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
"connected car"으로 검색하여,
23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미국 표준협회(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ANSI) 홈페이지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두고 있는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활동 중인 기술위원회(Technical Committeee, TC)는 TC 1~TC 323까지 구성돼 있다.기술위원회의 역할은 기술관리부가 승인한 작업범위 내 작업 프로그램 입안, 실행, 국제규격의 작성 등이다. 또한 산하 분과위원회(SC), 작업그룹(WG)을 통해 기타 ISO 기술위원회 또는 국제기관과 연계한다.ISO/IEC 기술작업 지침서 및 기술관리부 결정사항에 따른 ISO 국제규격안 작성·배포, 회원국의 의견 편집 등도 처리한다. 소속 분과위원회 및 작업그룹의 업무조정, 해당 기술위원회의 회의 준비도 담당한다.1947년 최초로 구성된 나사산에 대한 TC 1 기술위원회를 시작으로 순환경제를 표준화하기 위한 TC 323까지 각 TC 기술위원회의 의장, ISO 회원, 발행 표준 및 개발 표준 등에 대해 살펴볼 예정이다.이미 다룬 기술위원회와 구성 연도를 살펴 보면 △1947년 TC 1~67 △1948년 TC 69 △1949년 TC 70~72 △1972년 TC 68 △1950년 TC 74 △1951년 TC 76 △1952년 TC 77 △1953년 TC 79, TC 81 △1955년 TC 82, TC 83 △1956년 TC 84, TC 85 △1957년 TC 86, TC 87, TC 89 △1958년 TC 91, TC 92 △1959년 TC 94 △1960년 TC 96, TC 98 △1961년 TC 101, TC 102, TC 104 등이다.또한 △1962년 TC 105~107 △1963년 TC 108~111 △1964년 TC 112~115, TC 117 △1965년 TC 118 △1966년 TC 119~122 △1967년 TC 123 △1968년 TC 126, TC 127 △1969년 TC 130~136 △1970년 TC 137, TC 138, TC 142, TC 145 △1971년 TC 146~150, TC 153 △1972년 TC 154 △1973년 TC 155 △1974년 TC 156~161 △1975년 TC 162~164 등도 포함된다.그리고 △1976년 TC 165, TC 166 △1977년 TC 167, TC 168, TC 170 △1978년 TC 171~174 △1979년 TC 176, TC 178 △1980년 TC 180, TC 181 △1981년 TC 182 △1983년 TC 183~186 △1984년 TC 188 △1985년 TC 189~191 △1988년 TC 192~194 △1989년 TC 195 △1990년 TC 197, TC 198 △1991년 TC 199, TC 201, TC 202 △1992년 TC 204~206 △1993년 TC 209 △1994년 TC 210, TC 211 △1996년 TC 213, TC 214 등이 있다.ISO/TC 215 의료 정보학(Health informatics)과 관련된 기술위원회는 1998년 결성됐다. 사무국은 미국 표준협회(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ANSI)에서 맡고 있다.위원회는 레이첼 호손(Ms Rachel Hawthorne)가 책임지고 있다. 현재 의장은 토드 쿠퍼(Mr Todd Cooper)이며 임기는 2026년 말까지다. ISO 기술 프로그램 관리자는 마호 다카하시(Mme Maho Takahashi), ISO 편집 관리자는 발레리아 아가넨노네(Ms Valeria Agamennone) 등이다.범위는 의료 관련 데이터, 의료 시스템의 모든 측면을 지원하고 활성화하는 지식의 수집, 교환 및 사용을 촉진하기 위한 의료 정보학 분야의 표준화다.현재 ISO/TC 215 사무국과 관련해 발행된 표준은 237개며 ISO/TC 215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발행된 표준은 225개다.ISO/TC 215과 관련해 개발 중인 표준은 64개며 이중 ISO/TC 215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개발 중인 표준은 62개다. 참여하고 있는 회원은 35개국, 참관 회원은 32개국이다.□ ISO/TC 215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발행된 표준 225개 중 15개 목록▷ISO 1828:2012 Health informatics — Categorial structure for terminological systems of surgical procedures▷ISO/TR 4421:2023 Health informatics — Introduction to Ayurveda informatics▷ISO/TS 5044:2023 Health informatics — Information model for quality contro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al products▷ISO/TS 5118:2022 Health informatics — Categorial structure of representation for evaluation of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ISO/TS 