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5
" unmanned"으로 검색하여,
43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G3AM 회원사 현황[출처=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종호 장관, 이하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지난 5월14일(화) 세계 최초 첨단 항공교통(Advanced Air Mobility, 이하 AAM) 분야 국제 사실표준화 기구 G3AM(Global Association for Advanced Air Mobility) 출범식이 개최됐다.이날 출범식은 과기정통부가 주최하고 G3AM(사무국: 한국무인이동체연구조합(이하 KRAUV)) 주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이하 TTA) 후원으로 서울 롯데월드타워 Sky31 컨퍼런스 홀에서 개최됐다.G3AM은 국내 전문가가 주도적으로 설립한 국제 사실표준화 기구다. △정보 공유체계 △교통관리 및 운항통제 △필수 항행 성능 등 여러 분야에서 새로운 표준을 개발·유지·관리하고 상호운용성과 호환성을 보장하는 사실표준화를 추진하기 위해서다.G3AM 창립회원은 대한항공, 인천국제공항공사, 파인브이티로보틱스, 한화시스템, 한국공항공사, 현대자동차 이동통신3사 등 AAM 관련 핵심 국내 기업 63개사가 참여했다.또한 Onesky(美), Skyports(英), Padinagroup(美), ANRA Technologies(美) 등 AAM 분야 다국적 기업이 참여했으며 Joby Aviation(美), Volocopter(獨) 등 다국적 기업들도 G3AM 회원가입을 검토 중이다.▲ 국제 사실표준화기구 첨단 항공교통 국제연합(G3AM) 홈페이지첨단 항공교통(Advanced Air Mobility, 이하 AAM)은 단거리 중심의 도심항공교통(Urban Air Mobility, 이하 UAM)과 중·장거리 중심의 지역 간 항공교통(Regional Air Mobility, 이하 RAM)을 포괄하는 항공교통을 의미한다.AAM은 교통권 확대, 기존 교통수단의 환경 문제 해소 등 차원에서 미래형 교통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는 기술이다.따라서 AAM은 인공지능(AI), 이동통신, 데이터 등 다양한 디지털 기술이 적용되므로 상호운용성·신뢰성·지속가능성 등을 위한 국제표준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AAM 생태계 관련 산업은 아직 태동기 단계로 국제 표준화 주도권 선점의 적기로 평가받고 있다.출범식 기조연설에서 국제표준화기구 무인항공기시스템(ISO/TC20/SC16 Unmanned aircraft systems) 의장인 존스컬 워커가 'AAM을 지원하기 위한 국제기구의 역할'에 대해 발표했다.출범 기념 컨퍼런스는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실증 성공사례(대한항공) △차세대 전기추진 수직 이착륙 비행체(eVTOL) 및 미래 항공 기체(AAV)(한화시스템, 한국항공우주산업) △AAM 사업 추진 동향(SKT, KT, LGU+등 이동통신 3사) 등으로 구성됐다.버티포트 인프라 개발현황은 2023년 G3AM의 회원으로 가입한 버티포트 분야 세계선도기업 Skyports가 맡았다.과기정통부 전영수 국장은 “첨단항공교통 분야는 디지털 기술 표준을 통해 우리나라가 주도권을 확보할 수 있는 영역”이라며 “G3AM이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사실표준화기구로 자리 잡아 첨단항공교통 기술 발전과 생태계 조성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참고로 전기추진 수직 이착륙 비행체(electric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eVTOL)란 전기를 사용해 활주로 없이 공중에 떠오르는 비행체를 말한다.미래항공 기체(Advanced Air Vehicle)란 자율비행과 하이브리드 전기추진으로 장시간 비행 가능한 비행체를 뜻하며 버티포트(VertiPort)란 수직 비행(Vertical Flight)과 항구(Port)의 합성어로 기체가 수직 이착륙할 수 있는 공간이다.사실 표준(事實標準, de facto standard)이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정보통신용어사전에 시장에서 표준으로 인정받거나 필요에 따라 업계를 중심으로 결성된 사실 표준화기구에서 제정되는 표준을 말한다.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Microsoft Windows)가 대표적인 예로 사실 표준은 강제 사항이 아니지만 업계에서 대부분 이 표준을 준수하고 있다.완성된 사실 표준은 필요하면 공신력 있는 국제 또는 국가 표준화 기구에서 일정한 절차와 심의를 걸쳐 공식 표준(de jure standard)으로 제정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대부분은 시장의 필요가 적어질 경우 자연스럽게 도태된다.미국 전기전자협회(IEEE), 인터넷 엔지니어링 태스크 포스(IETF), 월드와이드웹 컨소시엄(W3C) 등이 사실 표준화 기구다.
