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8
"블랙기업"으로 검색하여,
79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국정원 7급 인턴 경력직 면접합격가이드북 표지 [출처=배움]1부 면접의 구성과 의미1.1 면접의 정의 71.2 부모가 자녀의 인간관계 지도 81.3 성인이 다른 사람을 판단하는 방법 91.4 직무면접과 인성면접의 비교 101.5 면접관의 숫자에 따른 면접의 종류 111.6 구직자에게 면접이란 121.7 구인자에게 면접이란 131.8 기업문화 분석해 기업 평가 141.9 GWP로 기업 평가 151.10 ESG 경영으로 기업 평가 161.11 면접에서 이력서의 의미 181.12 자기소개서 작성 전략과 유의점 221.13 면접 질문의 5가지 유형 232부 직무면접의 특징과 대비전략2.1 직무면접의 정의와 특징 252.2 역량면접의 주요 질문 282.3 자신의 장점 설명 292.4 갈등의 원인과 해소 302.5 국정원 심층면접 주요 질문 312.6 PT면접의 구성과 발표 352.7 PT면접의 평가 요소 422.8 국정원 PT면접 432.9 상황면접의 특징과 이해 462.10 상황면접의 의도와 대처 482.11 국정원 상황면접 502.12 토론면접의 특징과 이해 612.13 외국어 면접의 이해 692.14 어학직렬 면접 722.15 과학기술직렬 면접 이해 743부 인성면접의 특징과 대비전략3.1 인성면접의 정의와 중요한 이유 773.2 인성면접의 특징과 주요 질문 793.3 국정원 인성면접 평가요소 833.4 국정원 인성면접 주요 질문 843.5 인성면접에서 자신을 드러내는 방법 903.6 입사하려는 목적의 설명 방법 913.7 블랙기업의 인성면접 대비전략 923.8 바람직한 인성면접에 대한 이해 963.9 4차 산업혁명 시대 필요한 인재 974부 면접관의 성향 파악4.1 면접관에 대한 이해 994.2 실무자 중심으로 구성된 직무면접관 1004.3 임원으로 구성된 인성면접관 1014.4 면접관이 지원자를 판단하는 요건 1024.5 면접관이 이해하는 면접 1034.6 면접관을 판단하는 방법 1044.7 유능한 면접관의 태도 1054.8 나쁜 면접관의 3가지 특징 1064.9 무능한 면접관의 3가지 특징 1074.10 면접관 선발시 주의사항 1084.11 면접관이 가져야 할 3가지 판단 기준 1094.12 면접관을 보고 조직을 선택하는 전략 1104.13 면접관을 보고 조직을 선택하는 전략 1115부 국정원 분석5.1 국정원의 역사 1135.2 국정원 조직구조 1155.3 국정원법에 따른 임무 1185.4 국정원의 주요 활동 1205.5 정보환경의 변화 1225.6 국가정보기관의 존재 이유와 종류 1235.7 정보의 종류와 수집 방법 1245.8 국정원의 현안 이슈 1255.9 북한의 현안 이슈 1285.10 국제 현안 이슈 1305.11 지원 직렬별 현안 이슈 1395.12 국정원 선택기준 144부록1 참고문헌 146부록2 국가정보전략연구소 소개 151부록3 국가정보전략연구소 집필진 소개 153부록4 감수자 민진규 소개 154
-
▲ 국정원 9급 면접합격가이드북 표지 [출처=배움]1부 면접의 구성과 의미1.1 면접의 정의 71.2 부모가 자녀의 인간관계 지도 81.3 성인이 다른 사람을 판단하는 방법 91.4 직무면접과 인성면접의 비교 101.5 면접관의 숫자에 따른 면접의 종류 111.6 구직자에게 면접이란 121.7 구인자에게 면접이란 131.8 기업문화 분석해 조직 평가 141.9 GWP로 조직 평가 151.10 ESG 경영으로 조직 평가 161.11 면접에서 이력서의 의미 181.12 자기소개서 작성 전략과 유의점 221.13 면접 질문의 5가지 유형 232부 직무면접의 특징과 대비전략2.1 직무면접의 정의와 특징 252.2 역량면접의 주요 질문 282.3 자신의 장점 설명 292.4 갈등의 원인과 해소 302.5 국정원 심층면접 주요 질문 312.6 PT면접의 구성과 발표 352.7 PT면접의 평가 요소 422.8 국정원 PT면접 432.9 상황면접의 특징과 이해 462.10 상황면접의 의도와 대처 482.11 국정원 상황면접 502.12 외국어 면접의 이해 522.13 어학직렬 면접 552.15 과학기술직렬 면접 이해 573부 인성면접의 특징과 대비전략3.1 인성면접의 정의와 중요한 이유 603.2 인성면접의 특징과 주요 질문 623.3 국정원 인성면접 평가요소 663.4 국정원 인성면접 주요 질문 673.5 인성면접에서 자신을 드러내는 방법 733.6 입사하려는 목적의 설명 방법 743.7 블랙기업의 인성면접 대비전략 753.8 바람직한 인성면접에 대한 이해 763.9 4차 산업혁명 시대 필요한 인재 804부 면접관의 성향 파악4.1 면접관에 대한 이해 834.2 실무자 중심으로 구성된 직무면접관 834.3 임원으로 구성된 인성면접관 844.4 면접관이 지원자를 판단하는 요건 854.5 면접관이 이해하는 면접 864.6 면접관을 판단하는 방법 874.7 유능한 면접관의 태도 884.8 나쁜 면접관의 3가지 특징 894.9 무능한 면접관의 3가지 특징 904.10 면접관 선발시 주의사항 914.11 면접관이 가져야 할 3가지 판단 기준 924.12 면접관을 보고 조직을 선택하는 전략 934.13 면접관을 보고 조직을 선택하는 전략 945부 국정원 분석5.1 국정원의 역사 965.2 국정원 조직구조 985.3 국정원법에 따른 임무 1015.4 국정원의 주요 활동 1035.5 정보환경의 변화 1055.6 국가정보기관의 존재 이유와 종류 1065.7 정보의 종류와 수집 방법 1075.8 국정원의 현안 이슈 1085.9 북한의 현안 이슈 1115.10 국제 현안 이슈 1135.11 국정원 선택기준 122부록1 참고문헌 124부록2 국가정보전략연구소 소개 129부록3 국가정보전략연구소 집필진 소개 131부록4 감수자 민진규 소개 132
