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이란공항공사"으로 검색하여,
2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이란 MRUD(Ministry of Roads & Urban Development, 도로도시개발부)는 2015년 10월 대대적인 공항 터미널 건설 프로젝트를 발표했다.주요 상업·교통·관광 중심지로서 국내외 방문객 수요가 충분히 확대될 수 있는 국제공항을 위주로 공항 터미널 건설을 계획했다. 공항 인프라를 확장하려는 것은 국제적인 인적·물적 교류를 활성화하겠다는 의지다.이란 MRUD(Ministry of Roads & Urban Development, 도로도시개발부)*는 2015년 10월 공항 인프라 건설 프로젝트 계획을 발표했다.해당 프로젝트의 협력기관은 이란 IAC(Iran Airports & Air Navigation Company, 공항공사)*이며 홈페이지를 통해 실시간 투자신청이 가능하다.이번에 소개되는 프로젝트는 ‘공항 터미널 건설(Airprot Terminal Construction)’에 초점을 맞췄으며 지난 동향정보(4.12일자)에 게재됐던 2개의 사업도 포함시켰다.지금부터 이란의 총 7개 공항 터미널 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기본정보를 살펴보고 이란 내 공항 인프라 시장을 전망할 계획이다.▲ 메흐라바드국제공항 위치(출처 : iNIS) □ 메흐라바드국제공항(MehrAbad International Airport) (1) o 터미널 용도 : 여객용o 사업방식 : BOT(Built-Operate-Transfer)* 또는 BLT(Build-Lease-Transfer)*o 공사기간 : 미정o 양허기간 : 15년o 수용능력 : 승객 기준 연간 2,000만 명 예상o 투자총액 : 약 1억 6,000만 EUR 예상o 내부수익률(IRR) : 약 28% 예상▲ 메흐라바드국제공항 전경(출처 : Shahram Sharifi) □ 메흐라바드국제공항(MehrAbad International Airport) (2) o 터미널 용도 : CIP 터미널/라운지o 사업방식 : BOT(Built-Operate-Transfer)*o 공사기간 : 미정o 양허기간 : 8년o 수용능력 : CIP 승객 기준 연간 12만 명 예상o 투자총액 : 약 1,200만 EUR 예상o 초기투자액 : 약 24만 EUR 예상o 내부수익률(IRR) : 약 28% 예상▲ 메흐라바드국제공항 야경(출처 : Shahram Sharifi)□ 메흐라바드국제공항(MehrAbad International Airport) (3) o 터미널 용도 : CIP 터미널/라운지o 사업방식 : BOT(Built-Operate-Transfer)*o 공사기간 : 2년o 투자총액 : 약 1,400만 EUR 예상o 초기투자액 : 약 28만 EUR 예상o 내부수익률(IRR) : 약 28% 예상o 투자회수기간(Payback) : 7년메흐라바드국제공항(MehrAbad International Airport)은 1938년부터 상업운행을 개시했으며 테헤란 이맘호메이니국제공항(Tehran Imam Khomeini International Airport) 이전에 수도지역 최대 공항이었다.현재는 국내선 위주로 운항수요를 충당하고 있으며 2014년 기준 승객수는 1361만 7094명으로 집계됐다. 수도권에 위치한 지리적 이점으로 여전히 분주한 공항 중 하나로 손꼽히고 있다. ▲ 테헤란 이맘호메이니국제공항 위치(출처 : iNIS) □ 테헤란 이맘호메이니국제공항(Tehran Imam Khomeini International Airport) (1) o 터미널 용도 : 화물·여객용(터미널 I)o 사업방식 : BLT(Build-Lease-Transfer)*o 공사기간 : 미정o 양허기간 : 12년o 수용능력 : 승객 기준 연간 2,000만 명 예상o 투자총액 : 약 8억 1,000만 EUR 예상o 고정자본 : 약 3억 4,000만 EUR 예상o 운전자본 : 약 4억 7,000만 EUR 예상o 내부수익률(IRR) : 약 29% 예상▲ 테헤란 이맘호메이니국제공항 야경(출처 : Princeofpersia1) □ 테헤란 이맘호메이니국제공항(Tehran Imam Khomeini International Airport) (2) o 터미널 용도 : 여객용(터미널 II)o 사업방식 : BOT(Built-Operate-Transfer)*o 공사기간 : 미정o 수용능력 : 승객 기준 연간 2,000만 명 예상o 투자총액 : 약 18억 EUR 예상테헤란 이맘호메이니국제공항(Tehran Imam Khomeini International Airport)은 2004년 5월부터 상업운행을 개시했으며 현재 테헤란 최대 국제공항으로 자리잡고 있다.2016년 말 아시아 및 유럽 국가를 주요 국제노선으로 설정했으며 현재는 더욱 다양한 국가로 확장하고 있다. 