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0
" vehicle"으로 검색하여,
299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G3AM 회원사 현황[출처=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종호 장관, 이하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지난 5월14일(화) 세계 최초 첨단 항공교통(Advanced Air Mobility, 이하 AAM) 분야 국제 사실표준화 기구 G3AM(Global Association for Advanced Air Mobility) 출범식이 개최됐다.이날 출범식은 과기정통부가 주최하고 G3AM(사무국: 한국무인이동체연구조합(이하 KRAUV)) 주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이하 TTA) 후원으로 서울 롯데월드타워 Sky31 컨퍼런스 홀에서 개최됐다.G3AM은 국내 전문가가 주도적으로 설립한 국제 사실표준화 기구다. △정보 공유체계 △교통관리 및 운항통제 △필수 항행 성능 등 여러 분야에서 새로운 표준을 개발·유지·관리하고 상호운용성과 호환성을 보장하는 사실표준화를 추진하기 위해서다.G3AM 창립회원은 대한항공, 인천국제공항공사, 파인브이티로보틱스, 한화시스템, 한국공항공사, 현대자동차 이동통신3사 등 AAM 관련 핵심 국내 기업 63개사가 참여했다.또한 Onesky(美), Skyports(英), Padinagroup(美), ANRA Technologies(美) 등 AAM 분야 다국적 기업이 참여했으며 Joby Aviation(美), Volocopter(獨) 등 다국적 기업들도 G3AM 회원가입을 검토 중이다.▲ 국제 사실표준화기구 첨단 항공교통 국제연합(G3AM) 홈페이지첨단 항공교통(Advanced Air Mobility, 이하 AAM)은 단거리 중심의 도심항공교통(Urban Air Mobility, 이하 UAM)과 중·장거리 중심의 지역 간 항공교통(Regional Air Mobility, 이하 RAM)을 포괄하는 항공교통을 의미한다.AAM은 교통권 확대, 기존 교통수단의 환경 문제 해소 등 차원에서 미래형 교통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는 기술이다.따라서 AAM은 인공지능(AI), 이동통신, 데이터 등 다양한 디지털 기술이 적용되므로 상호운용성·신뢰성·지속가능성 등을 위한 국제표준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AAM 생태계 관련 산업은 아직 태동기 단계로 국제 표준화 주도권 선점의 적기로 평가받고 있다.출범식 기조연설에서 국제표준화기구 무인항공기시스템(ISO/TC20/SC16 Unmanned aircraft systems) 의장인 존스컬 워커가 'AAM을 지원하기 위한 국제기구의 역할'에 대해 발표했다.출범 기념 컨퍼런스는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실증 성공사례(대한항공) △차세대 전기추진 수직 이착륙 비행체(eVTOL) 및 미래 항공 기체(AAV)(한화시스템, 한국항공우주산업) △AAM 사업 추진 동향(SKT, KT, LGU+등 이동통신 3사) 등으로 구성됐다.버티포트 인프라 개발현황은 2023년 G3AM의 회원으로 가입한 버티포트 분야 세계선도기업 Skyports가 맡았다.과기정통부 전영수 국장은 “첨단항공교통 분야는 디지털 기술 표준을 통해 우리나라가 주도권을 확보할 수 있는 영역”이라며 “G3AM이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사실표준화기구로 자리 잡아 첨단항공교통 기술 발전과 생태계 조성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참고로 전기추진 수직 이착륙 비행체(electric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eVTOL)란 전기를 사용해 활주로 없이 공중에 떠오르는 비행체를 말한다.미래항공 기체(Advanced Air Vehicle)란 자율비행과 하이브리드 전기추진으로 장시간 비행 가능한 비행체를 뜻하며 버티포트(VertiPort)란 수직 비행(Vertical Flight)과 항구(Port)의 합성어로 기체가 수직 이착륙할 수 있는 공간이다.사실 표준(事實標準, de facto standard)이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정보통신용어사전에 시장에서 표준으로 인정받거나 필요에 따라 업계를 중심으로 결성된 사실 표준화기구에서 제정되는 표준을 말한다.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Microsoft Windows)가 대표적인 예로 사실 표준은 강제 사항이 아니지만 업계에서 대부분 이 표준을 준수하고 있다.완성된 사실 표준은 필요하면 공신력 있는 국제 또는 국가 표준화 기구에서 일정한 절차와 심의를 걸쳐 공식 표준(de jure standard)으로 제정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대부분은 시장의 필요가 적어질 경우 자연스럽게 도태된다.미국 전기전자협회(IEEE), 인터넷 엔지니어링 태스크 포스(IETF), 월드와이드웹 컨소시엄(W3C) 등이 사실 표준화 기구다.
