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알바니아"으로 검색하여,
8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2-05-09알바니아 표준화기구 DPS(Drejtoria e Pergjithshme e Standaizimit)에 따르면 2010년 9월 12일 표준화에 관한 법률 제 9870호에 따라 이사회의 승인을 받아 기술위원회를 설립됐다.기술위원회는 기술 표준화 작업의 관리, 조직, 조정, 표준화 작업 계획 등과 관련된 문제의 검토, 협의, 최종 결정을 위해 최소 1년에 2회 회의를 개최한다. DPS 전문가 그룹에서 수행되는 기술 작업 관리는 기술위원회로 위임됐다.기술위원회에는 표준화를 위해 이해관계자의 대표가 포함되며 자발적으로 기술 관련 전문지식을 제공한다. 가입하고자 하는 회원의 승인은 DPS의 장의 제안에 따라 이사회에 의해 결정된다.2021년 기술위원회 회원은 다음과 같다. DPS 리자 하사나즈(Riza Hasanaj), 해리 펄츠 연구소(Instituti Harry Fultz) 클로자나 말리아(Klodjana Malia), 조어 코스메틱 아네스티(Joer Cosmetics) 은드레우(Anesti Ndreu) 등이다.DPA(Drejtoria e Përgjithshme e Akreditimit) 브리세이다 자파(Briseida Xhafa), 토목공학자 마켈 바바예쿠(Markel Baballëku), 티라나대 사회과학부 알리랴나 보치(Ilirjana Boçi) 교수 등도 포함된다.임업학자 드리탄 아즈디나이(Dritan Ajdinaj), 인프라에너지부 일리아 제르마니(Ilia Gjermani), OSHEE 알바니아 페트라크 리카(Petraq Lika), QUALG 품질 및 생산성 조직 젠티안 무카(Gentian Muça) 등이 주요 회원이다.기술위원회의 역량은 다음과 같다. 회의를 통해 기능을 수행하며 표준 승인을 위한 조직, 절차, 조정, 작업 계획 및 관련된 모든 문제를 결정한다.기술위원회의 간사, 의장과 긴밀히 협력해 표준 작업의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통제한다. 새로운 표준 초안에 대한 제안을 검토하고 기술위원회와 워킹 그룹의 작업 기구 설립 및 폐지, 구성 제안 및 승인도 담당한다.접수된 제안에 따라 기술위원회 회장의 승인, 각 기술위원회 간 업무 조정, 프로그램 중복 방지를 위한 각 기술위원회의 주제, 토의 목적, 워킹 그룹 프로그램을 검토한다.또한 항소 절차 및 정지 절차와 관련된 문제에 대한 의사결정, DPS 운영위원회의 요구 기술 표준화 활동 및 관련 기타 작업 수행을 진행한다.▲ 알바니아 DPS 페이스북 페이지
-
알바니아 표준화기구 DPS(Drejtorisë së Përgjithshme të Standardizimit)는 2008년 2월 4일 표준화 관련 법률 제 9870호에 따라 알바니아 국가표준기구로 공인받았다.이로써 DPS는 국가차원에서 모든 표준활동을 조직하는 책임을 맡고 있다. ISO 9001 인증을 받은 알바니아 최초 공공기관이다. 알바니아의 표준화 활동은 1950년 국가표준기구(National Standards Body)인 표준국(Bureau of Standards) 산하에서 시작됐다.DPS는 경제 담당 장관의 책임하에 있는 공법 법인체로 티라나에 사무소를 두고 있다. 유럽이나 국제표준기구(ISO)보다 우선해 알바니아를 대표하고 있다.또한 통신 분야를 제외한 모든 분야의 표준 개발, 적용, 승인, 발행을 담당하고 있다. DPS는 경제 담당 장관 및 모든 이해관계자의 대표로 구성된 위원회에 의해 임명·해임되는 사무총장이 관리한다.DPS에 의해 발행된 모든 표준들은 자발적 지위를 갖게 된다. DPS는 무역에 영향을 미치는 기술 표준, 규정 및 적합성 평가 절차에 대한 WTO/TBT 국가 통지 기관 및 문의처이다.DPS는 ISO(International Standards Organizations)의 통신회원, 국제전기기술위원회(International Electronical Commission, IEC)의 준회원, CEN & CENELEC의 협력회원이다.▲ 표준화기구 DPS(Drejtorisë së Përgjithshme të Standardizimit) 홈페이지