-
▲ 대통령경호처 7급 9급 경력 방호직 면접합격가이드북 표지 [출처=배움]1부 면접의 구성과 의미1.1 면접의 정의 71.2 부모가 자녀의 인간관계 지도 81.3 성인이 다른 사람을 판단하는 방법 91.4 직무면접과 인성면접의 비교 101.5 면접관의 숫자에 따른 면접의 종류 111.6 구직자에게 면접이란 121.7 구인자에게 면접이란 131.8 기업문화 분석해 조직 평가 141.9 GWP로 조직 평가 151.10 ESG 경영으로 조직 평가 161.11 면접에서 이력서의 의미 181.12 자기소개서 작성 전략과 유의점 221.13 면접 질문의 5가지 유형 231.14 면접의 종류와 새로운 트렌드 262부 직무면접의 특징과 대비전략2.1 직무면접의 정의와 특징 322.2 역량면접의 주요 질문 352.3 자신의 장점 설명 362.4 갈등의 원인과 해소 372.5 경호처 심층면접 주요 질문 382.6 PT면접의 구성과 발표 432.7 PT면접의 평가 요소 472.8 경호처 PT면접 482.9 상황면접의 특징과 이해 502.10 상황면접의 의도와 대처 522.11 경호처 상황면접 542.12 토론면접의 특징과 이해 572.13 외국어 면접의 이해 722.14 경호처의 외국어 면접 752.15 경호처의 논술면접 832.16 AI면접의 이해 952.17 MZ면접의 이해 993부 인성면접의 특징과 대비전략3.1 인성면접의 정의와 중요한 이유 1023.2 인성면접의 특징과 주요 질문 1043.3 경호처 인성면접 평가요소 1083.4 경호처 인성면접 주요 질문 1093.5 인성면접에서 자신을 드러내는 방법 1153.6 입사하려는 목적의 설명 방법 1163.7 블랙기업의 인성면접 대비전략 1173.8 바람직한 인성면접에 대한 이해 1213.9 4차 산업혁명 시대 필요한 인재 1224부 면접관의 성향 파악4.1 면접관에 대한 이해 1244.2 실무자 중심으로 구성된 직무면접관 1254.3 임원으로 구성된 인성면접관 1264.4 면접관이 지원자를 판단하는 요건 1274.5 면접관이 이해하는 면접 1284.6 면접관을 판단하는 방법 1294.7 유능한 면접관의 태도 1304.8 나쁜 면접관의 3가지 특징 1314.9 무능한 면접관의 3가지 특징 1324.10 면접관 선발시 주의사항 1334.11 면접관이 가져야 할 3가지 판단 기준 1344.12 면접관을 보고 조직을 선택하는 전략 1354.13 면접관을 보고 조직을 선택하는 전략 1365부 경호처 분석5.1 경호처의 역사 1385.2 경호처 조직구조 1415.3 경호처 핵심가치 1425.4 경호처의 경호지침 1435.5 경호의 정의와 종류 1485,6 경호의 목적과 특징 1525.7 우리나라 경호의 실패사례 1565.8 해외 경호의 실패사례 1605.9 경호처 선택기준 164부록1 참고문헌 166부록2 국가정보전략연구소 소개 171부록3 국가정보전략연구소 집필진 소개 173부록4 감수자 민진규 소개 174
-
▲ 코레일 면접합격가이드북 표지 [출처=배움]1부 면접의 구성과 의미1.1 면접의 정의 71.2 부모가 자녀의 인간관계 지도 81.3 성인이 다른 사람을 판단하는 방법 91.4 직무면접과 인성면접의 비교 101.5 면접관의 숫자에 따른 면접의 종류 111.6 구직자에게 면접이란 121.7 구인자에게 면접이란 131.8 기업문화 분석해 기업 평가 141.9 GWP로 기업 평가 151.10 ESG 경영으로 기업 평가 161.11 면접에서 이력서의 의미 181.12 자기소개서 항목과 작성 전략 201.13 면접 질문의 5가지 유형 222부 직무면접의 특징과 대비전략2.1 직무면접의 정의와 특징 242.2 역량면접의 주요 질문 272.3 자신의 장점 설명 282.4 갈등의 원인과 해소 292.5 코레일 직무면접 주요 질문 302.6 PT면접의 구성과 발표 312.7 PT면접의 평가 요소 342.8 코레일 PT면접 352.9 상황면접의 특징과 이해 362.10 상황면접의 의도와 대처 382.11 토론면접의 특징과 이해 402.12 외국어 면접의 이해 452.13 AI면접의 이해 482.14 MZ면접의 이해 523부 인성면접의 특징과 대비전략3.1 인성면접의 정의와 중요한 이유 553.2 인성면접의 특징과 주요 질문 573.3 코레일 인성면접 주요 질문 603.4 코레일 장단점 질문 653.5 코레일 인생관 질문 673.6 코레일 직업관 질문 683.7 코레일 경험 질문 723.8 일반 기업의 소양 질문 733.9 코레일의 인성면접 공통 질문 763.10 인성면접에서 자신을 드러내는 방법 783.11 입사하려는 목적의 설명 방법 793.12 블랙기업의 인성면접 대비전략 803.13 바람직한 인성면접에 대한 이해 843.14 4차 산업혁명 시대 필요한 인재 854부 면접관의 성향 파악4.1 면접관에 대한 이해 874.2 실무자 중심으로 구성된 직무면접관 884.3 임원으로 구성된 인성면접관 894.4 면접관이 지원자를 판단하는 요건 904.5 면접관이 이해하는 면접 914.6 면접관을 판단하는 방법 924.7 유능한 면접관의 태도 934.8 나쁜 면접관의 3가지 특징 944.9 무능한 면접관의 3가지 특징 954.10 면접관 선발시 주의사항 964.11 면접관이 가져야 할 3가지 판단 기준 974.12 면접관을 보고 조직을 선택하는 전략 984.13 면접관을 보고 조직을 선택하는 전략 995부 코레일 기업 분석5.1 코레일의 역사 1015.2 코레일 조직구조 1105.3 코레일 업무 1115.4 코레일의 경영전략 1125.5 코레일 직무 소개 1145.6 코레일의 ESG 경영 소개 119부록1 참고문헌 122부록2 국가정보전략연구소 소개 127부록3 국가정보전략연구소 집필진 소개 129부록4 감수자 민진규 소개 130