5346:2022 Health informatics — Categorial structure for representation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ISO 5477:2023 Health informatics — Interoperability of public health emergency preparedness and response information systems▷ISO/TS 5499:2024 Health informatics — Clinical particulars — Core principles for the harmonization of therapeutic indications terms and identifiers▷ISO/TS 5568:2022 Health informatics —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 Labelling metadata of human biological sample information▷ISO/TS 5569:2023 Health informatics — Conceptual data model for Chinese medicinal herbs▷ISO/TR 9143:2023 Health informatics — Sex and gender in electronic health records▷ISO 10159:2011 Health informatics — Messages and communication — Web access reference manifest▷ISO 10781:2023 Health informatics — HL7 Electronic Health Record-System Functional Model, Release 2.1 (EHR FM)▷ISO/IEEE 11073-00103:2015 Health informatics — Personal health device communication — Part 00103: Overview▷ISO/IEEE 11073-10101:2020 Health informatics — Device interoperability — Part 10101: Point-of-care medical device communication — Nomenclature▷ISO/IEEE 11073-10102:2014 Health informatics — Point-of-care medical device communication — Part 10102: Nomenclature — Annotated ECG□ ISO/TC 215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개발 중인 표준 62개 중 15개 목록▷ISO/AWI TR 4419 Health informatics — Reducing clinicians burden▷ISO/DTS 5384 Health informatics - Categorial Structure and Data Elements for the Identification and Exchange of Immunization Data▷ISO/CD TS 5615 Health informatics — Accelerating Safe, Effective and Secure Remote Connected Care and Mobile Health Through Standards-Based Interoperability Solutions Addressing Gaps Revealed by Pandemics▷ISO/DTS 5777 Health informatics — The architecture of internet healthcare service network▷ISO/DTS 5788 Health informatics — Internet healthcare service pattern▷ISO/CD TS 6201.2 Health Informatics — Personalized Digital Health -Framework▷ISO/CD TS 6204 Health Informatics — Categorial structures for representation of Ayurvedic medicinal water — Decocting process in Ayurveda▷ISO/AWI TS 6226 Health informatics — Reference architecture for syndromic surveillance systems for infectious diseases▷ISO/DTR 6231 Health informatics — Standardizing graphical content▷ISO/CD TS 6268-1 Health informatics — Cybersecurity framework for telehealth environments — Part 1: Overview and Concepts▷ISO/AWI TS 6268-2 Health informatics — Cybersecurity framework for telehealth environments — Part 2: Cybersecurity reference models of telehealth▷ISO/CD TS 7122 Health Informatics — Guidelines for exchanging data generated by POCT (Point of Care Testing) devices between screening center and clinical laboratory▷ISO/AWI TS 9166 Health Informatics — Guidelines for self-assessment questionnaire systems▷ISO/DTS 9320 Health informatics — Standardized data set for transfer of hemodialysis patients▷ISO/DTS 9321 Health informatics — General requirements of multi-centre medical data collaborative analysis□ ISO/TC 215 사무국 분과위원회(Subcommittee)의 책임 하에 발행 및 개발 중인 표준 현황▷ISO/TC 215/SC 1 Genomics Informatics ; 발행된 표준 12개, 개발 중인 표준 2개