-
2022-04-26알바니아 표준화기구인 DPS(Drejtorisë së Përgjithshme të Standardizimit)는 운영 위원회를 갖추고 있다. 운영 위원회는 표준화 결정과정에서 이해관계자 간 투명성과 공정성을 보장하고 각 당사자 간 평등을 유지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운영 위원회는 표준화 프로세스에서 이해관계자를 대표하는 각 기업, 정부, 소비자, 학계 등 11명의 위원으로 구성돼 있다. 대표 위원들은 제안이나 통지, 결정에 관한 권리 등 당사자들 사이에서 균형을 이루도록 당사자의 이익을 대변하게 된다. DPS 운영 위원회는 회장이 소집하고 의장이 되며 1년에 두 번 개최된다. DPS 소속 총무이사와 이사는 투표권 없이 위원회 회의에 참석할 수 있다.위원회 의장은 현재 위원회 구성원들에 의해 선출된 기업 대표가 맡고 있다. 2010년 5월 5일 발표된 DCM 433은 표준화기구 위원회의 설립, 구성, 기능 방식 및 역량 등을 포함한다.위원회 위원은 경제담당 부처 대표, 운송 및 인프라 담당 부처 대표, 농업 담당 부처 대표, 대학 대표, 티라나 상공회의소 대표, 콘핀두스트리아협회Confindustria Association) 대표, 인증사무국 대표, 기상청 대표, 소비자 보호기관 대표, 티라나 지역 사업 개발국 대표 등이다.의장인 에드먼드 셰시(Mr. Edmond Sheshi)는 티라나를 기반으로 하는 경제, 사회, 문화 개발과 관련된 장단기 프로젝트를 컨설팅하고 있는 NetRDA의 대표다. ▲ 24시간 표준과 관련된 일상 모습(출처 : DPS 홈페이지)
-
유럽문화의 원류인 헬레니즘문명의 발상지였던 그리스는 비잔티움제국이 멸망하고 오토만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이후 1930년에 와서 런던회의를 끝으로 완전히 독립했다.1974년 군주제를 폐지하고 민주선거를 통해 의회공화국으로 전환됐다. 정부는 경제발전계획을 이행하려 노력했지만 결국 2010년 디폴트를 선언했고 이어 2015년 디폴트가 반복되면서 경제는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유럽연합(EU)의 회원국이기에 EU로부터 단기자금을 지원받아 국제통화기금(IMF)과 유럽중앙은행(ECB)의 부채를 상환하면서 디폴트에서 해제됐다. 그러나 경기상황은 여전히 침체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간략하게 경제지표를 살펴보면 올해인 2016년 1분기 경제성장률 -1.3%, 만성적자 무역수지, 전체 실업률 23.3%에 청년실업률 50.4%, 물가상승률 -0.7%, 공공부채 GDP 대비 171.3%를 기록했다. ▲그리스어로 보도된 언론기사특히 저물가 현상은 유럽권 경기침체 중 가장 대표적이며 그리스 역시 피할 수 없었다. 현재 물가상승률은 지난 2013년 초반부터 마이너스(-)를 유지하고 있다. 디플레이션이라고 봐도 무방할 정도이며 제로(0)금리 정책이 무용지물이 되고 있다.통계청의 자료에 따르면 2016년 6월 소비자물가지수(CPI)도 전년 동월에 비해 0.7% 하락했으며 지난 40개월 연속 하향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부가가치세(VAT)가 23%에서 24%로 인상되면서 구매력이 저하돼 물가하락을 부추기고 있다.주요 하락된 부문으로는 의류, 신발, 주택, 임대료, 난방오일, 천연가스, 전기, 각종 공공서비스, 가정용품, 운송 등이다. 반면에 식품 및 비알코올/알코올 음료, 담배, 건강식품, 호텔, 레스토랑 등의 물가는 올랐다.전문가들은 아무리 글로벌 경제가 강조되고 있지만 지금은 해외가 아닌 내수시장에 관심을 집중할 때라고 강조한다. 물가정책의 기본은 국민들의 구매력이며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청년층 일자리를 늘려 근로소득을 통해 이들의 주머니부터 채워줘야 한다고 덧붙였다.