-
▲ 일본 경제산업성(経済産業省) 빌딩 [출처=위키피디아]일본 경제산업성(経済産業省)에 따르면 2030년 차세대자동차인 'SDV(Software Defined Vehicle)'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을 30% 달성할 계획이다.2030년 글로벌 SDV 시장의 규모는 최대 4100만 대로 전망되므로 일본계 자동차제조업체가 1200만 대를 공급하겠다는 구상이다.2035년까지 세계 DSV 시장의 규모는 6400만 대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일본계 기업이 1900만 대를 점유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특히 자동차산업은 일본경제를 뒷받침하는 핵심 산업이지만 전기자동차(EV)의 보급 확대, 자율주행기술의 개발, 자동차의 디지털화에서는 미국, 중국 등에서 뒤쳐지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도요타자동차, 닛산자돛아, 혼다 등 자동차 3사는 소프트웨어를 연결하는 기반 부문의 공통화를 위한 연구를 시작했다. 자체적으로 개발한 소프트웨어를 연계하고 자동차용 고성능 반도체의 연구개발도 협력한다.또한 자동차의 제조부터 이용, 폐기까지 일련의 생명주기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활용하는 전략도 연구 중이다. 2025년 이후 수집한 데이터를 공유해 재해시의 상황 파악, 공급망의 체질 개선 등을 도모한다.참고로 SDV는 '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로 스마트폰처럼 인터넷을 통해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세대 자동차를 말한다.
-
▲ 프랑스 표준화기구(Association Française de Normalization, AFNOR) 홈페이지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두고 있는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활동 중인 기술위원회(Technical Committeee, TC)는 TC 1~TC 323까지 구성돼 있다.기술위원회의 역할은 기술관리부가 승인한 작업범위 내 작업 프로그램 입안, 실행, 국제규격의 작성 등이다. 또한 산하 분과위원회(SC), 작업그룹(WG)을 통해 기타 ISO 기술위원회 또는 국제기관과 연계한다.ISO/IEC 기술작업 지침서 및 기술관리부 결정사항에 따른 ISO 국제규격안 작성·배포, 회원국의 의견 편집 등도 처리한다. 소속 분과위원회 및 작업그룹의 업무조정, 해당 기술위원회의 회의 준비도 담당한다.1947년 최초로 구성된 나사산에 대한 TC 1 기술위원회를 시작으로 순환경제를 표준화하기 위한 TC 323까지 각 TC 기술위원회의 의장, ISO 회원, 발행 표준 및 개발 표준 등에 대해 살펴볼 예정이다.이미 다룬 기술위원회와 구성 연도를 살펴 보면 △1947년 TC 1~67 △1948년 TC 69 △1949년 TC 70~72 △1972년 TC 68 △1950년 TC 74 △1951년 TC 76 △1952년 TC 77 △1953년 TC 79, TC 81 △1955년 TC 82, TC 83 △1956년 TC 84, TC 85 △1957년 TC 86, TC 87, TC 89 △1958년 TC 91, TC 92 △1959년 TC 94 △1960년 TC 96, TC 98 △1961년 TC 101, TC 102, TC 104 등이다.또한 △1962년 TC 105~107 △1963년 TC 108~111 △1964년 TC 112~115, TC 117 △1965년 TC 118 △1966년 TC 119~122 △1967년 TC 123 △1968년 TC 126, TC 127 △1969년 TC 130~136 △1970년 TC 137, TC 138, TC 142, TC 145 △1971년 TC 146~150, TC 153 △1972년 TC 154 △1973년 TC 155 △1974년 TC 156~161 △1975년 TC 162~164 등도 포함된다.그리고 △1976년 TC 165, TC 166 △1977년 TC 167, TC 168, TC 170 △1978년 TC 171~174 △1979년 TC 176, TC 178 △1980년 TC 180, TC 181 △1981년 TC 182 △1983년 TC 183~186 △1984년 TC 188 △1985년 TC 189~191 △1988년 TC 192~194 △1989년 TC 195 △1990년 TC 197, TC 198 △1991년 TC 199, TC 201, TC 202 △1992년 TC 204~206 △1993년 TC 209 △1994년 TC 210, TC 211 △1996년 TC 213, TC 214 △1998년 TC 215~218 등이 있다.ISO/TC 220 극저온 용기(Cryogenic vessels)와 관련된 기술위원회는 TC 219와 마찬가지로 1999년 결성됐다. 사무국은 프랑스 표준화기구(Association Française de Normalization, AFNOR)에서 맡고 있다.위원회는 도니아 베니더(Mme Donia Benider)가 책임지고 있다. 현재 의장은 루시앙 바라시(M Lucien Varrassi)이며 임기는 2026년 말까지다. ISO 기술 프로그램 관리자는 블란딘 가르시아(Mme Blandine Garcia), ISO 편집 관리자는 발레리아 아가넨노네(Ms Valeria Agamennone) 등이다.범위는 UN(United Nations)의 위험물 운송에 관한 권장사항(모델 규정) 클래스 2의 냉동 액화가스 저장 및 운송을 위한 절연 용기(진공 또는 비진공) 분야 표준화다.특히 용기 및 안전 부속품의 설계, 가스/재료 호환성, 절연 성능, 장비 및 부속품의 작동 요구 사항에 관한 표준화다.현재 ISO/TC 220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발행된 표준은 25개며 ISO/TC 220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개발 중인 표준은 11개다. 참여하고 있는 회원은 12개국, 참관 회원은 20개국이다.