-
▲ 'Liaison document from CEN/CLC JTC 13 문서 이미지[출처=ISO]지난 10월16일 ISO/IEC 공동기술위원회 산하 분과위원회 SC 17은 'Liaison document from CEN/CLC JTC 13: Cyber Security and Data Protection presentation' 관련 문서를 배포했다.ISO/IEC JTC 1/SC 17 카드 및 개인 식별을 위한 보안 장치(Cards and security devices for personal identification)는 국제표준화기구(ISO와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의 공동 기술 위원회(JTC) ISO/IEC JTC 1의 표준화 분과위원회다.ISO/IEC JTC 1/SC 17의 국제사무국은 영국에 위치한 영국표준협회(BSI)이며 신분증 및 개인 식별 분야 표준을 개발하고 촉진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배포된 문서는 'Liaison document from CEN/CLC JTC 13: Cyber Security and Data Protection presentation는 10월9일 생성된 문서의 네번째 수정판(v.0.4)이다.유럽표준화기구(European Standardization Organizations) CEN/CLC/JTC 13 사이버보안 및 데이터 보호(Cyber Security and Data Protection)에 대한 문서다.개요(Overview)는 1. General, 2. Scope, 3. Structure, 4. Working Groups, 5. Further Information 등으로 구성됐다. 1. General 파트는 다음과 같이 구성됐다.△CEN/CLC/JTC 13 Cybersecurity and Data Protection - Joint Technical Committee (JTC) of CEN and CENELEC - established November 2017△120+ European experts on Cybersecurity and Data Protection△7 dedicated Working Groups△3 Plenary Meetings/Sessions per Year△Annual Outreach Events△Chairperson: Walter Fumy, Bundesdruckerei (Germany)△Secretariat: DIN German Institute of Standardization (Germany)△Secretary: Martin Uhlherr (DIN)△CEN-CENELEC Management Centre Program Manager: Laurens Hernalsteen▲ 사이버보안 및 데이터 보호(Cyber Security and Data Protection)-1. General 파트 [출처=ISO]2. Scope 파트는 다음과 같다.△Development of horizontal Standards in the Field of Cybersecurity and Data Protection for vertical Applications Domains△Horizontal Security & Privacy Topics of the evolving interconnected Society, driven by the European Market in Domains such as ICT, eHealth, Transport, Smart Cities, Automotive, IOT△Key Issues - Management Systems, Frameworks, Methodologies - Data Protection and Privacy - Services and Products Evaluation Standards suitable for Security Assessment for large Companies and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 Competence Requirements for Cybersecurity and Data Protection - Security Requirements, Services, Techniques and Guidelines for ICT Systems, Services, Networks and Devices, including Smart Objects and distributed Computing Devices△Identification and Adoption of published Documents by ISO/IEC JTC 1, other SDOs, international Bodies and industrial Fora△Development of CEN/CENELEC Publications for safeguarding Information▲ 사이버보안 및 데이터 보호(Cyber Security and Data Protection)-2. Scope 파트 [출처=ISO]- 이하 생략 -