외국인들이 가장 많이 찾는 공항이 될 만큼 터미널 건설 프로젝트는 필수다.▲ 이스파한국제공항 위치(출처 : iNIS) □ 이스파한국제공항(Isfahan International Airport) o 터미널 용도 : 여객용o 사업방식 : BOT(Built-Operate-Transfer)*o 공사기간 : 미정o 양허기간 : 11년o 수용능력 : 승객 기준 연간 600만 명 예상o 투자총액 : 약 4,000만 EUR 예상o 초기투자액 : 약 800만 EUR 예상o 내부수익률(IRR) : 약 28% 예상이스파한 국제공항(Isfahan International Airport)의 다른 명칭은 샤히드 베헤슈티 국제공항(Shahid Beheshti International Airport)이다. 민간용 외에 군사용으로도 사용되고 있는 국제공항이다.과거 번영의 도시였던 이스파한은 테헤란에 이은 거대 도시로 발전하고 있으며 각종 운송 인프라가 구축되고 있다.▲ 타브리즈국제공항 위치(출처 : iNIS) □ 타브리즈국제공항(Tabriz International Airport) o 터미널 용도 : 여객용o 사업방식 : BOT(Built-Operate-Transfer)*o 공사기간 : 2년o 투자총액 : 약 2,025만 EUR 예상o 초기투자액 : 약 600만 EUR 예상o 내부수익률(IRR) : 약 28% 예상o 투자회수기간(Payback) : 10년타브리즈국제공항(Tabriz International Airport)은 이란 내 북서부 지역 타브리즈(Tabriz)의 대표적인 공항이며 이란공군(IRIAF) 전술기지로도 사용되고 있다.타브리즈는 북서부 지역 대표적인 중공업 도시로 가장 큰 경제허브이기 때문에 상업목적의 유동인구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인근 지역 중 인구수가 가장 많으며 도시 인프라가 발전돼 있어 관광객 수요도 점점 증가되는 추세다. □ 시사점해당 프로젝트의 목적은 국제공항으로서 운송수요가 점차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는 주요 거점에 터미널 신설을 통해 수용능력을 확대하려는 것이다.공항은 이란 내 운송 인프라 중 국제교역에 있어 매우 중요한 허브로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란 정부가 교통·상업 중심지 인근에 공항 인프라 확장을 강조하는 이유다.특히 공항이 위치한 인근 지역에는 이미 철도, 도로, 항만, 정유시설, 발전소 등의 인프라 개발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어 경제중심지가 될 가능성이 높다.공항 인프라 건설을 단순히 관광객 증가에 따른 설비투자로 볼 것이 아니라 글로벌 국가를 대상으로 다양한 경제교류를 활성화시켜주는 매개체로 인식해야 한다. * BLT(Build-Lease-Transfer): 시공자가 계약된 시설을 완공한 이후 일정기간 발주자에게 임대하는 방식이다. 임대기간이 만료되면 시설 소유권을 발주자에게 양도하게 돼있다. * BOT(Built-Operate-Transfer): 시공자가 공공프로젝트에 대한 자금 조달, 설계, 건설을 추진하고 완성 후 시설을 운영해 투자자금을 회수한다. 그리고 일정기간이 지난 후 발주자에게 소유권을 양도하는 방식이다. 자료출처 : 이란 도로도시개발부 홈페이지, 이란 공항공사 홈페이지, 메흐라바드국제공항·테헤란 이맘호메이니국제공항·이스파한국제공항·타브리즈국제공항 홈페이지, iNIS 수집 및 분석자료 참조
-