□ ISO/TC 220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발행된 표준 25개 중 15개 목록▷ISO 12991:2012 Liquefied natural gas (LNG) — Tanks for on-board storage as a fuel for automotive vehicles▷ISO 20421-1:2019Cryogenic vessels — Large transportable vacuum-insulated vessels — Part 1: Design, fabrication, inspection and testing▷ISO 20421-1:2019/Amd 1:2022 Cryogenic vessels — Large transportable vacuum-insulated vessels — Part 1: Design, fabrication, inspection and testing — Amendment 1▷ISO 20421-2:2017 Cryogenic vessels — Large transportable vacuum-insulated vessels — Part 2: Operational requirements▷ISO 21009-1:2022 Cryogenic vessels — Static vacuum-insulated vessels — Part 1: Design, fabrication, inspection and tests▷ISO 21009-2:2015 Cryogenic vessels — Static vacuum insulated vessels — Part 2: Operational requirements▷ISO 21010:2017 Cryogenic vessels — Gas/material compatibility▷ISO 21011:2008 Cryogenic vessels — Valves for cryogenic service▷ISO 21012:2018 Cryogenic vessels — Hoses▷ISO 21013-1:2021 Cryogenic vessels — Pressure-relief accessories for cryogenic service — Part 1: Reclosable pressure-relief valves▷ISO 21013-2:2007 Cryogenic vessels — Pressure-relief accessories for cryogenic service — Part 2: Non-reclosable pressure-relief devices▷ISO 21013-2:2007/Amd 1:2018 Cryogenic vessels — Pressure-relief accessories for cryogenic service — Part 2: Non-reclosable pressure-relief devices — Amendment 1▷ISO 21013-3:2016 Cryogenic vessels — Pressure-relief accessories for cryogenic service — Part 3: Sizing and capacity determination▷ISO 21013-4:2012 Cryogenic vessels — Pilot operated pressure relief devices — Part 4: Pressure-relief accessories for cryogenic service▷ISO 21013-4:2012/Amd 1:2019 Cryogenic vessels — Pilot operated pressure relief devices — Part 4: Pressure-relief accessories for cryogenic service — Amendment 1□ ISO/TC 220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개발 중인 표준 11개 목록▷ISO/CD 20421-1 Cryogenic vessels — Large transportable vacuum-insulated vessels — Part 1: Design, fabrication, inspection and testing▷ISO/DIS 21009-1 Cryogenic vessels — Static vacuum-insulated vessels — Part 1: Design, fabrication, inspection and tests▷ISO/DIS 21009-2 Cryogenic vessels — Static vacuum insulated vessels — Part 2: Operational requirements▷ISO/AWI 21010 Cryogenic vessels — Gas/material compatibility▷ISO 21012 Cryogenic vessels — Hoses▷ISO 21013-1:2021/FDAmd 1 Cryogenic vessels — Pressure-relief accessories for cryogenic service — Part 1: Reclosable pressure-relief valves — Amendment 1▷ISO/DIS 21013-2 Cryogenic vessels — Pressure-relief accessories for cryogenic service — Part 2: Non-reclosable pressure-relief devices▷ISO/CD 21013-3 Cryogenic vessels — Pressure-relief accessories for cryogenic service — Part 3: Sizing and capacity determination▷ISO/DIS 21028-1 Cryogenic vessels — Toughness requirements for materials at cryogenic temperature — Part 1: Temperatures below -80 degrees °C▷ISO/AWI 21029-1 Cryogenic vessels — Transportable vacuum insulated vessels of not more than 1 000 litres volume — Part 1: Design, fabrication, inspection and tests▷ISO/DIS 24490 Cryogenic vessels — Centrifugal pumps for cryogenic service
-
2024-03-12▲ 디지털 ID 산업의 발전 전략 [출처=iNIS]미국 자동차관리협회(American Association of Motor Vehicle Administrators, AAMVA)는 모바일 운전면허증 구현 지침(Mobile Driver’s License (mDL) Implementation Guidelines)을 발표했다.지난 2012년 이후 AAMVA는 공동 모바일 운전면허증(mDL) 실무그룹(WG)을 구성하고 모바일 식별을 중심으로 활동을 시작했다.AAMVA의 mDL 구현 지침를 발표한 정책적 목표는 발급기관과 일부 mDL 검증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장비를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다.또한 서로 다른 발급 기관의 mDL 프로그램 간 기술적 상호운용성을 확보해 서로 다른 발급 기관이 발급한 mDL을 읽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mDL 구현 지침은 △mDL 솔루션 개요 △ISO/IEC 18013-5 자격 △개인정보보호 및 보안 △ 신뢰모델 △mDL 데이터 갱신 △다중 자격 증명 및 공유장치 △플래시 패스 사용 △타주/지방/준주 조치의 경우 폐지 △프로비저닝 △기타 △부록 등으로 구성돼 있다.특히 ISO/IEC 18013-5 자격 파트는 △AAMVA mDL 데이터 요소 세트 △인물 이미지 △시그니처 이미지 △암호화 프로토콜 △IACA 루트 인증서 △버전 관리 △발급 기관별 데이터 등에 관한 지침들이 포함됐다.