-
▲ 삼성전자 DS사업부 면접합격가이드북 표지 [출처=배움]1부 면접의 구성과 의미1.1 면접의 정의 71.2 부모가 자녀의 인간관계 지도 81.3 성인이 다른 사람을 판단하는 방법 91.4 직무면접과 인성면접의 비교 101.5 면접관의 숫자에 따른 면접의 종류 111.6 구직자에게 면접이란 131.7 구인자에게 면접이란 141.8 기업문화 분석해 기업 평가 151.9 GWP로 기업 평가 161.10 ESG 경영으로 기업 평가 171.11 면접에서 이력서의 의미 191.12 자기소개서 작성 전략과 유의점 221.13 면접 질문의 5가지 유형 232부 직무면접의 특징과 대비전략2.1 직무면접의 정의와 특징 252.2 역량면접의 주요 질문 282.3 자신의 장점 설명 292.4 갈등의 원인과 해소 302.5 삼성전자 DS부문 역량면접 주요 질문 312.6 삼성전자 DS부문 역량면접 기타 질문 382.7 PT면접의 구성과 발표 412.8 PT면접의 평가 요소 442.9 삼성전자 DS부문 PT면접 452.10 상황면접의 특징과 이해 462.11 상황면접의 의도와 대처 482.12 삼성전자 DS부문 상황면접 502.13 토론면접의 특징과 이해 512.14 외국어 면접의 이해 552.15 AI면접의 이해 582.16 MZ면접의 이해 623부 인성면접의 특징과 대비전략3.1 인성면접의 정의와 중요한 이유 653.2 인성면접의 특징과 주요 질문 673.3 삼성그룹 인성면접 공통 질문 703.4 삼성전자 DS부문 인성면접 주요 질문 713.5 삼성전자 DS부문 장단점 질문 753.6 삼성전자 DS부문 인생관 질문 773.7 삼성전자 DS부문 직업관 질문 793.8 삼성전자 DS부문 소양 질문 823.9 인성면접에서 자신을 드러내는 방법 853.10 입사하려는 목적의 설명 방법 863.11 블랙기업의 인성면접 대비전략 873.12 바람직한 인성면접에 대한 이해 913.13 4차 산업혁명 시대 필요한 인재 924부 면접관의 성향 파악 4.1 면접관에 대한 이해 944.2 실무자 중심으로 구성된 직무면접관 954.3 임원으로 구성된 인성면접관 964.4 면접관이 지원자를 판단하는 요건 974.5 면접관이 이해하는 면접 984.6 면접관을 판단하는 방법 994.7 유능한 면접관의 태도 1004.8 나쁜 면접관의 3가지 특징 1014.9 무능한 면접관의 3가지 특징 1024.10 면접관 선발시 주의사항 1034.11 면접관이 가져야 할 3가지 판단 기준 1044.12 면접관을 보고 조직을 선택하는 전략 1054.13 면접관을 보고 조직을 선택하는 전략 1065부 삼성전자 기업 분석5.1 삼성전자의 역사 1085.2 삼성전자 DS부문 조직구조 1185.3 삼성전자 DS부문 제품 및 서비스 1195.4 삼성전자의 경영전략 1225.5 삼성전자 DS부문 직무 소개 1235.6 삼성전자의 ESG 경영 소개 124부록1 참고문헌 126부록2 국가정보전략연구소 소개 131부록3 국가정보전략연구소 집필진 소개 133
-
2022-03-082차 세계 대전 이후 유일 초강대국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는 미국은 ‘세계 경찰’로서 평화를 수호하고 질서를 유지한다는 인식을 갖고 있다. 할리우드 영화 중 어벤저스 시리즈도 악당들로부터 지구를 지키는 수호대에 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ESG 경영도 서유럽과 미국의 지식인들이 환경파괴로 멸망해가는 하나뿐인 지구를 지키기 위해 도입한 ‘히어로’라는 인식이 강하다. 하지만 일각에서 지구 수호대가 세계를 지키기보다는 미국과 할리우드를 지키고 있다고 비아냥거리는 것처럼 ESG 경영을 거부한다.그렇다고 ESG 경영을 선진국의 음모론이라 읊조리면서 관망하기는 어려운 것이 해외 투자자와 소비자들이 눈을 부릅뜨고 기업이 ESG 경영을 도입했는지 관찰하고 있기 때문이다. 국내 기업 중 해외로 상품을 수출하지 않거나 해외 자본의 영향력으로부터 자유로운 곳은 하나도 없다.◇ ESG 경영도 측정 가능해야 개선할 수 있다는 원칙 통용세계적 경영학자인 피터 드러커는 “측정 가능해야 관리할 수 있다(what gets measured gets managed)”고 주장했다. ESG 경영도 명확한 지표로 측정할 수 있어야 하는데, 과거 윤리경영을 강조할 당시와 마찬가지로 용어의 개념을 명확하게 정의하기조차 쉽지 않다.10여년 전 윤리경영이 한국 산업계를 강타할 때 대부분의 경영자와 일반인은 윤리경영이라는 용어 자체도 이해하기 어려워했다. 윤리경영도 1980년대 미국에서 시작할 때 정식 용어는 ‘business ethics’였다.한국어로 번역하면 ‘사업윤리’, ‘비즈니스윤리’가 적당한데 국내에서는 윤리경영으로 통칭했다. 이웃 국가인 일본도 1990년대 초반부터 사업윤리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고, 한국과 달리 ‘비즈니스윤리’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일부에서는 기업윤리(corporate ethics)를 혼용하기도 한다.윤리(Ethics)는 ‘사람으로서 마땅히 행하거나 지켜야 할 도리’로서 개인의 의사결정을 유도하는 옳고 그름의 원칙을 의미한다. 윤리는 종교(religion)에서 주장하는 개념과 다르며 법(law)과 동의어도 아니다. 