요 3대 산업으로 글로벌 경쟁력은 갖추고 있어현재 네덜란드의 주요 경제현안 이슈를 살펴보면 국내총생산(GDP) 구매력지수의 감소, 실질성장률의 제로화 근접, 가계소비의 하락, 무역흑자 유지, 러시아 식품금수조치로 인한 손실, 최근 조류독감의 발견과 수출손실, 공공부채 및 예산적자 규모의 확대, 높은 실업률, 하락하는 물가상승률, 석유화학부문의 성장과 기술자 수요의 급증, 주택가격의 점진적 상승, 지난 6년 동안 자살 건수 증가, 경제위축심리의 심화 등이 있다. 경제적 현안 이슈에 따라 네덜란드 정부는 농업과 제조업을 2대 주요산업으로 지정했다. 첫째, 미국 다음으로 세계에서 농산물 수출을 많이 하는 국가이자 미국, 프랑스와 더불어 세계적인 과일 및 야채 수출국인 네덜란드는 농업을 전통적인 국가기반산업으로 지정했다. 농산물의 대부분은 유럽 지역으로 수출되며 식품가공기술, 바이오산업, 농업연구개발 등에 끊임없는 투자를 통해 농업의 현대화, 기계화를 이뤘다.시스템의 현대화뿐만 아니라 새롭고 고품질의 농산물을 생산하면서 약 8만3000여 개의 관련 업체들이 규모의 경제까지 달성했다. 생산성이 유럽연합 평균의 4~5배 정도에 달한다. 네덜란드가 농업강대국이 된 것은 온난 다습한 해양성기후, 국토의 상당부분이 해수면 아래에 위치하지만 토양이 비옥하기 때문이다. 옥수수, 사탕무, 보리, 양파 등이 대량생산되는 주요 농작물이다.둘째, 에너지부문으로 세계 2위 석유업체인 로열 더치 쉘(Royal Dutch Shel)이 이끌고 있다. 세계최대 석유생산업체로서 북해유전을 비롯한 다양한 지역의 유전개발 및 탐사, 생산, 석유화학제품까지 담당하고 있다. 네덜란드와 영국의 합작기업으로 미국의 정유업체의 독점을 방어하기 위해 탄생했지만 1990년대부터 북해유전 시설물처리 문제를 놓고 그린피스와 대립하면서 이미지와 실적이 악화되고 있다. 자본금을 충당하기 위해 회사 평균수익보다 낮은 성과를 내는 사업부문을 매각하면서 150억 달러(약 16조원)규모를 확보했다.문제는 뚜렷한 성장동력이 없다는 것이다. 탐사 실패비용의 발생과 경쟁사보다 높은 BOE당 교체비용으로 손실액이 30억 달러(약 3조3000억원)에 달했다. 나이지리아에서는 태업으로 인한 니제르델타 지역의 기름유출사고, 파이프 훼손 등의 사건들이 연일 발생하고 있다. 비용절감을 위해 250명의 직원을 감원하라는 주주들의 압박도 거센 상황이다.로열 더치 쉘은 최근 북극해, 이라크, 카자흐스탄, 나이지리아 등지에서 셰일 오일과 셰일 가스개발에도 적극 참여하고 있다. 이들 지역에 셰일 오일 매장량은 상당할 것으로 예상되며 지난 100년 간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에너지부문에서 재도약을 노리고 있다.셋째, 제조업으로서 금속 및 엔지니어링 제품, 전기기계 및 장비, 화학, 석유, 건설, 식품가공 등의 분야가 발전돼있다. 모두 에너지 산업과 농업의 전방 및 병행사업, 일부 독립사업 등으로 영위하고 있다. 에너지의 경우 앞서 언급했던 석유업체 로열 더치 쉘의 화학 및 정유, 관련 제품생산이 제조업에 해당된다. 다음이 농업 부문인데 가금류 처리기계, 치즈기계, 감자처리기계, 포장기계 등 2차 농산물 가공산업의 주요 시설기반을 생산한다.세계 대표적인 조명 및 가전제품 기업인 필립스(Philips)로 일반 소비품의 제조업을 설명할 수 있다. 최근 주력 모태사업인 조명사업부문을 분할하면서 헬스케어 부문으로 눈을 돌렸지만 여전히 네덜란드의 주요 전자제품업체로서 1위를 고수하고 있다. 네델란드는 다른 유럽국가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어 전반적인 경기침체 속에서도 나름 지속적인 성장을 유지하고 있다. ▲로열 더치 쉘(Royal Dutch Shel) 해양 플랜트(출처 : 홈페이지)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