-
▲ 미국 표준협회(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ANSI) 홈페이지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두고 있는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활동 중인 기술위원회(Technical Committeee, TC)는 TC 1~TC 323까지 구성돼 있다.기술위원회의 역할은 기술관리부가 승인한 작업범위 내 작업 프로그램 입안, 실행, 국제규격의 작성 등이다. 또한 산하 분과위원회(SC), 작업그룹(WG)을 통해 기타 ISO 기술위원회 또는 국제기관과 연계한다.ISO/IEC 기술작업 지침서 및 기술관리부 결정사항에 따른 ISO 국제규격안 작성·배포, 회원국의 의견 편집 등도 처리한다. 소속 분과위원회 및 작업그룹의 업무조정, 해당 기술위원회의 회의 준비도 담당한다.1947년 최초로 구성된 나사산에 대한 TC 1 기술위원회를 시작으로 순환경제를 표준화하기 위한 TC 323까지 각 TC 기술위원회의 의장, ISO 회원, 발행 표준 및 개발 표준 등에 대해 살펴볼 예정이다.이미 다룬 기술위원회와 구성 연도를 살펴 보면 △1947년 TC 1~TC 67 △1948년 TC 69 △1949년 TC 70~72 △1972년 TC 68 △1950년 TC 74 △1951년 TC 76 △1952년 TC 77 △1953년 TC 79, TC 81 △1955년 TC 82, TC 83 △1956년 TC 84, TC 85 △1957년 TC 86, TC 87, TC 89 △1958년 TC 91, TC 92 △1959년 TC 94 △1960년 TC 96, TC 98 △1961년 TC 101, TC 102, TC 104 등이다.또한 △1962년 TC 105~TC 107 △1963년 TC 108~TC 111 △1964년 TC 112~TC 115, TC 117 △1965년 TC 118 △1966년 TC 119~TC 122 △1967년 TC 123 △1968년 TC 126, TC 127 △1969년 TC 130~136 △1970년 TC 137, TC 138, TC 142, TC 145 △1971년 TC 146, TC 147, TC 148, TC 149, TC 150, TC 153 △1972년 TC 154 △1973년 TC 155 △1974년 TC 156~TC 161 △1975년 TC 162~TC 164 등도 포함된다.그리고 △1976년 TC 165, TC 166 △1977년 TC 167, TC 168, TC 170 △1978년 TC 171, TC 172, TC 173, TC 174 △1979년 TC 176, TC 178 △1980년 TC 180, TC 181 △1981년 TC 182 △1983년 TC 183~TC 186 △1984년 TC 188 △1985년 TC 189, TC 190, TC 191 △1988년 TC 192~TC 194 △1989년 TC 195 △1990년 TC 197, TC 198 △1991년 TC 199, TC 201, TC 202 등이 있다.ISO/TC 204 지능형 교통시스템(Intelligent transport systems)과 관련된 기술위원회는 1992년 결성됐다. 사무국은 미국 표준협회(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ANSI)에서 맡고 있다.위원회는 제니퍼 콜린스(Ms Jennifer Collins)가 책임지고 있다. 현재 의장은 쿠로시 올리아이(Mr Koorosh Olyai)이며 임기는 2025년말 까지다.ISO 기술 프로그램 관리자는 하킴 음킨시(Mr Hakim Mkinsi), ISO 편집 관리자는 앨리슨 레이드 자몬드(Ms Alison Reid-Jamond) 등이다.범위는 도시 및 농촌 지상 교통 분야의 정보, 통신 및 제어 시스템 표준화다. 표준화에는 인터모달 및 멀티모달 측면, 여행자 정보, 교통 관리, 대중 교통, 상업 교통, 긴급 서비스, 지능형 교통 시스템(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ITS) 분야 상업 서비스 등을 포함하고 있다. 단, 차량 내 운송 정보 및 제어 시스템(ISO/TC 22)은 제외한다.참고로 ISO/TC 204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의 전반적인 시스템 측면과 인프라 측면을 담당하고 있다. 기존 국제 표준화 기관의 작업을 고려한 표준 개발 일정을 포함해 이 분야의 전반적인 ISO 작업 프로그램을 조정하고 있다.현재 ISO/TC 204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발행된 표준은 338개며 ISO/TC 204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하에 개발 중인 표준은 67개다. 참여하고 있는 회원은 33개국, 참관 회원은 28개국이다.□ ISO/TC 204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발행된 표준 338개 중 15개 목록▷ISO 4272:2022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Truck platooning systems (TPS) — Functional and operational requirements▷ISO 4273:2024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Automated braking during low-speed manoeuvring (ABLS) — Requirements and test procedures▷ISO/TR 4286:2021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Use cases for sharing of probe data▷ISO/TS 4398:2022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Guided transportation service planning data exchange▷ISO 4426:2021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Lower layer protocols for usage in the European digital tachograph▷ISO/TR 4445:2021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Mobility integration — Role model of ITS service application in smart cities▷ISO/TR 4447:2022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Mobility integration — Comparison of two mainstream integrated mobility concepts▷ISO/TS 5206-1:2023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Parking — Part 1: Core data model▷ISO/TS 5255-1:2022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Low-speed automated driving system (LSADS) service — Part 1: Role and functional model▷ISO/TR 5255-2:2023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Low-speed automated driving system (LSADS) service — Part 2: Gap analysis▷ISO 5345:2022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Identifiers▷ISO/TR 6026:2022 Electronic fee collection — Pre-study on the use of vehicle licence plate information and automatic number plate recognition (ANPR) technologies▷ISO/TR 7872:2022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Mobility integration — Digital infrastructure service role and functional model for urban ITS service applications▷ISO/TR 7878:2023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Mobility integration — Enterprise view▷ISO 10711:2012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Interface Protocol and Message Set Definition between Traffic Signal Controllers and Detectors□ ISO/TC 204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개발 중인 표준 67개 중 15개 목록▷ISO/CD TR 4448-1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Public-area Mobile Robots (PMR) — Part 1: Overview of paradigm▷ISO/AWI TS 4448-16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Public-area Mobile Robots (PMR) — Part 16: 16▷ISO/AWI TS 5087-3 Information technology — City data model — Part 3: Service level concepts -Transportation planning▷ISO/CD TR 6029-1.2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Seamless positioning for multimodal transportation in ITS stations — Part 1: General information and use case definition▷ISO/AWI 6029-2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Seamless positioning for multimodal transportation in ITS stations — Part 2: Nomadic and mobile device dataset for positioning data fusion▷ISO/DTS 7815-1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Telematics applications for regulated commercial freight vehicles (TARV) using ITS stations — Part 1: Secure vehicle interface framework and architecture▷ISO/DTS 7815-2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Telematics applications for regulated commercial freight vehicles (TARV) using ITS stations — Part 2: Specification of the secure vehicle interface▷ISO/CD 7856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Remote support for low speed automated driving systems (RS-LSADS) —Performance requirements, system requirements and performance test procedures▷ISO/AWI TR 7874-1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Mobility integration multimodal pricing — Part 1: Framework▷ISO/AWI 12768-1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Automated Valet Driving Systems (AVDS) — Part 1: Part 1: Requirements, System Framework, Communication Interfaces and Test Procedures▷ISO/AWI 12768-2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Automated Valet Driving Systems (AVDS) — Part 2: Part 2: System framework, security procedures and requirements▷ISO/CD TR 12786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supporting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Use cases▷ISO 12813 Electronic fee collection — Compliance check communication for autonomous systems▷ISO/AWI 12855 Electronic fee collection —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service provision and toll charging▷ISO/AWI 13140 Electronic fee collection -– Conformity evaluation of on-board and roadside equipment to ISO 13141
-
▲ 캐나다 표준위원(Standards Council of Canada, SCC)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두고 있는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활동 중인 기술위원회(Technical Committeee, TC)는 TC 1~TC 323까지 구성돼 있다.기술위원회의 역할은 기술관리부가 승인한 작업범위 내 작업 프로그램 입안, 실행, 국제규격의 작성 등이다. 또한 산하 분과위원회(SC), 작업그룹(WG)을 통해 기타 ISO 기술위원회 또는 국제기관과 연계한다.ISO/IEC 기술작업 지침서 및 기술관리부 결정사항에 따른 ISO 국제규격안 작성·배포, 회원국의 의견 편집 등도 처리한다. 소속 분과위원회 및 작업그룹의 업무조정, 해당 기술위원회의 회의 준비도 담당한다.1947년 최초로 구성된 나사산에 대한 TC 1 기술위원회를 시작으로 순환경제를 표준화하기 위한 TC 323까지 각 TC 기술위원회의 의장, ISO 회원, 발행 표준 및 개발 표준 등에 대해 살펴볼 예정이다.