또한 문화적 기준(cultural standard)이나 개인의 감정(feeling)과도 차이가 있다.그렇다고 윤리가 과학적으로 측정 가능한 영역도 아니며 단순한 가치의 조합(collection)은 더욱 아니다. 윤리는 투명성(transparency), 공정(fairness), 신뢰성(reliability), 충성심(royalty), 품위(dignity) 등의 의미를 모두 포함한다.기업 경영 성과는 수치로 나타나기 때문에 평가가 쉬운 편인데, ESG 경영은 범위를 한정하기 어렵고 정량적 지표뿐만 아니라 정성적 지표도 포함시켜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내부 프로세스, 학습과 성장과 같은 비재무적 지표를 경영평가에 포함시킨 균형성과지표(BSC)의 사례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ESG 경영도 넓은 의미로 윤리경영의 확장된 개념이기 때문에 모호한 것은 마찬가지이다. 환경도 기업이 사업활동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에너지를 과다하게 사용하는지 혹은 환경오염을 유발하는지 등을 평가한다.하지만 과다하게 에너지를 사용한다고 판단할 수 있는 기준도 없고, 100% 친환경인 상품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현실을 무시했다.사회도 사회적 책임을 말하는데, 사회적 책임도 광범위한 의미를 갖고 있다. 윤리경영을 평가할 때도 사회적 책임이 포함됐는데, 기업이 어디까지 책임을 질 것인지도 한계를 정하지 못했다.ESG 경영이 제대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쉽게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제시해야 하고, 기업들이 스스로 측정 및 개선할 수 있도록 이해시켜야 한다.▲ 공기업 ESG 경영 평가 진단 모델 8-Flag Ecosystem의 지표 [출처 = iNIS]◇ 집단지성 결과물인 ESG 팔기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한국 산업통상자원부는 2021년 12월 ESG 경영을 평가할 수 있는 K-ESG 지표를 정립해 발표했다. 다른 기관이 초점을 맞추고 있는 거버넌스, 사회, 환경의 3개 대지표와 더불어 정보공시를 포함시켰고, 세부 문항은 61개로 확정했다.K-ESG 지표의 기본 진단 항목은 정보공시가 5개, 환경이 17개, 사회가 22개, 지배구조가17개로 총 61개이다. 환경에 관련된 항목을 살펴보면 환경경영목표, 원부자재, 온실가스, 에너지, 용수, 폐기물, 오염물질, 환경 법/규제 위반, 환경 라벨링 등 17개인데, 원부자재나 용수와 같은 항목은 제조업에만 특화된 항목이다.반면에 글로벌 차원에서 가장 인지도가 높은 MSCI ESG는 환경에서 기후변화, 천연자원, 환경기회를 바탕으로 이산화탄소 배출, 제품 탄소 발자국, 재무환경 영향, 기후변화 취약성, 용수 사용, 생물 다양성 & 토지 사용, 원자재 조달, 독성 물질 배출 & 쓰레기, 포장재, 전자 폐기물 등 13개 지표로 평가한다.국내외 기업경영과 글로벌 산업 동향에 관한 정보 수집 및 분석에 역량을 개발해왔던 국가정보전략연구소(국정연)는 다양한 ESG 지표를 연구 및 검토해 팔기생태계(8-Flag Ecosystem)를 개발했다. 과거부터 윤리경영의 지표를 도입해 운용했던 기업들이 ESG 경영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지표를 다시 조정했다.예를 들어 거버넌스를 평가하기 위해 제도운영(Compliance), 리더십(Leadership), 투명성(Transparency)을 선정했다. 이해관계자(Stakeholders), 가치존중(Reputation), 의사소통(Communication)은 사회적 책임을 측정하는 지표, 에너지(Energy)와 환경오염(Pollution)은 환경보호를 위한 노력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을 충족시키는 지표를 포함하고 있다.지난 20여년 동안 국정연은 관련 전문가들로 싱크탱크를 구성해 윤리경영, 기업문화, 블랙기업 등에 대한 연구를 지속했다. ESG 경영도 그 한 부분이며 집단지성의 결과물이 ‘ESG 8-Flag Ecosystem’이다.선진국의 평가 모델들과 마찬가지로 거너번스, 사회, 환경의 분야로 구성됐으며 총 8개의 중분류 지표, 84개의 소분류 지표를 선정했다.일반적으로 거버넌스에 공시제도나 이사회 구성과 같은 일부 지표만 포함시키는데 국정연은 리더십이라는 항목을 추가하고 세부 지표의 숫자를 크게 늘렸다.사회는 이해관계자, 가치존중, 의사소통이라는 3개의 중분류에 24개의 소분류로 구성됐다. 이해관계자는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이해를 균형적으로 보호하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지표이다.1990년대까지 주주의 가치만 우선하던 경영 관행이 변하고 있지만 여전히 주주와 종업원이 우선하는 기업이 다수를 점유하고 있다는 현실을 반영하기 위함이다.환경은 에너지와 환경오염이라는 2개 중분류에 각 8개씩 16개의 소분류 지표가 있다. 에너지에 대한 평가는 상품의 생산과정에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환경오염은 상품의 생애주기에서 환경오염을 얼마나 초래하는지 평가한다. 