그리스의 경제동향 및 물가지표를 파악하기 위해 공용어인 ‘그리스어(Ελληνικ?)’로 된 정보를 수집해 다뤄봤다. 인도유럽어족 중에 가장 오래된 언어 중 하나이며 역사적으로 뮈케니아, 고전, 코이네, 중세 그리스어 등으로 다양하게 발전했다.현재는 ‘현대 그리스어’가 표준화돼 있으며 과거 디모티키(Δημοτικ?)라는 구어체에서 확립시킨 언어로 문어체인 카타레부사(Καθαρε?ουσα)와는 다르다. 하지만 전문서적, 교육, 연극 등에는 여전히 카타레부사가 쓰이고 있다.표기는 그리스 문자를 사용하며 본토를 비롯해 키프로스, 알바니아, 불가리아, 마케도니아, 터키, 러시아, 우크라이나, 조지아, 독일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특히 그리스 민족이 대부분인 키프로스는 그리스어를 공용어로서 유지하며 사용비율도 80%에 육박한다.
-
유럽문화의 원류인 헬레니즘문명의 발상지였던 그리스는 비잔티움제국이 멸망하고 오토만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이후 1930년에 와서 런던회의를 끝으로 완전히 독립했다.1974년 군주제를 폐지하고 민주선거를 통해 의회공화국으로 전환됐다. 정부는 경제발전계획을 이행하려 노력했지만 결국 2010년 디폴트를 선언했고 이어 2015년 디폴트가 반복되면서 경제는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유럽연합(EU)의 회원국이기에 EU로부터 단기자금을 지원받아 국제통화기금(IMF)과 유럽중앙은행(ECB)의 부채를 상환하면서 디폴트에서 해제됐다. 그러나 경기상황은 여전히 침체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간략하게 경제지표를 살펴보면 올해인 2016년 1분기 경제성장률 -1.3%, 만성적자 무역수지, 전체 실업률 23.3%에 청년실업률 50.4%, 물가상승률 -0.7%, 공공부채 GDP 대비 171.3%를 기록했다. ▲그리스어로 보도된 언론기사특히 저물가 현상은 유럽권 경기침체 중 가장 대표적이며 그리스 역시 피할 수 없었다. 현재 물가상승률은 지난 2013년 초반부터 마이너스(-)를 유지하고 있다. 디플레이션이라고 봐도 무방할 정도이며 제로(0)금리 정책이 무용지물이 되고 있다.통계청의 자료에 따르면 2016년 6월 소비자물가지수(CPI)도 전년 동월에 비해 0.7% 하락했으며 지난 40개월 연속 하향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부가가치세(VAT)가 23%에서 24%로 인상되면서 구매력이 저하돼 물가하락을 부추기고 있다.주요 하락된 부문으로는 의류, 신발, 주택, 임대료, 난방오일, 천연가스, 전기, 각종 공공서비스, 가정용품, 운송 등이다. 반면에 식품 및 비알코올/알코올 음료, 담배, 건강식품, 호텔, 레스토랑 등의 물가는 올랐다.전문가들은 아무리 글로벌 경제가 강조되고 있지만 지금은 해외가 아닌 내수시장에 관심을 집중할 때라고 강조한다. 물가정책의 기본은 국민들의 구매력이며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청년층 일자리를 늘려 근로소득을 통해 이들의 주머니부터 채워줘야 한다고 덧붙였다.그리스의 경제동향 및 물가지표를 파악하기 위해 공용어인 ‘그리스어(Ελληνικά)’로 된 정보를 수집해 다뤄봤다. 인도유럽어족 중에 가장 오래된 언어 중 하나이며 역사적으로 뮈케니아, 고전, 코이네, 중세 그리스어 등으로 다양하게 발전했다.현재는 ‘현대 그리스어’가 표준화돼 있으며 과거 디모티키(Δημοτική)라는 구어체에서 확립시킨 언어로 문어체인 카타레부사(Καθαρεύουσα)와는 다르다. 하지만 전문서적, 교육, 연극 등에는 여전히 카타레부사가 쓰이고 있다.표기는 그리스 문자를 사용하며 본토를 비롯해 키프로스, 알바니아, 불가리아, 마케도니아, 터키, 러시아, 우크라이나, 조지아, 독일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특히 그리스 민족이 대부분인 키프로스는 그리스어를 공용어로서 유지하며 사용비율도 80%에 육박한다.