-
▲ 한국 국가기술표준원(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홈페이지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두고 있는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활동 중인 기술위원회(Technical Committeee, TC)는 TC1~TC323까지 구성돼 있다.기술위원회의 역할은 기술관리부가 승인한 작업범위 내 작업 프로그램 입안, 실행, 국제규격의 작성 등이다. 또한 산하 분과위원회(SC), 작업그룹(Working Group, WG)을 통해 기타 ISO 기술위원회 또는 국제기관과 연계한다.ISO/IEC 기술작업 지침서 및 기술관리부 결정사항에 따른 ISO 국제규격안 작성·배포, 회원국의 의견 편집 등을 처리한다. 소속 분과위원회 및 작업그룹의 업무조정, 해당 기술위원회의 회의 준비도 담당한다.또한 국제전기기술위원회(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IEC)는 전기 및 전자 제품의 고품질 인프라와 국제 무역을 뒷받침하는 글로벌 비영리 회원 조직이다.기술 혁신, 저렴한 인프라 개발, 효율적이고 지속 가능한 에너지 접근, 스마트 도시화 및 교통 시스템, 기후 변화 완화를 촉진하고 사람과 환경의 안전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170개 이상의 국가를 통합하고 전 세계 2만명의 전문가에게 글로벌하고 중립적이며 독립적인 표준화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다. 장치, 시스템, 설치, 서비스 및 인력이 필요에 따라 작동함을 구성원이 인증하는 4가지 적합성 평가 시스템을 관리한다.적합성 평가와 함께 정부가 국가 품질 인프라를 구축하고 모든 규모의 기업이 전 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 일관되게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제품을 사고 팔 수 있도록 하는 기술 프레임워크를 제공하는 약 1만개의 IEC 국제표준을 발행하고 있다.이러한 ISO와 IEC가 공동으로 구성한 기술위원회 ISO/IEC JTC 1 정보 기술(Information technology)에 대해 살펴볼 예정이다.JTC 1은 1987년에 결성됐으며 사무국은 미국국립표준협회(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ANSI)에서 맡고 있다. 위원회는 리사 라지첼(Mrs Lisa Rajchel)가 책임지고 있다. 현재 의장은 필 웬블롬(Mr Phil Wennblom)으로 임기는 202년까지다.ISO 기술 프로그램 관리자는 앤드류 드라이든(Mr Andrew Dryden), 스티븐 더트널(Mr Stephen Dutnall), ISO 편집 관리자는 앨리슨 레이드 자몬드(Ms Alison Reid-Jamond) 등으로 조사됐다. 범위는 정보기술 분야의 표준화다.현재 ISO/IEC JTC 1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발행된 표준은 517개며 직접적인 책임 하에 개발중인 표준은 23개다. 참여하고 있는 회원은 40개국, 참관 회원은 62개국이다.공동 기술위원회(Joint Technical Committee, JTC) 산하에서 활동하고 있는 분과위원회(Subcommittee, SC) 중 SC 1, SC 2에 이어 SC 6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ISO/IEC JTC 1/SC 6 시스템간 통신 및 정보 교환(Tele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systems)과 관련된 분과위원회는 1988년 결성됐다. 사무국은 한국 국가기술표준원(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에서 맡고 있다.위원회는 오정엽(Mr Jungyup OH)이 책임지고 있다. 현재 의장은 강현국(Dr Hyun Kook Kahng)으로 임기는 2024년까지다.ISO 기술 프로그램 관리자는 앤드류 드라이든(Mr Andrew Dryden), ISO 편집 관리자는 클라우디아 루에제(Ms Claudia Lueje) 등으로 조사됐다.범위는 사용 조건 뿐 아니라 시스템 기능, 절차, 매개변수를 포함해 개방형 시스템 간의 정보 교환을 다루는 통신 분야 표준화 작업을 진행해 왔다.이 표준화는 물리적, 데이터 링크, 네트워크 및 전송을 포함한 하위 계층의 프로토콜과 서비스뿐만 아니라 디렉토리 및 ASN.1(MFAN, NFC, PLC, 미래 네트워크 및 OID)을 포함하되 이에 국한되지 않는 상위 계층의 프로토콜 및 서비스를 포함하고 있다.현재 ISO/IEC JTC 1/SC 6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발행된 표준은 397개며 개발 중인 표준은 18개다. 참여하고 있는 회원은 19명, 참관 회원은 36명이다.