-
▲ 디지털 ID 산업의 발전 전략 [출처=iNIS]디지털 ID(Digital Identity) 분야에서 상호운용(interoperable)이 가능하고 안전한 서비스 보장을 위한 표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다양한 표준 조직 및 산업 기관이 활동하는 이유다.디지털 ID 표준을 개발하는 곳은 유럽표준화기구(European Standardisation Organistions), 국제표준화기구(International Standardisation Organisation, SDOs), 상업 포럼 및 컨소시엄, 국가기관 등 다양하다.국제표준(international standard, IS)은 많은 국가 전문가들의 합의에 의해 개발된 문서다. 이렇게 개발된 문서는 전 세계적으로 공인된 국제표준화기구(International Standardisation Organisations, SDOs) 중 하나에 의해 승인 및 발행된다. 전 세계적으로 공인된 국제표준화기구(SDOs)는 세계표준화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국제전기기술위원회(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IEC), 국제전기통신연합(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Union, ITU)등이 있다.이중 대부분의 국제 디지털 ID와 관련된 활동은 ISO/IEC JTC1, 정보보안(Information Security) 내에서 이뤄지고 있다.관련 관련 분과위원회인 △ISO/IEC JTC1/SC 6 △ISO/IEC JTC1/SC 17 △ISO/IEC JTC1/SC 27 △ISO/IEC JTC1/SC 31 및 연구범위 내에 있는 ISO TC 307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ISO/IEC JTC1/SC 6, 시스템 간 통신 및 정보교환(Tele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systems)과 관련된 실무그룹(Working Group, WG)는 자문그룹(AG) 4개, WG 3개 등이다.▷ISO/IEC JTC 1/SC 6/AG 1 Wearable devices▷ISO/IEC JTC 1/SC 6/AG 2 Concepts and terminology▷ISO/IEC JTC 1/SC 6/AG 3 Systematic review process▷ISO/IEC JTC 1/SC 6/AG 4 MCS innovation▷ISO/IEC JTC 1/SC 6/WG 1 Physical and data link layers▷ISO/IEC JTC 1/SC 6/WG 7 Network, transport and future network▷ISO/IEC JTC 1/SC 6/WG 10 Directory, ASN.1 and RegistrationISO/IEC JTC1/SC 17, 개인식별을 위한 카드 및 보안장치(Cards and security devices for personal identification)과 관련된 실무그룹은 자문그룹 2개, 의장 자문그룹(CAG)1개, 워킹그룹(WG) 7개다.▷ISO/IEC JTC 1/SC 17/AG 1 Registration Management Group (RMG)▷ISO/IEC JTC 1/SC 17/AG 3 Digital wallets▷ISO/IEC JTC 1/SC 17/CAG 1 Chair's Advisory Group▷ISO/IEC JTC 1/SC 17/WG 1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test methods for ID-cards▷ISO/IEC JTC 1/SC 17/WG 3 Traveller identification▷ISO/IEC JTC 1/SC 17/WG 4 Generic interfaces and protocols for security devices▷ISO/IEC JTC 1/SC 17/WG 8 Integrated circuit cards without contacts▷ISO/IEC JTC 1/SC 17/WG 10 Motor vehicle driver licence and related documents▷ISO/IEC JTC 1/SC 17/WG 11 Application of biometrics to cards and personal identification▷ISO/IEC JTC 1/SC 17/WG 12 UAS License and Drone/UAS Security ModuleISO/IEC JTC1/SC 27, 정보 보안, 사이버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Information security, cybersecurity and privacy protection)와 관련된 실무그룹은 자문그룹 5개, 특별그룹(Ad-hoc group, AHG) 3개, 의장 자문그룹(CAG) 1개, 공동작업반(JWG) 1개, 워킹그룹(WG) 5개 등이다.