이미 다룬 기술위원회와 구성 연도를 살펴 보면 △1947년 TC 1~TC 67 △1948년 TC 69 △1949년 TC 70~72 △1972년 TC 68 △1950년 TC 74 △1951년 TC 76 △1952년 TC 77 △1953년 TC 79, TC 81 △1955년 TC 82, TC 83 △1956년 TC 84, TC 85 △1957년 TC 86, TC 87, TC 89 △1958년 TC 91, TC 92 △1959년 TC 94 △1960년 TC 96, TC 98 △1961년 TC 101, TC 102, TC 104 등이다.또한 △1962년 TC 105~TC 107 △1963년 TC 108~TC 111 △1964년 TC 112~TC 115, TC 117 △1965년 TC 118 △1966년 TC 119~TC 122 △1967년 TC 123 △1968년 TC 126, TC 127 △1969년 TC 130~136 △1970년 TC 137, TC 138, TC 142, TC 145 △1971년 TC 146, TC 147, TC 148, TC 149, TC 150, TC 153 △1972년 TC 154 △1973년 TC 155 △1974년 TC 156~TC 161 △1975년 TC 162~TC 164 등도 포함된다.그리고 △1976년 TC 165, TC 166 △1977년 TC 167, TC 168, TC 170 △1978년 TC 171, TC 172, TC 173, TC 174 △1979년 TC 176, TC 178 △1980년 TC 180, TC 181 △1981년 TC 182 △1983년 TC 183~TC 186 △1984년 TC 188 △1985년 TC 189, TC 190, TC 191 △1988년 TC 192~TC 194 △1989년 TC 195 등이 있다.ISO/TC 197 수소 기술(Hydrogen technologies)과 관련된 기술위원회는 1990년 결성됐다. 사무국은 캐나다 표준위원(Standards Council of Canada, SCC)에서 맡고 있다.위원회는 시아시아 모렐(Mr Siasia Morel)가 책임지고 있다. 현재 의장은 이케다 테츠후미(Mr Tetsufumi IKEDA)이며 임기는 2024년 말까지다. ISO 기술 프로그램 관리자는 키르시 실란데르-반 후넨(Mrs Kirsi Silander-van Hunen), ISO 편집 관리자는 아룬 ABY 파라에카틸(Mr Arun ABY Paraecattil)등이다. 범위는 수소 생산, 저장, 운송, 측정 및 사용을 위한 시스템 및 장치 분야의 표준화다.현재 ISO/TC 197 사무국과 관련해 발행된 표준은 19개며 ISO/TC 197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발행된 표준은 18개다.ISO/TC 197 사무국과 관련해 개발 중인 표준은 22개며 ISO/TC 197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개발 중인 표준은 21개다. 참여하고 있는 회원은 35개국, 참관 회원은 18개국이다.□ ISO/TC 197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발행된 표준 18개 중 15개 목록▷ISO 13984:1999 Liquid hydrogen — Land vehicle fuelling system interface▷ISO 13985:2006 Liquid hydrogen — Land vehicle fuel tanks▷ISO 14687:2019 Hydrogen fuel quality — Product specification▷ISO/TR 15916:2015 Basic considerations for the safety of hydrogen systems▷ISO 16110-1:2007 Hydrogen generators using fuel processing technologies — Part 1: Safety▷ISO 16110-2:2010 Hydrogen generators using fuel processing technologies — Part 2: Test methods for performance▷ISO 16111:2018 Transportable gas storage devices — Hydrogen absorbed in reversible metal hydride▷ISO 17268:2020 Gaseous hydrogen land vehicle refuelling connection devices▷ISO 19880-1:2020 Gaseous hydrogen — Fuelling stations — Part 1: General requirements▷ISO 19880-3:2018 Gaseous hydrogen — Fuelling stations — Part 3: Valves▷ISO 19880-5:2019 Gaseous hydrogen — Fuelling stations — Part 5: Dispenser hoses and hose assemblies▷ISO 19880-8:2019 Gaseous hydrogen — Fuelling stations — Part 8: Fuel quality control▷ISO 19880-8:2019/Amd 1:2021 Gaseous hydrogen — Fuelling stations — Part 8: Fuel quality control — Amendment 1: Alignment with Grade D of ISO 14687▷ISO 19881:2018 Gaseous hydrogen — Land vehicle fuel containers▷ISO 19882:2018 Gaseous hydrogen — Thermally activated pressure relief devices for compressed hydrogen vehicle fuel containers□ ISO/TC 197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개발 중인 표준 21개 중 15개 목록▷ISO/WD 13984 Liquid Hydrogen Land Vehicle Fueling Protocol▷ISO/AWI 13985 Liquid hydrogen — Land vehicle fuel tanks▷ISO/DIS 14687 Hydrogen fuel quality — Product specification▷ISO/DIS 17268-1 Gaseous hydrogen land vehicle refuelling connection devices — Part 1: Flow capacities up to and including 120 g/s▷ISO/AWI 17268-2 Gaseous hydrogen land vehicle refuelling connection devices — Part 2: Part 2: Flow capacities greater than 120 g/s▷ISO/AWI 17268-3 Gaseous hydrogen land vehicle refuelling connection devices — Part 3: Cryo-compressed hydrogen gas▷ISO/DIS 19880-2 Gaseous hydrogen — Fuelling stations — Part 2: Dispensers and dispensing systems▷ISO/CD 19880-5 Gaseous hydrogen — Fuelling stations — Part 5: Dispenser hoses and hose assemblies▷ISO/DIS 19880-7 Gaseous hydrogen — Fuelling stations — Part 7: Rubber O-rings▷ISO/DIS 19880-8 Gaseous hydrogen — Fuelling stations — Part 8: Fuel quality control▷ISO/DIS 19880-9 Gaseous hydrogen — Fuelling stations — Part 9: Sampling for fuel quality analysis▷ISO/AWI TS 19880-10 Gaseous hydrogen — Fuelling stations — Part 10: Mobile fueling stations▷ISO/DIS 19881 Gaseous hydrogen — Land vehicle fuel containers▷ISO/DIS 19882 Gaseous hydrogen — Thermally activated pressure relief devices for compressed hydrogen vehicle fuel containers▷ISO/AWI 19884-1 Gaseous Hydrogen - Pressure vessels for stationary storage — Part 1: Part 1: general requirements□ ISO/TC 197 사무국 분과위원회(Subcommittee)의 책임 하에 발행 및 개발 중인 표준 현황▷ISO/TC 197/SC 1 Hydrogen at scale and horizontal energy systems ; 발행된 표준 1개, 개발 중인 표준 1개