□ ISO/IEC JTC 1/SC 6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하에 발행된 표준 및(또는) 프로젝트 397개 중 15개 목록▷ISO 1155:1978 Information processing — Use of longitudinal parity to detect errors in information messages▷ISO 1177:1985 Information processing — Character structure for start/stop and synchronous character oriented transmission▷ISO 1745:1975 Information processing — Basic mode control procedures for data communication systems▷ISO 2110:1989 Information technology — Data communication — 25-pole DTE/DCE interface connector and contact number assignments▷ISO 2110:1989/Amd 1:1991 Information technology — Data communication — 25-pole DTE/DCE interface connector and contact number assignments — Amendment 1: Interface connector and contact number assignments for a DTE/DCE interface for data signalling rates above 20 000 bit/s per second▷ISO/IEC 2593:2000 Information technology — Tele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systems — 34-pole DTE/DCE interface connector mateability dimensions and contact number assignments▷ISO 2628:1973 Basic mode control procedures — Complements▷ISO 2629:1973 Basic mode control procedures — Conversational information message transfer▷ISO/IEC 4005-1:2023 Tele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systems — Unmanned aircraft area network (UAAN) — Part 1: Communication model and requirements▷ISO/IEC 4005-2:2023 Tele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systems — Unmanned aircraft area network (UAAN) — Part 2: Physical and data link protocols for shared communication▷ISO/IEC 4005-3:2023 Tele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systems — Unmanned aircraft area network (UAAN) — Part 3: Physical and data link protocols for control communication▷ISO/IEC 4005-4:2023 Tele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systems — Unmanned aircraft area network (UAAN) — Part 4: Physical and data link protocols for video communication▷ISO 4902:1989 Information technology — Data communication — 37-pole DTE/DCE interface connector and contact number assignments▷ISO 4903:1989 Information technology — Data communication — 15-pole DTE/DCE interface connector and contact number assignments▷ISO/IEC 5021-1:2023 Tele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systems — Wireless LAN access control — Part 1: Networking architecture▷ISO/IEC 5021-2:2023 Tele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systems — Wireless LAN access control — Part 2: Dispatching platform□ ISO/IEC JTC 1/SC 6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하에 개발중인 표준 및(또는) 프로젝트 18개 중 15개 목록▷ISO/IEC PRF 4396-1 Tele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systems — Recursive inter-network architecture — Part 1: Reference model▷ISO/IEC PRF 4396-2 Tele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systems — Recursive inter-network architecture — Part 2: Common application connection establishment protocol▷ISO/IEC PRF 4396-3 Tele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systems — Recursive inter-network architecture — Part 3: Common distributed application protocol▷ISO/IEC PRF 4396-4 Tele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systems — Recursive inter-network architecture — Part 4: Complete enrolment procedures▷ISO/IEC PRF 4396-5 Tele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systems — Recursive