-
유럽 발칸반도의 중앙지역에 위치한 세르비아는 과거 베오그라드왕국, 구유고슬라비아연방, 신유고연방국을 거쳐 2006년 현재의 ‘세르비아공화국’으로서 독립국가의 지위를 획득했다.지난 1998년 신유고연방국 시절 코소보 지역의 알바니아계 주민들의 분리독립운동과 충돌하면서 세르비아 정부군이 이들을 대량학살하는 일명 ‘코소보 사태’가 발발해 국제제재를 받았다.경제동향을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올해 경제성장률은 3.0%를 상회하며 회복세를 띠고 있지만 제로(0)에 근접한 저물가 현상과 40%를 초과한 청년실업률은 내수시장의 둔화가 얼마나 심각한지 드러내고 있다.특히 수십년간 지속돼 온 무역적자구조로 인해 국가재정과 외환보유고에 심각한 타격을 주고 있다. 재정건전성을 보면 지난해 기준 공공부채는 GDP의 75%, 예산적자비율은 GDP 대비 4.1%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세르비아어로 보도된 언론기사중앙은행의 자료에 따르면 올해 5월 말 외환보유액은 92억6000만유로(약 12조2000억원)로 기존에 비해 7410만유로가 감소됐다. 올해 초부터 매월 2500만유로에 달하는 무역적자액이 발생되면서 외화확보가 어려워진 것이다.반면 동기간 외화순유출액은 5500만유로로 집계됐으며 지난 6개월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하지만 순유입액이 더욱 줄어 들면서 전반적으로 외환보유고가 축소된 것이며 이러한 추세는 2015년말부터 지속되고 있다.세르비아의 역사 및 경제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해당국가의 공용어인 ‘세르비아어(српски)’로 된 정보를 수집해 작성해봤다.세르비아어는 서부 남슬라어군에 속하며 표기는 키릴문자로 표기한다. 역사적으로 과거 왕국의 일원이었던 크로아티아, 몬테네그로의 언어와도 본래 하나의 체계로 사용됐으나 각국이 분리 및 독립되면서 조금씩 변형됐다.특히 2006년까지 연방국이었던 몬테네그로의 경우 세르비아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있어 양국의 언어는 같다. 크로아티아어나 보스니아어도 표기(로마자)만 다를 뿐 큰 차이는 없다.
