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휘는"으로 검색하여,
2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일본 에네코트테크놀로지스의 공장 전경 [출처=홈페이지]일본 신재생에너지업체인 에네코트테크놀로지스(エネコートテクノロジーズ)에 따르면 2024년부터 자체 개발한 차세대 태양전지인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실증실험을 시작할 계획이다. 약 1년 동안 진행한다.실증실험을 시작할 장소는 홋카이도 도마코마이시의 물류시설이다. 이 사업에 이휘, 도마코마키부두 등이 참여하며 이휘는 에네코트테크놀로지에 투자했다.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페로브스카이트로 불리는 결정구조를 이용한 차세대 태양전지다. 실리콘계 태양전지에 비해 얇고 가벼우며 플렉시블하기 때문에 설치 대상이나 장소가 무한하다.부두에 있는 물류창고의 지붕, 벽면 등에 태양전지판을 설치해 발전 효율, 염해·강설 지역에서의 내구성, 기존 건물의 지붕이나 건물 곡면에 설치하는 방법 등을 검증할 방침이다.도마코마이시는 흐린 날이 많고 항만 지역 자체가 습도가 높고 염도가 있어 태양전지를 설치하기에 적당한 지역은 아니다. 하지만 저조도에 악조건 속에서 진행하는 실험이라 좋은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에네코트테크놀로지는 교토대에서 시작한 스타트업으로 태양전지의 재료에 대한 기술과 성막 기술의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2023년 4월 모듈 변환 효율이 19.4%에 달하는 고효율 필름형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개발했다.
-
일본 전자기기업체인 파나소닉(パナソニック)은 2016년 9월 반복해서 접었다 펼 수 있는 리튬이온전지를 개발했다고 발표했다.전기를 통하는 섬유 등을 사용해 생체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스마트의류'나 웨어러블기기의 전원으로 10월부터 샘플 출하를 시작한다.2018년 양산화를 전망하고 있으며 구부러지는 전지는 손목시계 등에 사용되고 있지만 반복해서 형태가 변하는 전지는 최초이다.일본 전자기기업체인 후루카와전지(古河電池)는 2016년 9월 9억엔을 투자해 베트남의 납축전지업체인 피나코사의 주식 10.5%를 인수한다고 발표했다.동남아시아의 빠른 경제성장을 배경으로 오토바이 및 자동차 외에도 빌딩과 철도차량용의 수요확대를 전망했기 때문이다. 해외 생산 및 판매거점은 태국과 인도네시아에 이어 3번째이다.▲ Japan_Furukawa Battery_Homepage▲후루카와전지(古河電池) 홈페이지일본 전자기기업체인 TDK는 2016년 9월 리튬이온전지 대용량화 기술을 가진 미국 벤처기업 제프톨(Zeptor)에 출자했다고 발표했다.로봇과 의료기기 등의 전지를 공동개발하기 위한 것으로 출자금액은 수억엔이다. 제프톨은 2009년 미국 인텔 출신인 3명의 기술자가 설립한 기업이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