inter-network architecture — Part 5: Incremental enrolment procedures▷ISO/IEC PRF 4396-6 Tele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systems — Recursive inter-network architecture — Part 6: RINA data transfer service▷ISO/IEC PRF 4396-7 Tele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systems — Recursive inter-network architecture — Part 7: Flow allocator▷ISO/IEC PRF 4396-8 Tele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systems — Recursive inter-network architecture — Part 8: RINA general delimiting procedures▷ISO/IEC PRF 4396-9 Tele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systems — Recursive inter-network architecture — Part 9: Error and flow control protocol▷ISO/IEC/IEEE DIS 8802-1Q Telecommunications and exchange between information technology systems — Requirements for local and metropolitan area networks — Part 1Q: Bridges and bridged networks▷ISO/IEC 9594-8:2020/CD Cor 2 Information technology —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 Part 8: The Directory: Public-key and attribute certificate frameworks — Technical Corrigendum 2▷ISO/IEC 9594-11:2020/CD Cor 1 Information technology —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directory — Part 11: Protocol specifications for secure operations — Technical Corrigendum 1▷ISO/IEC 9594-11:2020/DAmd 1 Information technology —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directory — Part 11: Protocol specifications for secure operations — Amendment 1▷ISO/IEC DIS 9594-12 Information technology —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 Part 12: The Directory: Key management and public-key infrastructure establishment and maintenance▷ISO/IEC FDIS 18092 Tele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systems — Near Field Communication Interface and Protocol 1 (NFCIP-1)
-
2023-09-26▲ 미국국립표준협회(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ANSI) 홈페이지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두고 있는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활동 중인 기술위원회(Technical Committeee, TC)는 TC1~TC323까지 구성돼 있다.기술위원회의 역할은 기술관리부가 승인한 작업범위 내 작업 프로그램 입안, 실행, 국제규격의 작성 등이다. 또한 산하 분과위원회(SC), 작업그룹(Working Group, WG)을 통해 기타 ISO 기술위원회 또는 국제기관과 연계한다.ISO/IEC 기술작업 지침서 및 기술관리부 결정사항에 따른 ISO 국제규격안 작성·배포, 회원국의 의견 편집 등을 처리한다. 소속 분과위원회 및 작업그룹의 업무조정, 해당 기술위원회의 회의 준비도 담당한다.또한 국제전기기술위원회(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IEC)는 전기 및 전자 제품의 고품질 인프라와 국제 무역을 뒷받침하는 글로벌 비영리 회원 조직이다. 기술 혁신, 저렴한 인프라 개발, 효율적이고 지속 가능한 에너지 접근, 스마트 도시화 및 교통 시스템, 기후 변화 완화를 촉진하고 사람과 환경의 안전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170개 이상의 국가를 통합하고 전 세계 2만명의 전문가에게 글로벌하고 중립적이며 독립적인 표준화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다. 장치, 시스템, 설치, 서비스 및 인력이 필요에 따라 작동함을 구성원이 인증하는 4가지 적합성 평가 시스템을 관리한다.적합성 평가와 함께 정부가 국가 품질 인프라를 구축하고 모든 규모의 기업이 전 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 일관되게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제품을 사고 팔 수 있도록 하는 기술 프레임워크를 제공하는 약 1만개의 IEC 국제표준을 발행하고 있다.