▷ISO/IEC JTC 1/SC 27/AG 2 Trustworthiness Working group▷ISO/IEC JTC 1/SC 27/AG 5 Strategy Working group▷ISO/IEC JTC 1/SC 27/AG 6 Operations Working group▷ISO/IEC JTC 1/SC 27/AG 7 Communication and Outreach (AG-CO) Working group▷ISO/IEC JTC 1/SC 27/AG 8 Advisory Group on Conformity Assessment Working group▷ISO/IEC JTC 1/SC 27/AHG 1 Resolution Drafting Working group▷ISO/IEC JTC 1/SC 27/AHG 2 Security and privacy in IoT and Digital Twin Working group▷ISO/IEC JTC 1/SC 27/AHG 3 Security and privacy in AI and Big Data (BD) Working group▷ISO/IEC JTC 1/SC 27/CAG Chair’s Advisory Group Working group▷ISO/IEC JTC 1/SC 27/JWG 6 Joint ISO/IEC JTC1/SC 27 - ISO/TC 22/SC 32 WG : Cybersecurity requirements and evaluation activities for connected vehicle devices Working group▷ISO/IEC JTC 1/SC 27/WG 1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s Working group▷ISO/IEC JTC 1/SC 27/WG 2 Cryptography and security mechanisms Working group▷ISO/IEC JTC 1/SC 27/WG 3 Security evaluation, testing and specification Working group▷ISO/IEC JTC 1/SC 27/WG 4 Security controls and services Working group▷ISO/IEC JTC 1/SC 27/WG 5 Identity management and privacy technologies Working groupISO/IEC JTC1/SC 31, 자동 식별 및 데이터 캡처 기술(Automatic identification and data capture techniques)과 관련된 실무그룹은 워킹그룹 4개가 있다.▷ISO/IEC JTC 1/SC 31/WG 1 Data carrier Working group▷ISO/IEC JTC 1/SC 31/WG 2 Data and structure Working group▷ISO/IEC JTC 1/SC 31/WG 4 Radio communications Working group▷ISO/IEC JTC 1/SC 31/WG 8 Application of AIDC standards Working groupISO TC 307(ISO Technical Committee 307)은 블록체인 기술 및 분산 원장 기술(Blockchain and distributed ledger technologies) 관련 실무그룹은 자문그룹(AG) 3개, 특별그룹(Ad-hoc group, AHG) 1개, 의장 자문그룹(CAG) 1개, 공동작업반(JWG) 1개, 워킹그룹(WG) 6개 등으로 구성돼 있다.▷ISO/TC 307/AG 1 SBP Review Advisory Group▷ISO/TC 307/AG 2 Liaison Advisory Group▷ISO/TC 307/AG 3 Digital currencies▷ISO/TC 307/AHG 4 DLT and carbon markets▷ISO/TC 307/CAG 1 Convenors coordination group▷ISO/TC 307/JWG 4 Joint ISO/TC 307 - ISO/IEC JTC 1/SC 27 WG: Security, privacy and identity for Blockchain and DLT▷ISO/TC 307/WG 1 Foundations▷ISO/TC 307/WG 3 Smart contracts and their applications▷ISO/TC 307/WG 5 Governance▷ISO/TC 307/WG 6 Use cases▷ISO/TC 307/WG 7 Interoperability▷ISO/TC 307/WG 8 Non-Fungible Tokens이외에도 다른 위원회 책임 하에 있는 공동 실무그룹은 ISO/TC 46/SC 11/JWG 1Joint ISO/TC 46/SC 11 - ISO/TC 307 WG: Blockchain이다.
-
2022-02-22미국 특허법 101조는 발명의 성립성에 대한 내용을 규정하고 있다. 발명이 특허로 인정을 받을 수 있도록 특허법에서 규정된 형식에 맞도록 특허 명세서가 작성돼야 한다.이와 관련된 사례를 보여주는 미국 연방순회항소법원(Federal Circuit)의 2019년 원고인 차지포인트(ChargePoint Inc.)와 피고인 세마 케넥트(Sema Connect Inc.) 사이의 판결 내용은 아래와 같다.국문 요약:미국 연방순회항소법원은 본 특허가 “향상된 충전소”에 대한 것이 아니라 “전기 충전소에 인가된 네트워크"에 관한 아이디어라는 점을 언급했다.결과적으로 “네트워크화된 충전소”와 관련된 특허를 무효화했다. 특허 명세서가 미국 특허법의 규칙에 맞지 않아 특허 등록이 무효화돤 사례이다. 영문 요약 : S101 Involving Electric Vehicle TechnologyChargePoint Inc. v. Sema Connect Inc. (F.C. 2019)History: S101 Invalidation:•FC affirmed and invalidated a patent related to networked charging stations.•Patent owner argued that the invention improved charging stations by allowing the stations to be managed from a central location, and allowing drivers to locate stations, and allowing users to interact intelligently with the electricity grid.