최근 대통령 후보자 TV 토론으로 화제가 된 RE 100라는 용어도 빠지지 않았다. ◇ ESG 경영 평가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모색하며 진화그동안 ESG 경영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전됐고, 다수의 기관들이 핵심성과지표(KPI)를 찾기 위해 많이 노력했다. 하지만 여전히 현장의 경영자들은 ESG 경영을 준수하는데 혼란을 느끼고 있다. 윤리경영처럼 ESG 경영이 정착되지 않는 이유로 경영자의 실천의지 부족을 지적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또한 외부적으로 표명하는 의지와 실질적인 행동은 정반대인 경우도 많다. 경영자뿐만 아니라 임직원, 협력업체, 소비자, 정부도 비슷한 입장에 처해 있다.ESG 경영이 구호만 난무하고 가시적인 성과가 나타나지 않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최근 국내에서 나타나고 있는 ESG 경영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살펴보자.첫째, 개별 기업의 특성을 반영하지 않고 산업별로 평가기법을 표준화하거나 단순화하면서 결과가 왜곡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어 화석연료를 많이 사용하는 발전회사는 환경을 파괴하므로 아무리 노력해도 ESG 경영의 평가 결과가 낮게 나올 수밖에 없다.반대로 전기자동차 제조업체는 친환경을 기치로 내걸고 있지만 정작 배터리의 제조에 필요한 희토류를 채굴하기 위해서는 환경 파괴가 불가피하다. 배터리의 재활용비율도 낮다. 따라서 산업과 기업의 개별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해야 한다.둘째, ESG 경영을 평가하는 대부분의 기관들이 세부 항목과 평가방법에 대해서는 공개하지 않아 평가를 받는 기업이나 기관의 입장에서는 불리하다. 비평가 대상자와 평가자 사이에 암묵적 거래나 유착과 같은 모럴 해저드가 발생할 여지가 충분하다.불투명한 평가방법론으로 인해 신뢰를 잃어가는 주요 평가기관, 정보의 비대칭성을 해소하기 보다는 역이용하는 일부 기업, 모호한 평가지표로 친기업적 판단을 내리는 사이비 평가자까지 모두 ESG 경영의 본질을 흐리고 있다. 국정연이 세부 평가지표를 공개하기로 결정한 이유다.셋째, 선진국의 ESG 경영 평가기관들은 자국의 기업들에 대해 우호적인 반면 타국이나 후진국에 대해서는 엄격하게 대하는 등 편향적이다. 개발도상국 기업들이 환경을 중시하지 않거나 지배구조를 개선하려는 노력이 부족한 것도 부인하기 어렵지만 선진국의 비뚤어진 시각도 배제해서는 안 된다.주로 유럽연합(EU)에 위치한 투자자들은 ESG 경영이 투자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이슈라고 판단한다. 반면 미국이나 기타 선진국 및 후진국의 투자자들은 기업의 재무적 성과에 주목한다.한국의 투자자나 은행들도 기업과 거래할 때 비재무적 성과를 거의 참조하지 않는다. ESG 경영이 지속가능 성장의 핵심 동인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잘못된 현상이다.마지막으로 일부 평가기관이 공시제도나 환경설비 구비 등과 같은 지표를 중시하면서 대기업이 중소기업에 비해 좋은 평가를 받는 착시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정보공개 성향도 상장회사인지 여부, 최고 경영자의 성향, 정부의 법적 요건에 차이가 난다는 측면도 고려해야 한다.이사회의 구성이나 운영도 기업의 규모나 주식시장 상장에 따라 천차만별(千差萬別)이다. 사회이사의 위촉 여부, 감사의 독립성, 내부고발제도의 도입 여부, 엄격한 상벌제도의 운영도 업종이나 경영자의 의지가 큰 영향을 미친다. 눈에 보이지 않는 정성적인 지표를 중시하지 않으면 오판을 내릴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주의해야 한다.▲ 김백건 국가정보전략연구소 선임연구원 [출처 = iNIS]- 계속 -
-
일본 IT 대기업인 라쿠텐(楽天)에 따르면 2020 회계연도 상반기의 연결결산 최종손익은 274억엔의 적자를 기록했다. 2019 회계연도 상반기 1002억엔의 흑자를 기록한 것과 대비된다. 최종 적자를 기록한 것은 2011년 동기 이후 9년 만이다. 2020년 4월 도입한 이동통신사업과 전자상거래 사업의 물류 거점 투자가 큰 영향을 준 것으로 조사됐다. 일본 농림수산성(農林水産省)에 따르면 전국 소매점의 야채류 8품목 가격이 전부 평년 대비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2020년 8월 3일에서 5일 기준 판매 물가동향에서 조사된 결과이다. 2020년 7월 중의 장마와 일조량 부족에 의한 출하량 감소로 채소 가격이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여름에 가격이 상향되는 것은 이례적으로 가격이 급등한 양상추와 대비해 적게 오른 양배추 수요가 확대됐다. 일본 변호사 법인 사무소인 에즈버즈(アズバーズ)에 따르면 블랙기업 대처법으로 변호사나 행정인 등 퇴직을 대행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일부 블랙기업에서 직원의 퇴직을 거부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해고를 하면서도 합의 퇴직서에 서명하게 하는 경우도 있어 변호사 등 제3자에게 확인을 요청하는 것이 안전한다. ▲에즈버즈(As birds) 홈페이지