이러한 ISO와 IEC가 공동으로 구성한 기술위원회 ISO/IEC JTC 1 정보 기술(Information technology)에 대해 살펴볼 예정이다.JTC 1은 1987년에 결성됐으며 사무국은 미국국립표준협회(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ANSI)에서 맡고 있다. 위원회는 리사 라지첼(Mrs Lisa Rajchel)가 책임지고 있다. 현재 의장은 필 웬블롬(Mr Phil Wennblom)으로 임기는 202년까지다.ISO 기술 프로그램 관리자는 앤드류 드라이든(Mr Andrew Dryden), 스티븐 더트널(Mr Stephen Dutnall), ISO 편집 관리자는 앨리슨 레이드 자몬드(Ms Alison Reid-Jamond) 등으로 조사됐다. 범위는 정보기술 분야의 표준화다.현재 ISO/IEC JTC 1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발행된 표준은 517개며 직접적인 책임 하에 개발중인 표준은 23개다. 참여하고 있는 회원은 40개국, 참관 회원은 62개국이다. ISO/IEC JTC 1 사무국 산하에서 활동중인 분과위원회와 실무위원회를 살며보면 아래와 같다.□ ISO/IEC JTC 1 사무국 산하 활동중인 분과위원회(Subcommittee) 및 실무위원회▷ISO/IEC JTC 1/SC 2 Coded character sets Subcommittee▷ISO/IEC JTC 1/SC 6 Tele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systems Subcommittee▷ISO/IEC JTC 1/SC 7 Software and systems engineering Subcommittee▷ISO/IEC JTC 1/SC 17 Cards and security devices for personal identification Subcommittee▷ISO/IEC JTC 1/SC 22 Programming languages, their environments and system software interfaces Subcommittee▷ISO/IEC JTC 1/SC 23 Digitally recorded media for information interchange and storage Subcommittee▷ISO/IEC JTC 1/SC 24 Computer graphics, image processing and environmental data representation Subcommittee▷ISO/IEC JTC 1/SC 25 Interconnec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equipment Subcommittee▷ISO/IEC JTC 1/SC 27 Information security, cybersecurity and privacy protection Subcommittee▷ISO/IEC JTC 1/SC 28 Office equipment Subcommittee▷ISO/IEC JTC 1/SC 29 Coding of audio, picture, multimedia and hypermedia information Subcommittee▷ISO/IEC JTC 1/SC 31 Automatic identification and data capture techniques Subcommittee▷ISO/IEC JTC 1/SC 32 Data management and interchange Subcommittee▷ISO/IEC JTC 1/SC 34 Document description and processing languages Subcommittee▷ISO/IEC JTC 1/SC 35 User interfaces Subcommittee▷ISO/IEC JTC 1/SC 36 Information technology for learning, education and training Subcommittee▷ISO/IEC JTC 1/SC 37 Biometrics Subcommittee▷ISO/IEC JTC 1/SC 38 Cloud computing and distributed platforms Subcommittee▷ISO/IEC JTC 1/SC 39 Sustainability, IT and data centres Subcommittee▷ISO/IEC JTC 1/SC 40 IT service management and IT governance Subcommittee▷ISO/IEC JTC 1/SC 41 Internet of things and digital twin Subcommittee▷ISO/IEC JTC 1/SC 42 Artificial intelligence Subcommittee▷ISO/IEC JTC 1/SC 43 Brain-computer interfaces Subcommittee▷ISO/IEC JTC 1/AG 1 Advisory Group on Communications Working group▷ISO/IEC JTC 1/AG 2 Advisory Group on JTC 1 Emerging Technology and Innovation (JETI) Working group▷ISO/IEC JTC 1/AG 14 Systems Integration Facilitation (SIF) Working group▷ISO/IEC JTC 1/AG 15 Standards and Regulations Working group▷ISO/IEC JTC 1/AG 19 Coordination with ISO TC 20/SC 16 on Unmanned Aircraft Systems (UAS) Working group▷ISO/IEC JTC 1/AG 20 Coordination with ISO/TC 268/SC 1 on Smart Community Infrastructures Working group▷ISO/IEC JTC 