-
유럽 발칸반도의 중앙지역에 위치한 세르비아는 과거 베오그라드왕국, 구유고슬라비아연방, 신유고연방국을 거쳐 2006년 현재의 ‘세르비아공화국’으로서 독립국가의 지위를 획득했다.지난 1998년 신유고연방국 시절 코소보 지역의 알바니아계 주민들의 분리독립운동과 충돌하면서 세르비아 정부군이 이들을 대량학살하는 일명 ‘코소보 사태’가 발발해 국제제재를 받았다.경제동향을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올해 경제성장률은 3.0%를 상회하며 회복세를 띠고 있지만 제로(0)에 근접한 저물가 현상과 40%를 초과한 청년실업률은 내수시장의 둔화가 얼마나 심각한지 드러내고 있다.특히 수십년간 지속돼 온 무역적자구조로 인해 국가재정과 외환보유고에 심각한 타격을 주고 있다. 재정건전성을 보면 지난해 기준 공공부채는 GDP의 75%, 예산적자비율은 GDP 대비 4.1%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세르비아어로 보도된 언론기사중앙은행의 자료에 따르면 올해 5월 말 외환보유액은 92억6000만유로(약 12조2000억원)로 기존에 비해 7410만유로가 감소됐다. 올해 초부터 매월 2500만유로에 달하는 무역적자액이 발생되면서 외화확보가 어려워진 것이다.반면 동기간 외화순유출액은 5500만유로로 집계됐으며 지난 6개월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하지만 순유입액이 더욱 줄어 들면서 전반적으로 외환보유고가 축소된 것이며 이러한 추세는 2015년말부터 지속되고 있다.세르비아의 역사 및 경제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해당국가의 공용어인 ‘세르비아어(српски)’로 된 정보를 수집해 작성해봤다.세르비아어는 서부 남슬라어군에 속하며 표기는 키릴문자로 표기한다. 역사적으로 과거 왕국의 일원이었던 크로아티아, 몬테네그로의 언어와도 본래 하나의 체계로 사용됐으나 각국이 분리 및 독립되면서 조금씩 변형됐다.특히 2006년까지 연방국이었던 몬테네그로의 경우 세르비아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있어 양국의 언어는 같다. 크로아티아어나 보스니아어도 표기(로마자)만 다를 뿐 큰 차이는 없다.
-
2014-03-17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방만한 경영을 구조조정하는 은행이 대부분, 가계대출과 부동산대출의 부실이 커지면서 금융기관 부실 위험 높아져국제금융 전문가들의 주장에 따르면, 유럽은행권의 경제성장률 정체와 통화가치 하락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터키, 브라질, 인도,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신흥국가 대출규모가 약 3조 달러(약 3210조원)에 달해 신흥국 경기침체가 지속될 경우 심각한 유동성위기를 경험할 것으로 예상된다.미국 은행들의 신흥국가에 대출해 위험해진 대출 규모의 4배가 넘는 수준이다. 유럽은행들은 신흥국 대출뿐만 아니라 자국내의 부실대출도 심각한 수준으로 경영상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위기의 유럽금융기관의 실태를 알아보자. ▶ 대규모 직원해고로 비용점감 노력 중최근 영국 런던에 본사를 두고 있는 다국적 은행 및 금융서비스 기업인 바클레이(Barclays PLC)는 2014년 최대 1만 2000명의 직원을 해고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바클레이는 지난해 금융시장의 침체, 비용점감 등의 이유로 1700명을 해고했다.그리고 168억 파운드(약 29조 7393억 원)의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2015년까지 약 14만 명의 직원 중 1만 ~ 1만 2000명을 해고하기로 결정했다. 또한 은행고객의 온라인 뱅킹 이용이 증가함에 따라 영국에 위치한 1600개의 지점도 폐쇄하기로 했다.해고대상 직원은 은행의 관리이사 220명, 이사 600명, 고위관리직, 은행창구 직원들이며, 투자은행의 경우에는 수석직원 약 400 등이다. 바클레이는 2012년 546억 4900만 달러(약 61조 1624억 원)의 매출을 올렸지만, 16억 5000만 달러(1조 7888억 원)의 적자를 기록했다.다른 은행인 스코틀랜드왕립은행(Royal Bank of Scotland, RBS)은 향후 3년~5년 동안 현재 근무자인 12만 명의 4분의 1인, 3만 명을 구조조정하기로 결정했다. 