-
정치색이나 출신성분이 비슷한 시장으로 지역특색 찾기 어려워, 서비스업 중심으로 경기변동에 민감하지 않지만 성장가능성도 낮아남한의 중심에 위치해 있으면서 교통의 요지인 대전광역시(이하 대전시)는 구석기시대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한 곳이지만 일제시대인 1914년 대전군이 신설되면서 현재의 지명을 얻게 됐다. 해방 이후인 1949년 대전시로 승격됐다가 1989년 대전직할시, 1995년 대전광역시로 각각 개칭됐다.▲국가정보전략연구소장 민진규(출처 : iNIS)대전이 포함된 충청도는 경상도나 전라도와는 차별화된 지역 특성이 있다. 통일신라 이후 1,000년 동안 한반도의 정치사를 주도한 경상도, 백제가 멸망한 이후 현재까지 중앙정치에서 홀대 받은 전라도의 싸움을 지켜보면서 중용(中庸)을 지키는 것이 생존에 긴요하다는 점을 몸소 체득했다.이러한 특성은 지역 출신의 정치인이나 주민들 사고와 행동에도 짙게 배여 높은 수준의 처세술로 나타났다. 어느 쪽도 옳거나 그릇되지 않았다는 유연한 사고와 서두를 필요도 없이 한발 늦은 느린 행동은 행정의 추진력을 떨어뜨려 지역발전의 발목을 잡았다.대전시의 자치행정을 국가정보전략연구소가 개발한 오곡밸리모델을 적용해 평가해 세부 지표별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시정구호만 살펴보면 지역주민에게 나쁜 블랙기업정치충청권을 대표하는 대전은 김종필 전 총리가 1961년 5∙16 군사 쿠데타의 주역으로 중앙정치의 중심에서 머물면서 현대 정치사에 족적을 남길 수 있었지만 좋은 기회를 살리지는 못했다.김종필이 박정희 정권에서 만년 2인자로 머물렀고, 1987년 민주화 이후에는 자유민주연합이라는 군소정당을 창당해 영남과 호남의 정치세력 다툼을 조정하는 역할에 만족했기 때문이다.지방자치가 시작된 1995년 이후 역대 대전시장은 홍선기, 염홍철, 박성효, 권선택, 허태정 등이 맡았다. 홍선기는 6대와 7대 2회, 염홍철은 8대와 10대, 박성효는 9대, 권선택은 11대 시장이었고, 허태정이 12대 시장직책을 수행하고 있다.홍선기, 염홍철, 박성효가 보수정당 출신이고, 권선택과 허태정은 진보정당 소속이다. 홍선기는 충청을 기반으로 급조되었던 자유민주연합 소속으로 연임했지만 별다른 정치적 업적을 남기지는 못했다.김종필의 정치적 영향력이 위축된 2004년 19대 총선 이후 대전 지역도 보수의 아성에서 진보진영으로 권력이 서서히 이동하고 있는 중이지만 호남의 진보와는 정치적 입장이나 인물의 구성이 다르다. 대전지역 정치인은 정당의 소속은 다르지만 인물의 면면을 보면 정치색이나 출신성분이 유사하다.역대 시장들의 시정구호를 살펴보면 홍선기는 ‘위대한 대전, 긍지 높은 시민의 시대’, 염홍철은 ‘가장 살기 좋은 대전 건설’과 ‘세계로 열린 대전, 꿈을 이루는 시민’, 박성효는 ‘함께 가꾸는 대전, 함께 누리는 행복’, 권선택은 ‘시민을 행복하게, 대전을 살 맛나게’, 허태정은 ‘새로운 대전, 시민의 힘으로’ 등을 각각 제시했다.지역정치가 중앙정치에 종속되면서 지역 정치인들은 선거공약을 개발하기 보다는 중앙당 차원의 바람을 우선적으로 기대한다. 다른 광역지방자치단체와 달리 공천이 곧 당선이라는 등식은 성립하지 않았지만 중앙정치의 판세가 지역정치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이다. 역대 당선자들도 선거에서 개인적 역량보다는 정당의 후광을 최대한 활용했다.주 52시간을 강제하며 일과 삶의 균형(work and life balance)’ 정책을 펼치는 문재인 정부에서 새롭게 조명을 받고 있는 블랙기업(black company)이라는 용어도 기업문화(corporate culture) 관점에서 연구할 수 있다. 기업문화 전문가인 필자는 블랙기업에 관해 다수의 칼럼을 기고했는데 블랙기업의 비전(vision)이나 미션(mission)이 대전시의 시정구호와 유사한 특성을 보인다.블랙기업은 ‘위대한’, ‘긍지’, ‘꿈(dream)’, ‘행복(happiness)’, ‘세계’ 등의 단어는 많이 사용하는데 대전시의 역대 시정구호도 비슷하다. 대전시가 지역 정치인과 공무원들에게는 블랙기업은 아니지만 지역 주민들에게는 블랙기업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지방자치시대가 열린 지도 25년이 지났지만 지방자치가 제대로 정착했다는 평가를 내리기는 어려운 이유도 선거공약이나 행정이 구호만 난무했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개념조차 명확하게 정의하기 어려운 용어를 무차별적으로 사용하고 이를 측정할 지표는 전혀 제시하지 않은 것도 행정이 낙후되게 만들었다. 지역 공무원들도 행정서비스의 질(quality)을 개선하기 보다는 지역 정치인에게 줄을 서는 것이 승진에 유리하다는 것을 파악해 행동하는 것도 블랙기업의 특징이다.지방자치가 정상화되기 위해서는 지역주민의 정치의식 수준이 높아져야 하지만 바뀌는 것을 기대하기 어렵다. 대전시는 구도심과 유성구, 대덕구 등 신도심이 인구구성 측면에서 극명하게 구분된다.구도심은 토착민의 비중이 높고, 신도심은 학력이 높은 외지인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대전시의 정치가 선진화되기 위해서는 아직도 가야 할 길이 멀지만 변화를 위한 자체 동인(driver)을 확보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 대덕연구단지라는 천혜의 자원을 확보하고도 살리지 못해경제2019년 대전시 세입은 3조8,455억원으로 전년 3조4,887억원에 비해 3,567억원이 증가했다. 