1/AG 21 JTC1 strategic direction Working group▷ISO/IEC JTC 1/AHG 4 Collaboration across domains Working group▷ISO/IEC JTC 1/AHG 5 JTC 1 Standards Made Freely Available Working group▷ISO/IEC JTC 1/AHG 7 Supplement alignment Working group▷ISO/IEC JTC 1/JAG JTC 1 Advisory Group Working group▷ISO/IEC JTC 1/WG 11 Smart cities Working group▷ISO/IEC JTC 1/WG 12 3D Printing and scanning Working group▷ISO/IEC JTC 1/WG 13 Trustworthiness Working group▷ISO/IEC JTC 1/WG 14 Quantum information technology Working group▷ISO/IEC JTC 1/WG 15 JTC1 vocabulary Working group□ 참고로 다른 기술위원회의 책임 하에 공동 작업 중인 그룹▷ISO/TC 204/JWG 1 Joint ISO/TC 204 - ISO/IEC JTC1 WG: City data model transportation planning
-
▲ 인도 도시기반 드론 솔루션 제공업체 드로고 드론(Drogo Drones) 홈페이지인도 도시기반 드론 솔루션 제공업체인 드로고 드론(Drogo Drones)에 따르면 정부 인증인 무인항공기(unmanned arial vehicle, UAV) 드론 크리시(Krishi) 2.0을 획득했다.출시와 동시에 정부로부터 인증을 받은 드로고의 드론 크리시(Krishi) 2.0은 농업용 무인항공기(UAV)다. 페이로드(Payload) 10kg의 용량을 장착할 수 있어 1일 30에이커(arces)의 땅을 효과적으로 담당할 수 있다.따라서 1개월에 약 750~900에이커(acre) 규모의 농지를 대상으로 방제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농약 살포작업에 필요한 시간과 노동력을 줄여 농민이 화학물질에 노출되는 시간을 최소화했다.드로고는 향후 3년내 인도에서 드론 시장의 규모가 Rs3000억 루피(약 4조6800억 원)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한다. 드론 산업이 50만개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 인도표준국(Bureau of Indian Standards, BIS) [출처=홈페이지]인도 정부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드론(Drone)으로 알려진 무인항공기(unmanned aerial vehicles, UAVs)에 대한 필수 표준을 개발 중이다. 인도에서 무인항공기에 대한 강력한 품질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한 목적이다.관계 부처와 정부 부서간 논의를 통해 더 많은 제품들이 품질관리명령(quality control orders, QCOs)에 따라 고시하고 인도표준국(Bureau of Indian Standards, BIS)의 필수 인증을 의무화하도록 했다.QCOs 발행을 통해 고시제품은 관련 인도 표준의 요구사항을 준수해야 된다. 드론 제조사들은 BIS로부터 의무적으로 인증을 획득해야 된다.QCO가 구현되면 개인은 BIS의 표준 마크없이 드론 제품을 제조, 수입, 유통, 판매, 고용, 임대, 보관할수 없다. 새로운 품질관리명령은 외국 제조업체뿐만 아니라 국내 제조사에게도 동등하게 적용된다.국내 소비자들은 해외에서 수입된 제품뿐 아니라 인도에서 제조된 제품의 품질을 믿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새롭게 도입되는 QCOs는 국민들의 소득을 증가시키고 수출에 활력을 불어 넣고 품질정신을 고취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QCOs는 다양한 처리 단계에 있으며 QCOs 초안의 일부는 관계 부처 및 정부 부서 뿐 아니라 세계무역기구(WTO)에서도 추진됐다.493개 제품을 다루고 있는 115개 QCOs는 필수 인증을 위해 통보됐다. 참고로 2014년 5월까지 106개 제품을 다루는 QCOs는 14개 뿐이었다.
-
▲ 드론 솔루션 제공업체 스프라이트(Spright) [출처=홈페이지]미국 글로벌 드론 솔루션 제공업체인 스프라이트(Spright)는 자사 정보 보안 경영 시스템(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 ISMS)에 대한 ISO 27001:2013 인증을 획득했다고 밝혔다.ISO 인증은 스프라이트의 내·외부 시스템 전반에 걸쳐 정보 보안 및 데이터 개인 정보보호에 대한 변함없는 노력을 인정한 것이다.ISO 27001:2013 인증은 정보의 기밀성, 무결성, 가용성을 보호하기 위해 효과적인 ISMS를 구현하기 위한 모범 사례를 설명하며 국제적으로 인정된 표준이다.따라서 최고 수준의 보안 및 위험 관리 표준을 충족하는 포괄적인 정보 보안 경영 시스템(ISMS)을 구현했음을 의미한다.ISO 27001:2013 인증을 획득하기 위해 독립 감사를 포함해 엄격한 평가 프로세스를 거쳤다. 정보 보안 정책, 절차, 통제 및 위험 관리, 사고 관리 관행 등을 평가했다.스프라이트는 애리조나주 길버트에 본사를 두고 있다. 의료 배송 및 공중 유틸리티 검사에서 혁신을 일으킨 무인항공 시스템(unmanned aerial systems, UAS) 서비스 솔루션을 턴키(일괄수주)방식으로 제공한다.획기적인 기술과 혁신적인 서비스 모델을 적용하고 있는 스프라이트는 효율적이고 지속 가능한 드론 기반 솔루션을 제공해 매일 비효율적인 지상 운영 문제를 극복하고 있다.