-
2024-02-19▲ 네덜란드 표준화기구(Royal Netherlands Standardization Institute, NEN) 홈페이지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두고 있는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활동 중인 기술위원회(Technical Committeee, TC)는 TC 1~TC 323까지 구성돼 있다.기술위원회의 역할은 기술관리부가 승인한 작업범위 내 작업 프로그램 입안, 실행, 국제규격의 작성 등이다. 또한 산하 분과위원회(SC), 작업그룹(WG)을 통해 기타 ISO 기술위원회 또는 국제기관과 연계한다.ISO/IEC 기술작업 지침서 및 기술관리부 결정사항에 따른 ISO 국제규격안 작성·배포, 회원국의 의견 편집 등도 처리한다. 소속 분과위원회 및 작업그룹의 업무조정, 해당 기술위원회의 회의 준비도 담당한다.1947년 최초로 구성된 나사산에 대한 TC 1 기술위원회를 시작으로 순환경제를 표준화하기 위한 TC 323까지 각 TC 기술위원회의 의장, ISO 회원, 발행 표준 및 개발 표준 등에 대해 살펴볼 예정이다.이미 다룬 기술위원회와 구성 연도를 살펴 보면 △1947년 TC 1~TC 67 △1948년 TC 69 △1949년 TC 70~72 △1972년 TC 68 △1950년 TC 74 △1951년 TC 76 △1952년 TC 77 △1953년 TC 79, TC 81 △1955년 TC 82, TC 83 △1956년 TC 84, TC 85 △1957년 TC 86, TC 87, TC 89 △1958년 TC 91, TC 92 △1959년 TC 94 △1960년 TC 96, TC 98 △1961년 TC 101, TC 102, TC 104 등이다.또한 △1962년 TC 105~TC 107 △1963년 TC 108~TC 111 △1964년 TC 112~TC 115, TC 117 △1965년 TC 118 △1966년 TC 119~TC 122 △1967년 TC 123 △1968년 TC 126, TC 127 △1969년 TC 130~136 △1970년 TC 137, TC 138, TC 142, TC 145 △1971년 TC 146, TC 147, TC 148, TC 149, TC 150, TC 153 △1972년 TC 154 △1973년 TC 155 △1974년 TC 156~TC 161 △1975년 TC 162~TC 164 등도 포함된다.그리고 △1976년 TC 165, TC 166 △1977년 TC 167, TC 168, TC 170 △1978년 TC 171, TC 172, TC 173, TC 174 △1979년 TC 176, TC 178 △1980년 TC 180, TC 181 △1981년 TC 182 △1983년 TC 183~TC 186 △1984년 TC 188 △1985년 TC 189, TC 190, TC 191 등이 있다.ISO/TC 193 천연가스(Natural gas)와 관련된 기술위원회는 TC 192와 마찬가지로 1988년 결성됐다. 사무국은네덜란드 표준화기구(Royal Netherlands Standardization Institute, NEN)에서 맡고 있다.위원회는 니콜렛 바스(Ms Nicolet Baas)이 책임지고 있다. 현재 의장은 아드리안 반 데르 빈(Mr Adriaan van der Veen)이며 임기는 2024년 말까지다. ISO 기술 프로그램 관리자는 키르시 실란데르-반 후넨(Mrs Kirsi Silander-van Hunen), ISO 편집 관리자는 루시 커크(Ms Lucy Kirk)등으로 조사됐다.범위는 아래와 같은 열물리적 특성 계산 및 측정을 포함한 용어, 품질 사양, 측정 방법, 샘플링, 분석 및 테스트 등의 표준화다.- 아래 - ○ 천연 가스○ 천연가스 대체품○ 천연 가스와 가스 연료(예: 비전통 가스 및 재생 가스)의 혼합물 습식 가스○ 생산부터 국경을 넘어 가능한 모든 최종 사용자에게 배송까지 모든 측면○ 액화천연가스(LNG) 분석 방법의 표준화 등도 포함된다. 또한 다른 기술위원회 및 이들 기술위원회와 연계한 천연가스 관련 작업을 인정한다.현재 ISO/TC 193 사무국과 관련해 발행된 표준은 62개며 ISO/TC 193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발행된 표준은 10개다. ISO/TC 193 사무국과 관련해 개발 중인 표준은 19개며 ISO/TC 193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개발 중인 표준은 7개다. 참여하고 있는 회원은 29개국, 참관 회원은 28개국이다.□ ISO/TC 193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발행된 표준 10개 목록▷ISO 13443:1996 Natural gas — Standard reference conditions▷ISO 13443:1996/Cor 1:1997 Natural gas — Standard reference conditions — Technical Corrigendum 1▷ISO 13686:2013 Natural gas — Quality designation▷ISO 13734:2013 Natural gas — Organic components used as odorants — Requirements and test methods▷ISO 14532:2014 Natural gas — Vocabulary▷ISO 15112:2018 Natural gas — Energy determination▷ISO 15403-1:2006 Natural gas — Natural gas for use as a compressed fuel for vehicles — Part 1: Designation of the quality▷ISO 15970:2008 Natural gas — Measurement of properties — Volumetric properties: density, pressure, temperature and compression factor▷ISO 15971:2008 Natural gas — Measurement of properties — Calorific value and Wobbe index▷ISO/TS 16922:2022 Natural gas — Odorization□ ISO/TC 193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개발 중인 표준 7개 목록▷ISO/CD TR 5268 Odorants and Odor character▷ISO/AWI 