지방세는 1조5,043억원으로 전체 예산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해 재정자립도가 열악한 것으로 드러났다. 2019년 전체 예산은 5조7,530억원이고, 2020년 예산은 6조7,822억원으로 18% 증액해 편성했다.대전시의 지역내총생산(GRDP)는 2017년 기준 2,436만원으로 2015년 2,208만원, 2016년 2,341만원 등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전국 평균인 3,365만원에 비해서는 한참 낮은 편이다. 서울특별시의 3,806만원, 울산광역시의 6,441만원, 충청남도의 5,149만원, 전북의 3,965만원, 충청북도의 3,803만원, 경북의 3,699만원, 경남의 3,226만원 등과 비교해도 적다.하지만 2017년 기준 1인당 개인소득은 서울이 가장 높은데 2,081만원, 울산이 2,018만원, 경기도가 1,790만원, 대전이 1,776만으로 전국에서 4번째로 높다. 개인당 소비도 많은 도시답게 제조업보다는 서비스업이 76% 이상을 차지하는 경제구조를 갖고 있다. 울산광역시 등과 달리 제조업의 비율은 18%에 불과할 정도로 낮다.중앙정부기관, 공기업, 연구소, 금융기관, 대기업 지역 본부 등이 일자리의 대부분을 제공하는데 대덕연구단지 내 국책연구소, 민간연구소에 근무하는 직원만 7만명을 상회한다. 정부대전청사에도 7,000명 정도가 근무하고, 수자원공사, 조폐공사, 철도공사 등의 본사에도 많은 직원이 일하고 있다.조선, 자동차, 화학 등 제조업의 급격한 위축으로 도시가 황폐화되고 있는 울산광역시와 달리 서비스업이 위주인 대전시의 경제는 경기변동에 민감한 구조는 아니지만 급격한 성장세를 유지하기도 어렵다. 석∙박사 출신의 고급 연구원이 일하는 연구소, 정부부처, 공기업 등은 일자리를 급격하게 늘리기도 어렵고, 급여의 변동도 크지 않다.대전시의 발전에 아쉬운 점 중 하나가 정부대전청사를 확보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세종시로 중앙부처 이전지를 빼앗긴 점이다. 부동산 투기를 하는 사람들이나 건설업체의 입장에서는 개발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지역을 선호하겠지만 집적효과를 감안했다면 정부대전청사를 확대하는 것이 합리적이었다고 볼 수 있다.결국 세종시도 다른 행정기능 도시와 마찬가지로 주말에는 유령의 도시로 전락했고, 대전시도 인구가 감소하면서 점점 쇠락하는 중이다.2020년부터 신규 일자리 창출, 4차산업혁명 가속화, 바이오 메디컬산업 육성 등 융∙복합 혁신 생태계를 육성할 계획이다. 생활 SOC사업, 원도심 활성화 사업 등 도시기반 확충, 환경, 안전 등도 개선해 지역발전의 기반도 구축할 방침이다.제조업 기반이 약하고 서비스업이 주력인 지역 산업구조를 감안하면 4차산업혁명이나 바이오 메디컬산업을 발전시키는 것은 쉽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대전시는 인구의 감소에 더불어 지역의 경제도 서서히 침몰하고 있다. 지하철을 운영하고 도시철도 2호선으로 트램을 도입한다고 지역의 경제가 살아날 가능성은 없다. 대덕연구단지라는 천혜의 자원을 확보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살리지 못하고 있는 것도 아쉽다.대덕연구단지는 1974년 조성되기 시작해 1992년 연구단지로 확장됐고, 1999년부터 대덕연구단지관리법을 통해 연구성과의 실용화, 벤처기업의 유치 등을 추진하고 있다.국가연구소는 기초 원천기술을 개발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지만 대기업들이 자체 연구소를 통해 기술을 확보하고 있어 기술이전 실적이 매우 저조한 수준으로 존립기반조차 흔들리고 있다.공급자 중심의 연구개발의 틀어 넘어 수요자 중심의 혁신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에 적응하지 못하면 대덕연구단지의 미래도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보수적인 국가연구소는 혁신을 터부시하기 때문에 종국적으로 대전시의 핵심 경제동력도 사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계속 -
-
일본 도요타자동차(トヨタ自動車)에 따르면 2016년 12월 자동차 이용촉진으로 이어지는 새로운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한 기획공모를 시작했다.당사는 자금, 판매점 네트워크, 빅데이터 등을 제공하고 개인, 기업에 상관없이 아이디어를 제출할 수 있다. 새로운 서비스를 공동으로 개발하기 위한 목적이다.▲도요타자동차 홈페이지일본 후생노동성(厚生労働省)에 따르면 2017년 노동조건을 거짓으로 헬로워크와 직업소개사업자에게 구인을 낸 기업을 대상으로 벌칙을 부과할 방침이다.중소기업의 인력난이 심각한 가운데 노동환경이 열악한 ‘블랙기업’이 임금이나 대우를 실제보다 좋아보이게 하는 ‘취업사기’를 억제하기 위한 목적이다.일본 경제산업성(経済産業省)에 따르면 2017년 4월 가스소매전면자유화를 위해 가스대기업이 소유하는 가스도관망의 이용료를 결정했다.기업별로 살펴보면 도쿄가스 1입방미터당 20.64엔, 오사카가스 21.81엔, 도호가스 19.15엔으로 각사의 신청요금보다 각각 1.25엔, 0.35엔, 0.64엔 줄었다.