-
▲미국표준협회(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ANSI)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두고 있는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활동 중인 기술위원회(Technical Committeee, TC)는 TC1~TC323까지 구성돼 있다.기술위원회의 역할은 기술관리부가 승인한 작업범위 내 작업 프로그램 입안, 실행, 국제규격의 작성 등이다. 또한 산하 분과위원회(SC), 작업그룹(WG)을 통해 기타 ISO 기술위원회 또는 국제기관과 연계한다.ISO/IEC 기술작업 지침서 및 기술관리부 결정사항에 따른 ISO 국제규격안 작성·배포, 회원국의 의견 편집 등도 처리한다. 소속 분과위원회 및 작업그룹의 업무조정, 해당 기술위원회의 회의 준비도 담당한다.1947년 최초로 구성된 나사산에 대한 TC1 기술위원회를 시작으로 최근 순환경제를 표준화하기 위한 TC323까지 각 TC 기술위원회의 의장, ISO 회원, 발행 표준 및 개발 표준 등에 대해 살펴볼 예정이다.ISO/TC 20 항공기 및 우주선(Aircraft and space vehicles) 관련 기술위원회 역시 TC1, TC2, TC4, TC5, TC6, TC8, TC10, TC11, TC12, TC14, TC17, TC18, TC19와 같이 1947년 구성됐다.사무국은 미국표준협회(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ANSI)에서 맡고 있다. 위원회는 크리스토퍼 카나한(Mr Christopher Carnahan)가 책임지고 있으며 의장은 리차드 포셀리우스(Dr Richard Forselius)로 임기는 2027년까지다. ISO 기술 프로그램 관리자는 모니카 이비도(Ms Monica Ibido), ISO 편집 관리자는 이본 첸(Mrs Yvonne Chen) 등이다.범위는 항공기 및 우주선의 제작 및 운영을 위한 재료, 부품 및 장비의 표준화 뿐 아니라 이들 비행체의 서비스 및 유지 관리에 사용되는 장비의 표준화다.현재 위원회(TC)와 소위원회(SC)와 관련된 공개 표준은 681개며 이중 ISO/TC 20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발행된 표준은 47개다. 참여하고 있는 회원은 14명, 참관 회원은 31명이다.□ ISO/TC 20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하에 발행된 ISO 표준 47개중 10개 목록▲ISO 244:1979 Aircraft — Sealing wire▲ISO 268:1980 Aircraft — Mechanical and electromechanical indicators — General requirements▲ISO 413:1974 Aircraft — Heads of lubricating nipples▲ISO 1002:1983 Rolling bearings — Airframe bearings — Characteristics, boundary dimensions, tolerances, static load ratings▲ISO 1021:1980 Aircraft — Engine nacelle fire extinguisher apertures and doors▲ISO 1971:1975 Aircraft — Accessory drives and mounting pads▲ISO 2020-1:1997 Aerospace — Preformed flexible steel wire rope for aircraft controls — Part 1: Dimensions and loads▲ISO 2020-2:1997 Aerospace — Preformed flexible steel wire rope for aircraft controls — Part 2: Technical specification▲ISO 2669:1995 Environmental tests for aircraft equipment — Steady-state acceleration▲ISO 2671:1982 Environmental tests for aircraft equipment — Part 3.4 : Acoustic vibration□ 소위원회(Subcommittee, SC)에서 발행 및 개발 중인 표준 현황▲ISO/TC 20/SC 1 Aerospace electrical requirements 관련 발행 63개, 개발 중 5개▲ISO/TC 20/SC 4 Aerospace fastener systems 관련 발행 95개, 개발 중 7개▲ISO/TC 20/SC 6 Standard atmosphere 관련 발행 8개▲ISO/TC 20/SC 8 Aerospace terminology 관련 발행 23개, 개발 중 2개▲ISO/TC 20/SC 9 Air cargo and ground equipment 관련 발행 73개, 개발 중 6개▲ISO/TC 20/SC 10 Aerospace fluid systems and components 관련 발행 82개, 개발 중 11개▲ISO/TC 20/SC 13 Space data and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관련 발행 86개▲ISO/TC 20/SC 14 Space systems and operations 관련 발행 188개, 개발 중 48개▲ISO/TC 20/SC 16 Unmanned aircraft systems 관련 발행 10개, 개발 중 23개▲ISO/TC 20/SC 17 Airport infrastructure 관련 개발 중 1개▲ISO/TC 20/SC 18 Materials 관련 발행 6개, 개발 중 4개