영국 정부가 RBS의 지분 81%를 소유하고 있지만, 영업실적 악화로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직원들의 대규모 해고가 불가피해진 것이다.영국정부가 런던을 유럽의 금융허브로 만들기 위해 RBS를 세계 최대 은행으로 만들기 위해 덩치를 키웠지만, 이제는 목표를 수정했다. RBS의 목표는 세계 최대 규모의 은행으로 성장하는 것이 아니라 크기와 상관없이 수익성을 높은 은행이 되는 것이다. ▶ 해외지점 축소, 직원 급여삭감으로 경영개선 노력고강도의 구조조정에 직면하고 있는 그리스 정부가 국립은행의 인력을 축소하고, 해외지점을 대폭 줄이기로 결정했다. 국립은행인 피레우스는 은행의 운영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2000명의 직원을 자발적으로 축소하기로 했다. 이는 전체 직원의 15%에 해당된다. 인력구조조정에 성공한다면 직원급여로만 매년 1억 2000만 유로(약 1780억원)를 절약할 수 있다.또한 방만하게 운영되던 해외지점도 대폭 축소한다. 불가리아, 루마니아, 세르비아, 마케도니아, 알바니아 지점은 철수하고, 터키지점은 유지하기로 했다. 현재 피레우스 은행은 예금자에게 0.1%의 이자를 지급하고 있지만, 대출을 늘리면서 대출자에게는 이보다 높은 금리를 적용하기 때문에 이익이 급격하게 늘어 나고 있다.최근 네델란드 정부는 은행직원의 상여금을 연봉의 20%로 제한하는 규칙을 도입하기로 결정했다. 이 안이 확정될 경우 2015년부터 시행될 것으로 보인다.보너스총액을 제한해 은행이 부실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미래의 납세자에게 부담을 전가시키지 않겠다는 의지를 내 비친 것이다. 정부는 은행들이 위험한 투자로 단기 이익을 올리고 고액보상을 받는 잘못된 관행에 철퇴를 가하기로 한 것이다.실제 은행들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의 주범임에도 불구하고 정신을 차리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금융위기로 파산에 직면한 은행을 살리기 위해 각국 정부는 대규모 재정지원을 했지만 금융위기가 극복된 이후 은행들은 무분별하게 대출을 늘렸고, 이자수익으로 돈 잔치를 벌였다.정부는 과도한 보너스와 퇴직금은 은행원들의 탐욕을 부추기고, 은행의 재정건전성을 악화시키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은행의 직원과 경영진들이 보너스를 챙기기 위해 대출경쟁을 하면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다시 부동산 거품이 생기고 있어 국가경제 기반을 흔들고 있다는 지적을 받는다.▶ 과다 채무, 부실채권 규모 급증하고 있는 은행 늘어경제위기로 어려움에 처한 이탈리아의 기업과 국민, 모두 과도한 채무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탈리아 정부의 주장에 따르면 은행대출의 대부분은 대기업에 해당되지만 기업대출은 상환능력이 있다고 한다.하지만 전체 6100만 명의 국민 중 116만 7000명이 신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들 중 84%가 평균 12만 5000유로(약 1억 7900만원)의 빚이 있다. 은행은 이들의 채무는 부실채권으로 분류해야 한다고 주장한다.일반 국민들이 갖고 있는 빚은 부동산 버블로 형성되었고, 실업과 임금감소로 인해 채무상환능력이 저하되어 사회, 경제적 문제로 확산되고 있는 중이다. 실업률도 2011년 8.4%에서 2012년 10.6%로 오히려 높아지고 있다. 실업문제를 해결해야 할 정치권이 논쟁만 일삼고 있어 정부가 획기적인 일자리대책을 내 놓기도 어렵다.최근 국민소득도 감소추세에 있다. 현재상황으로 보면 이탈리아가 2014년에도 경제위기에서 탈출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경제전문가들은 가계 빚은 가계소득 증대로 해결할 수 있는데 기업실적 호전으로 인한 임금상승과 정부의 일자리창출은 2015년에도 기대하기 어렵다고 주장한다.최근 유럽중앙은행(ECB)의 주장에 따르면 오스트리아 주요 6개 은행이 300억 유로(약 43조 3600억 원)의 부실채권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향후 오스트리아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한다. 