-
▲메이지유신 150주년 기념(출처 : 가코시마시) ◈ 제국주의 군대경험을 한 남성들이 배출되면서 사회전반에 군대문화가 정착일본은 근대화의 출발점이 된 메이지유신(明治維新) 이후 서구 열강의 국가정책을 답습해 제국주의 길을 걸었고 군대가 첨병역할을 수행했다.사무라이계급을 폐지하고 징병제를 도입해 전국민 개병제시대를 열면서 일반인도 누구나 군대 경험을 쌓게 됐다.1945년 제국주의가 패망할 때까지 수백 만 명에 달하는 남성들이 군대에 직접 복무하거나 군 관련 경험을 공유하게 됐다.일본 정부는 2차 대전의 폐허에서 회복하기 위해 정부와 산업계는 일치단결해 미국식 경제체제를 도입하기 시작했다.승전국인 미국을 따라잡기 위해 효율성이 강조됐으며 자연스럽게 기업에 군대식문화를 접목시켰다.일본 군대는 전쟁에서 승리를 쟁취하기 위해 상명하복(上命下服)에 의한 위계질서를 강조했고 가혹한 구타와 폭언도 용납됐다.군대에서 제대한 남성들이 점령한 일본 사회 전반에도 군대식 위계질서가 정착했고 기업도 마찬가지 상황에 처했다.단기간에 높은 성과를 내고자 했던 기업도 일정 부문 폭언과 폭행을 용납했다. 종신고용을 보장하는 대가로 사회적으로 용납할 수 있는 수준의 폭력은 허용된 것이다.하지만 사회적으로 용인될 수 있는 수준은 어디까지인가에 대한 논란은 여전히 해소되지 않고 있다.또한 육체적 노동자나 위험이 높은 현장에서 성행하던 직장폭력이 화이트칼라가 근무하는 사무실까지 확산되면서 심각성을 더하고 있는 실정이다.직장폭력으로 자살자가 나오고 정신과치료를 받는 사례도 급증하면서 가이드라인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 단순한 폭언을 넘어 폭행까지 이어질 경우 범죄행위로 인식해 처벌이 필요상하가 부하직원에게 도저히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목표를 제시하고 이를 달성하지 못했을 때 체벌이나 폭언을 가하기도 한다.단순한 폭언에서 그치기도 하지만 작업장에 비치된 연장, 몽둥이나 골프채 등 도구를 활용한 폭행까지 다양하다.많은 직장인들이 불이익을 두려워해 상사의 폭력에 정당하게 대응하지 못하고 있지만 보안전문가들은 방치할 경우 심각한 상황까지 진전되기 때문에 바람직한 대처가 바람직하다고 조언한다.첫 번째, 상사나 동료 등이 폭언을 할 경우에는 녹음을 했다가 해당자의 상급자나 회사의 감사실에 보고해 해결을 요청하는 것이 좋다.현장에서 폭언을 하는 상급자에게 대들다가 물리적인 폭력으로 진전될 수 있으므로 가급적 직접적인 충돌을 피해야 한다.감사실이 관련 사실을 제보 받고도 해결하려는 노력을 하지 않을 경우 노조에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 좋다. 소규모 회사라서 노조가 없을 경우에는 최고 경영진에게 직접 보고를 하도록 한다.최고 경영진에게 상황을 보고했음에도 불구하고 상응하는 조치가 없으면 사안의 경중에 따라 행동을 결정할 수 밖에 없다.우선 폭언의 수준에 그칠 경우 회사를 떠나는 것이 좋다. 특히 경영진이 오히려 폭언을 한 상사를 옹호할 경우에 상황이 호전될 가능성을 기대하지 않아야 한다.회사의 입장에서 폭언을 하는 상사의 능력이 더 뛰어나다고 판단해 그의 고용을 유지하는 대신에 문제를 제기한 하급자가 떠나도록 방치할 수 있다.폭언의 당사자가 회사대표일 경우에도 마찬가지 상황이다. 사장이 회사를 떠날 수 없으므로 폭언을 들은 직원이 회사를 나가야 한다.두 번째, 폭언의 단계를 넘어 폭행으로 이어졌을 경우이다. 폭행을 당했을 경우에도 경중에 따라 처신할 필요가 있다.일단 가볍게 밀치거나 맞은 경우에는 감사실이나 상급자에게 보고해 해당자에 대한 인사상의 조치를 요구한다.하지만 상처가 생길 정도로 경상이나 중상을 입은 경우에는 맞은 상처부위나 사용한 흉기 등을 사진으로 촬영해 감사실에 보고한다.감사실의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경우 경영진에게 보고해 강력한 조치를 요구해야 한다. 적절한 조치가 취해지지 않으면 형사상 절차를 밟을 수 밖에 없다.직장폭력이 형사사건으로 입건될 경우 당사자는 회사를 떠날 각오를 해야 한다. 공무원이나 공기업의 경우에는 신분이 보장되지만 사기업은 스스로 떠나는 것이 좋다.직장폭력이 전혀 없는 기업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볼 수 있지만 사회적으로 용인할 수 있는 수준을 넘으면 훈계를 넘어 범죄행위로 취급해 관리해야 한다.사소한 직장폭력을 허용할 경우 조직 전체가 심각한 위협에 처해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일부 직원의 경우 폭력을 행사하는 상급자에 대한 반항심리로 회사를 궁지에 몰아 넣는 의사결정이나 행동을 단행하는 경향이 있다. – 계속 - 김백건 <국가정보전략연구소 윤리경영팀장>
1
2
3
4
5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