•Not abstract b/c the invention is tangible and builds a better machine.•District Court:•Disagreed with the patent owner.•Asserted claims were directed to the abstract idea of communication over a network to interact with a device connected to the network.•Federal Circuit:•FC affirmed and analyzed specification:•“specification also makes clear –by what it states and what it does not –that the invention is the idea of network-controlled charging stations.”•“the specification never suggests that the charging station itself is improved from a technical perspective.”•Patent is directed to the idea of communicating over a network applied to electric car charging stations, instead of being directed to an improved charging station.•Many consider this case to be inconsistent with the new USPTO guidance.•Claim 1 included numerous physical electrical components, but FC ignored them.•It may take some time for USPTO and FC to reach an agreement on S101 analysis.▲차지포인트(ChargePoint) 로고
-
2022-01-30영국 법률위원회에 따르면 공공 도로에 자율주행 차량의 안전을 위해 새로운 자율주행 차량법의 도입을 권고하는 공동 보고서를 발표했다. 잉글랜드와 웨일즈의 법률위원회(The Law Commission) 및 스코틀랜드 법률위원회(Scottish Law Commission)가 포함된다. 보고서는 2018년 커넥티드 및 자율주행 차량 센터(Center for Connected and Autonomous Vehicles)가 의뢰했다.새 법안은 자동차가 규제 기관에 의해 자율주행 기능이 있는 것으로 승인되고 이러한 기능이 사용되는 경우 운전석에 있는 사람이 더 이상 자동차의 운전 방식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게 된다는 내용을 포함한다. 사고 발생 시에는 승인을 받은 회사에 대한 제재가 이루어지고 규제기관도 제재를 받을 수 있다. 운전자는 새 법안에 따라 '사용자 책임자'로 규정돼 자율주행 차량의 운행으로 발생한 사고에 대해 기소되지 않는다.그러나 운전자는 보험에 대한 책임을 지고 화물을 확인하며, 승객의 안전 벨트 착용을 확인해야 한다. 자율주행 차량의 주행 시에는 운전자가 자율주행차량을 통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또한 대중 교통에 사용되는 자율주행 차량은 책임자 없이 스스로 운전하도록 승인될 수 있다. 대신에 운송 면허가 있는 운영자가 사고에 대한 책임을 지게 된다.또한 운전자 지원 기능과 자율주행 운전의 광고 시에는 이를 구별하라고 권고했다. 이와 같은 법률위원회의 보고서는 대중의 신뢰를 구축하기 위해 안전과 책임을 기반으로 올바른 규정을 마련하도록 지원할 것으로 전망된다. ▲ 법률위원회(Law Commission)의 로고(출처 : 홈페이지)
-
미국 글로벌 기술기업인 애플(Apple)에 따르면 대만의 반도체 제조업체인 TSMC와 파트너쉽 관계를 맺고 마이크로 OLED 디스플레이를 개발했다. 향후 증강현실(AR)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목적이다. 마이크로 OLED 디스플레이는 훨씬 더 얇고, 더 작고, 전력 소모량이 적어 웨어러블 증강현실 장치에 더 적합하기 때문이다.미국 자율주행차량용 센서 스타트업 기업인 에이아이(AEye)에 따르면 1000미터의 감지 범위를 갖는 자율주행 차량용 라이다(Lidar) 센서를 개발했다. 4Sight M 라이더 센서이다.해상도를 희생하지 않고 더 긴 범위에서 물체를 감지할 수 있는 라이더 센서를 설계하는 것이 최근 라이더 개발의 과제였다.미국 모바일 솔루션 개발업체인 오톤(Auton, Inc)에 따르면 커넥티드카(connected car) 기술을 성공적으로 테스트했다. 모바일 방송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NextGen TV (ATSC 3.0)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테스트는 커넥티드 자율주행 차량 시장에 필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및 인포테인먼트를 제공하기 위한 효과적이고 안전한 솔루션인지 확인하기 위한 목적이다.▲ 오톤(Auton, Inc)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21-03-17미국 모바일 솔루션 개발업체인 오톤(Auton, Inc)에 따르면 커넥티드카(connected car) 기술을 성공적으로 테스트했다. 