이 중에서 Erste Group은 124억 유로(약 17조 9200억 원), RBI(Raiffeisen bank Internaional)은행은 85억 유로(약 12조 2800억 원)로 전체의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OVAG의 경우 38억 유로(약 5조 4900억 원)의 부실채권을 갖고 있으며, 그 중 10억 유로(약 1조 4400억 원)는 루마니아에 대출한 것이다. UniCredit Bank Austria의 이탈리아 지점도 64억 유로(약 9조 2500억 원)의 부실대출을 갖고 있다.스페인의 경기침체가 장기화되면서 금융권이 보유하고 있는 부실채권의 규모가 지난 50년 동안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다. 스페인은 ‘Credito O’의 수준을 부실대출로 규정하는데, 이 부실대출 규모는 10월 기준으로 1909억 7100만 유로(약 276조 3800억 원)에 달해 전체 대출의 13%를 넘어섰다.부실채권은 은행들이 부실자산을 구조조정하면서 2012년 말과 올해 초에 감소했지만, 다시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이후 8개월 연속 부실채권의 규모가 늘어나면서 은행부실이 심화되는 것은 아닌지 우려를 낳고 있다.개인들의 주택담보대출 중 부실채권은 3분기 말 기준 전체의 5.36%로 320억 7400만 유로(약 46조 4200억 원)나 된다. 부동산개발 대출의 경우 전체의 33.6%인 65억 7000만 유로(약 9조 5000억 원)가 부실이다. 전체 신용대출 잔액은 9월말 1조 4810억 유로(약 2143조 4000억 원)에서 10월말 1조 4690억 유로(약 2126조 540억 원)로 소폭 줄어 들었다.체코 정부의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1년 만에 처음으로 가계부채가 감소했지만, 기업과 금융기관 등의 부채를 포함할 경우 전체적으로 426억 코루나(약 2조 2600억 원)가 증가했다. 중앙은행의 자료에 의하면 기말의 총 가계부채는 1조 2060억 코루나(약 64조원)이다. 지난해 12월 부채는 23억 코루나(약 1200억 원)이 감소했다. 가구당 저축은 전년 동기대비 증가했으며, 특히 지난해 12월에는 70억 코루나(약 3700억 원)가 늘어났다.반면 기업의 부채는 총 9957억 코루나(약 52조 8400억 원)으로 12월의 경에 11월에 비해 55억 코루나(약 2900억 원)가 감소했다. 중앙은행은 식품가격과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고 있어 가계와 기업의 재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 강력한 구조조정과 민영화, 부채탕감으로 정상화 노력국가재정이 파탄 난 키프로스가 강력한 자체 구조조정을 거친 후 회생기미를 보이고 있다. 키프로스는 지난 3월 예금자들이 은행에서 예금을 대규모로 인출하는 뱅크런이 발생하자 EU로부터 구제금융을 받았다. 이후 혼란한 경제는 안정을 되찾았고, 올해 7.7%의 경제성장을 이뤘다. 내년에는 4.8%의 성장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예상보다 소비가 감소했으며, 주력산업인 관광산업도 예상보다 저조했다.키프로스 정부도 구제금융을 받은 후 강력한 의지로 구조조정을 단행했다. 부실은행은 정리하기 위해 주요 은행 중 하나를 청산했으며, 10만 유로(약 1억 4800만원) 이상의 예금자 자산을 100% 보호하기로 결정했다. 금융부문의 부실을 없애기 위해 과감한 민영화도 추진하고 있다.아이슬랜드 정부는 2014년 중반부터 가구당 2만 4,000유로(약 3,400만원)의 부채를 탕감하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정부는 이 계획을 실행하기 위해 4년 동안 약 1,500억 크레노(약 215조 9,400억 원)에 달하는 예산을 배정하기로 했다.아이슬랜드 은행들은 2008년 금융위기가 발생하기 이전까지 채권을 기반으로 GDP의 108%에 달하는 부채를 양산했다. 금융위기로 아이슬랜드의 통화인 크로나의 가치는 하락했고, 더불어 경제도 곤두박질 쳤다.5년 간의 경제침체로 여전히 가계부채는 GDP의 108%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국제적인 기준에서 평가하면 아이스랜드의 가계부채는 너무 높은 편이다.정부 관계자는 가계에 대한 부채탕감으로 가계의 가처분 소득을 늘리고, 저축을 장려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문제는 정부가 가계부채를 탕감할 수 있는 재원을 마련할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 현재로선 정부의 재원계획은 불투명하다.▲ 유럽중앙은행(ECB) 빌딩(출처 : 홈페이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