14111 Natural gas — Guidelines to metrological traceability▷ISO/AWI 14532 Natural gas — Vocabulary▷ISO/CD 17507-1 Natural gas — Calculation of methane number of gaseous fuels for recipro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Part 1: MNc method▷ISO/CD 17507-2 Natural gas — Calculation of methane number of gaseous fuels for recipro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Part 2: PKI method▷ISO/DTS 18222.2 Natural gas — Correlation between odorant concentration in air and odour intensity▷ISO/AWI 23219 Natural gas — Format for data from gas chromatograph analysers for natural gas — XML file format□ ISO/TC 193 사무국 분과위원회(Subcommittee)의 책임 하에 발행 및 개발 중인 표준 현황▷ISO/TC 193/SC 1 Analysis of natural gas ; 발행된 표준 46개, 개발 중인 표준 8개▷ISO/TC 193/SC 3 Upstream area ; 발행된 표준 6개, 개발 중인 표준 4개
-
▲ 디지털 ID 산업의 발전 전략 [출처=iNIS]독일 글로벌 자동차 제조업체 다임러(DAIMLER AG)에 따르면 2023년 12월22일 '차량의 적어도 하나의 환경 감지 센서를 검사하는 방법(Method for checking at least one environment detection sensor of a vehicle)' 명칭의 중국 특허(CN 112955775)가 등록됐다.본 중국 등록 특허(CN 112955775)는 PCT 국제출원(WO2020-088857)을 기초로 중국 국내단계에 진입해 중국 특허청에 의해 심사를 받았다.PCT 국제출원(WO2020-088857)은 독일 특허(DE 10-2018-127059)를 최우선 기초로 2019년 9월26일 PCT 국제출원됐다.독일 특허(DE 10-2018-127059)는 2018년 10월30일 출원된 후 독일 특허청에 의해 심사 중이다. 패밀리 특허로 미국 특허(US 11787424)가 2023년 10월7일 등록됐다.본 중국 등록 특허(CN 112955775)는 차량의 환경 감지 센서를 점검해 적절히 작동하고 있는지 결정하는 방법에 관한 특허다.특히 디지털 지도에서 차량 주변의 정지 물체의 특징을 센서에 의해 실제로 인식된 특징과 비교해 그 편차가 있는 경우에 감지센서의 성능이 저하된 것으로 결정된다.본 중국 등록 특허(CN 112955775)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주변의 저장된 고정 물체의 특징은 디지털 지도에서 식별된다.고정 물체의 특징은 환경 감지 센서에 의해 인식되고 차량 주변은 환경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다. 상기 환경 감지 센서가 인식하고자 하는 특징을 인식하지 못하거나 실제로 인식된 특징이 상기 특징에서 실질적으로 벗어나면 환경 감지 센서의 성능이 저하된 것으로 추론한다.이를 통해 차량의 시스템은 차량의 속도를 조절하거나 차량을 주차할 뿐 아니라 원격 조정자에게 경고를 통지할 수 있다.
-
▲ 디지털 ID 산업의 발전 전략 [출처=iNIS]중국 신안웨이종 마이크로전자기술(芯安微众(上海)微电子技术有限公司)에 따르면 2024년 1월2일 '차량 신뢰 디지털 아이디 생성 방법(Vehicle credible digital identity generation method)' 명칭의 중국 특허(CN 114726540)가 등록됐다.본 등록 특허(CN 114726540)는 2022년 4월6일 출원된(CN 2022-10356535)후 중국 특허청에 의해 심사받았다.본 등록 특허(CN 114726540)는 차량, 사용자 및 패스워드 정보를 통합해 기밀성 및 프라이버시를 보장함으로써 기존의 차량 식별 시스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안됐다.본 등록 특허의 시스템은 VIN(Vehicle Identification Number)정보와 사용자 세부 사항을 사용해 신뢰할 수 있는 디지털 ID(VSID)를 생성하고 이를 차량 보안 칩에 저장한다.본 등록 특허의 시스템은 사용자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면서 다양한 차량 소유자 및 드라이버에 대해 다른 디지털 아이디 표시를 허용한다.더욱 구체적으로, 본 등록 특허(CN 114726540)의 일 실시예는 하기의 절차에 따라 실행된다. 디지털 아이디 플랫폼은 클라이언트의 VIN 정보에 따라 신뢰할 수 있는 차량 시스템을 통해 차량 인증을 수행한다.디지털 신원 플랫폼은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사용자 정보에 따라 신뢰할 수 있는 아이디 인증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디지털 아이디 플랫폼은 VIN 정보와 사용자 정보에 따라 VSID를 생성하고 VSID를 차량 내 보안 칩에 전송한다. 차량 내 보안 칩은 VSID를 저장하고 해당 VSID 키 쌍을 생성한다.VSID 공개 키는 디지털 아이디 플랫폼으로 전송된다. 디지털 아이디 플랫폼은 암호화 및 저장을 위해 VSID와 VSID 공개 키를 클라이언트에 전송한다.
-
2023-11-06▲ 디지털 ID 산업의 발전 전략 [출처=iNIS]미국 글로벌 자동차 제조업체 포드 자동차의 자회사 포드글로벌테크놀로지(Ford Global Technologies)에 따르면 2023년 10월10일 '적어도 하나의 운송 차량을 고객에게 동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connecting one or more transportation vehicles to customers)' 명칭의 미국 특허(US 11783441)가 등록됐다.본 등록 특허는 2019년 9월24일 출원된(US 16/581073) 후 미국 특허청에 의해 심사를 받았다. 패밀리 특허로 중국 특허(CN 112637257), 독일 특허(DE 10-2020-124984)가 심사 중이다.본 등록 특허는 운송 차량을 고객에게 연결하기 위한 시스템과 방법에 관한 특허이다. 본 등록 특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위치에서 사용자의 디지털 식별자를 수신한다.디지털 식별자는 적어도 하나의 비디오 캡쳐 장치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비디오 캡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승용 차량 및 사용자의 환경에 위치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승용 차량 자체에 위치할 수 있다.사용자가 특정 위치에 있음을 나타내는 디지털 식별자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할당할 승합차가 결정된다. 특허의 존속기간(예상)만료일은 2041년 4월22일이다.
1
2
3
4
5
6
7
8
9
10
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