모바일 방송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NextGen TV (ATSC 3.0)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테스트는 커넥티드 자율주행 차량 시장에 필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및 인포테인먼트를 제공하기 위한 효과적이고 안전한 솔루션인지 확인하기 위한 목적이다.오리곤주 포틀랜드시(Portland, Ore)와 세인트 헬렌스 호수, 워싱턴주 칼라마를 포함한 주변 지역에서 수행됐다. 다양한 이동 차량에 모바일 비디오 스트리밍 콘텐츠와 광대역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지를 확인했다. 모바일 광대역 서비스에 대한 대중의 액세스를 향상시킬 새로운 FCC 공인 방송 인터넷 서비스가 제공하는 유틸리티, 효율성, 신호 품질 및 고유한 기능이 입증된 것으로 평가된다. 이와 같은 테스트를 통해 오톤은 셀룰러, WiFi 및 위성 통신을 포함한 모든 형태의 모바일 무선 연결 솔루션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 오톤(Auton, Inc)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20-09-17중국 상하이(上海)시에 따르면 2020 세계 자율주행 차량 생태계 컨퍼런스(2020 World Autonomous Vehicle Ecosystem Conference)에서 지능형 커넥티드 차량의 개발 촉진 및 테스트 범위 확대를 밝혔다.이번 컨퍼런스에서 상용화를 위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가 발표됐다. 로봇 택시, 5G 스마트 대형 트럭, 스마트 대중 교통, 도시 및 관광 비지니스 시나리오가 포함된다.특히 새로운 비즈니스 시나리오에는 자동 소매, 스마트 운전 청소 서비스 및 무인 보안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가 포함된다.상하이시는 자딩구(嘉定区)에서 지능형 커넥 티드 차량을 테스트하기 위한 도로의 길이를 거의 1300킬로미터로 확장할 계획이다.또한 양쯔강 삼각주 지역의 장쑤성(張樹声), 저장성(浙江省) 및 안후이성(安徽省)과 협력해 지능형 연결 차량의 통합 개발을 촉진할 예정이다.특히 이번 협력은 차량과 지원 인프라 구축에 초점을 맞출 방침이다. 이를 통해 상호 연결, 상호 운용성, 상호 인정 및 상호 신뢰성이 더욱 촉진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China-ShanghaiGovernment-AutonomousCar▲ 상하이(上海)시 야경(출처 : 홈페이지)
-
일본 제약기업인 다케다 약품공업(武田薬品工業)에 따르면 2020년 8월 17일 국내 사업 부문 근무자를 대상으로 희망 퇴직자를 모집한다고 발표했다. 30세 이상의 근속 연수 3년 이상의 주로 사무직과 의약정보담당자(MR) 등을 대상으로 한다. 대상 인수와 모집 인원 수는 공개하지 않았다. 일본 자동차 제조업체인 도요타자동차(トヨタ自動車)에 따르면 미국 전자상거래 아마존(Amazon)의 자회사인 아마존 웹 서비스(AWS)와의 업무 제휴를 확대했다. 커넥티드 카(Connected Car)의 정보기술을 기반으로 클라우드 컴퓨터 서비스를 활용하기 위한 목적이다. 정보기술(IT)기업과 제휴를 통해 서비스 사업의 강화를 가속화할 방침이다. 일본 섬유및의류회사인 레나운(レナウン)에 따르면 2020년 8월 1일 도부 우츠노미야 백화점(東武宇都宮百貨店)내 브랜드 상점이 폐점됐다. 해당 브랜드는 신사복인 인터메조(INTERMEZZO)와 여성 의류인 심플라이프(SIMPLE LIFE) 등이었다. 마지막 세일을 완료한 이후 일제히 폐점했다. ▲레나운(レナウン) 홈페이지
-
미국 글로벌 시장조사기관인 리서치앤마켓(ResearchAndMarkets)에 따르면 커넥티드 카 시장이 2027년까지 $$ 2251억60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2019년 630억달러, 연평균성장률(CAGR) 17.1%로 추정된다. 2019년에는 북미가 세계 커넥티드 카 시장을 지배했으며 유럽, 아시아 태평양 및 LAMEA(남미, 중동, 아프리카)가 그 뒤를 이었다. 대만 시장조사기업 트랜드포스(TrendForce)에 따르면 2020년 5G 스마트폰 생산량이 2억3500만대로 전체 스마트폰의 약 18.9%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2021년 5G 스마트폰 생산량은 5억대로 전체 스마트폰의 약 40% 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2025년까지 글로벌 5G 네트워크 서비스 지역이 전체의 약 50%를 초과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미국 행정부에 따르면 34개국간의 냉전 시대 협약을 재해석할 계획이다. 국방 계약업체가 더 많은 드론을 동맹국에게 판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이다.33년동안 지속된 미사일 기술 통제 체제(MTCR)하에서 대형 드론의 판매 승인이 거의 없었다. 대형 드론은 크루즈 미사일로 분류돼 수출 제한이 높기 때문이다.▲ 미국 백악관(White House) 전경(출처 : 홈페이지)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