-
벨기에 드론 교통 관리용 텔리매틱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램폼 개발업체인 유니플라이(Unifly)에 따르면 2022년 7월 ISO 9001:2015 인증을 받았다.영국 표준청(British Standards Institution, BSI)으로부터 독립적인 평가를 받았다. 평가 대상은 품질 경영 시스템 개발, 경영 시스템 문서화 리뷰, 사전 감사, 초기 평가, 품질 부적합 해결 등이다.모든 절차는 품질 경영 표준에 부적한 사항을 제거하는 수정 행동을 확인하는 프로세스로 구성된다. 감사를 통과했다는 것은 인증서를 받기 위한 전제 조건인 요구사항, 사양, 가이드라인, 특성 등을 잘 따랐다는 의미다.현재 유니플라이가 서비스하고 있는 드론 텔리매틱스 소프트웨어 솔루션은 품질 측면에서 세계 수준에 도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하지만 인증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서비스 품질, 효과적인 비용, 적시적인 서비스 이행 등에 만점을 기해야 한다.ISO 9001:2015은 품질경영시스템에 관련된 표준이다. 따라서 조직이 고객 및 기타 이해 관계자의 요구를 충족시키면서 제품 또는 서비스와 관련된 법적 및 규제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지 평가한다. 참고로 유니플라이는 2005년 서립됐으며 무인 교통 관리(Unmanned Traffic Management, UTM)의 선두 주자이다. 유인과 무인 항공기 사이의 차이를 해소하기 위한 플랫폼을 개발했다.드론 교통 관리를 디지털화 및 자동화함으로서 항공 관계자와 항공 운항 서비스 제공자에게 드론으로 인해 초래되는 항공 교통의 폭발적인 성장을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유니플라이(Unifly)의 서비스 내역(출처 : 홈페이지)
-
중국 기술기업인 바이두(百度)에 따르면 산시성(山西省) 양취안(阳泉)시로부터 무인 자율주행 서비스에 대한 상업적 운영 면허를 발급받았다.이 면허는 도시의 지정된 지역에서 운영되는 바이두의 자율주행 차량의 운전석에 더 이상 안전 감독자가 필요없음을 의미한다. 중국에서 최초로 발급됐으며 유료 요금의 징수가 가능하다.바이두는 2013년부터 자율주행 차량 연구 및 개발을 진행해왔다. 지금까지 거의 30개의 도시에서 도로 테스트를 수행했다.또한 양취안시에는 바이두의 자율주행 차량 및 관련 인프라 시스템용 테스트 기지인 아폴로파크(Apollo Park)가 다섯번째로 오픈됐다.이와 같은 상업적 면허 발급을 통해 자율주행 차량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시작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4차 산업혁명 기술을 개발하는 기업들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바이두(百度)의 자율주행자동차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21-12-24이스라엘 알마(Alma Research and Education Center)에 따르면 레바논 헤즈볼라(Hezbollah)는 무인 항공기(unmanned aerial vehicles, UAV)를 2000대 보유 중인 것으로 조사됐다.대다수의 UAV는 이란의 첨단 기술로 제조된 무인기이다. 일부는 레바논 테러리스트 그룹이 독자적으로 제조한 무인항공기이다.헤즈볼라는 1990년대부터 UAV를 사용해왔으며, 2006년 2차례 이스라엘에 드론을 보내기도 했다. 2012년 10월에는 지중해 상공에 발사된 UAV가 이스라엘 공군 제트기에 의해 요격됐다.헤즈볼라가 보유한 드론은 모하예르(Mohajer), 샤헤드(Shahed), 사메드(Samed)(KAS-04), 캐러(Karrar), 새에거(Saegheh) 유형과 같은 첨단 UAV 모델이다.또한 사진 촬영, 폭탄 운반 및 투하 등에 사용되는 수십 대의 중국산 소형 민간용 드론도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헤즈볼라는 1984년부터 UAV 부대를 운영해 왔으며 2000km 이상의 장거리 비행이 가능한 무인기를 확보하고 있다.▲ 알마(Alma Research and Education Center) 홈페이지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