이란 MRUD(Ministry of Roads & Urban Development, 도로도시개발부)에 따르면 2015년 3월~2017년 2월 계약이 체결된 인프라 프로젝트는 총 13건이다. 계약 규모는 총 120억 USD에 달한다. 지금부터 고속도로, 공항, 항만, 철도, 트럭, 여객기, 등 주요 프로젝트에 대한 개략적인 정보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케르만(Kerman)-반다르아바스(Bandar Abbas)항 고속도로 구축 구간□ 운송 인프라의 핵심 '고속도로' 건설o 케르만(Kerman)-반다르아바스(Bandar Abbas)항 간 고속도로(구간길이: 370Km, 계약금액: 10억 USD) o 이스파한(Isfahan) 지역 내 고속도로(구간길이: 91Km, 계약금액: 1억2,300만달러 USD) o 2건 모두 국내 민간투자로 시행될 예정□ 공항 수용력 확대위한 '터미널' 확장 공사 o IKA(Tehran Imam Khomeini International Airport, 테헤란 이맘 호메이니 국제공항)의 개발 프로젝트 o 공항의 수용력 향상위해 Salam Terminal 확장 공사 진행 중 o 자금조달은 이란정부재단법인 Mostazafan Foundation이 담당▲ 테헤란(Tehran)-이스파한(Isfahan) 간 고속철도 구축 구간□ '항만' 개발 및 '철도' 건설 프로젝트 o 차바하르(Chabahar)항 개발을 위해 항만서비스업체 Aria Banader Iranian과 3억3,000만 USD 계약 체결 o 테헤란(Tehran)-이스파한(Isfahan) 간 고속철도 건설을 위해 중국 기업과 17억8,800만 USD 계약 체결 o 철도 시공업체는 CRECG(China Railway Engineering Corporation, 중국철로공정총공사)임□ 운송수단 개보수위한 노후 '트럭' 교체 o 5000대 트럭 교체 프로젝트로 계약금액 중 80%는 정부기관의 임대차 계약을 통해 충당 o 계약 주관사는 IFCO(Iran Fuel Consermation Organization, 이란연료보존협회)와 아랍에미리트 운송설비업체 Mammut Industrial Group임 o 정부의 통계에 따르면 국내 12만~13만대 트럭의 평균수명이 25년 이상으로 집계돼 노후화가 심각한 실정임 o 도로도시개발부와 석유부도 향후 5년 이내에 6만5000대의 트럭을 교체하는 사업을 진행할 예정 o 산업화에 따라 트럭을 제조할 공정설비에 대한 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 □ 여객수요 확대 대비한 '항공기' 확대 o Boeing(보잉) 및 Airbus(에어버스)로부터 여객기 200대에 대한 임대 및 구매 계약 체결 o 2017년 2월 기준 항공기 1대가 인도됐으며 나머지 2대는 3월 20일 회계연도 마감일까지 인계될 예정임 o 항공기 매입계약은 양사 총합 300억 USD에 달하며 제조사 측으로부터 상당한 할인혜택을 적용받음 o 여객기 계약금의 15%는 정부재정으로 충당하며 나머지는 글로벌 금융회사의 지원을 받을 계획임 o 항공기 공급이 확대될 경우 향후 MRO(Maintenance Repair Operation, 유지보수운영) 시설에 대한 수요도 증가될 것으로 전망됨 □ 시사점 현재도 이란 도로도시개발부의 주관으로 국내 80여개 운송 관련 프로젝트가 계획돼 있다. 정부의 재정난을 극복하기 위해 국내외 민간투자를 적극적으로 유치하고 있다. 특히 도로, 철도, 가스파이프라인 등의 경우 국내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인접국인 아제르바이잔, 이라크, 투르크메니스탄, 파키스탄 등과 연계형 인프라투자가 검토되면서 사업 확장의 가능성이 커지고 있는 추세다.또한 운송설비에 대한 공급수요도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이란에 제품을 판매할 업체라면 단순히 제품 공급만을 고려할 것이 아니라 향후 수요가 발생될 개보수시설 및 관련 인프라에 대한 추가여부도 예측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KA(Tehran Imam Khomeini International Airport) - 설립연도: 2004년 5월 8일- 기업소속: IAC(Iran Airports Company, 이란공항공사)- 운영기구: ICAO(Iran Civil Aviation Organization, 이란민간항공청)- 공항위치: 이란 아마다바드(Ahmadabad)* CRECG(China Railway Engineering Corporation)- 설립연도: 1950년- 본사위치: 중국 베이징- 기업형태: 국영회사- 주요사업: 철도사업 관련 엔지니어링, 시공 등 전반 담당자료출처: 이란 도로도시개발부 홈페이지, 테헤란 이맘 호메이니 국제공항 홈페이지, 중국철로공정총공사 홈페이지, 언론보도자료, iNIS 수집 및 분석자료 참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