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8
" article"으로 검색하여,
78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영국 표준협회(British Standards Institution, BSI) 홈페이지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두고 있는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활동 중인 기술위원회(Technical Committeee, TC)는 TC 1~TC 323까지 구성돼 있다.기술위원회의 역할은 기술관리부가 승인한 작업범위 내 작업 프로그램 입안, 실행, 국제규격의 작성 등이다. 또한 산하 분과위원회(SC), 작업그룹(WG)을 통해 기타 ISO 기술위원회 또는 국제기관과 연계한다.ISO/IEC 기술작업 지침서 및 기술관리부 결정사항에 따른 ISO 국제규격안 작성·배포, 회원국의 의견 편집 등도 처리한다. 소속 분과위원회 및 작업그룹의 업무조정, 해당 기술위원회의 회의 준비도 담당한다.1947년 최초로 구성된 나사산에 대한 TC 1 기술위원회를 시작으로 순환경제를 표준화하기 위한 TC 323까지 각 TC 기술위원회의 의장, ISO 회원, 발행 표준 및 개발 표준 등에 대해 살펴볼 예정이다.이미 다룬 기술위원회와 구성 연도를 살펴 보면 △1947년 TC 1~67 △1948년 TC 69 △1949년 TC 70~72 △1972년 TC 68 △1950년 TC 74 △1951년 TC 76 △1952년 TC 77 △1953년 TC 79, TC 81 △1955년 TC 82, TC 83 △1956년 TC 84, TC 85 △1957년 TC 86, TC 87, TC 89 △1958년 TC 91, TC 92 △1959년 TC 94 △1960년 TC 96, TC 98 △1961년 TC 101, TC 102, TC 104 등이다.또한 △1962년 TC 105~107 △1963년 TC 108~111 △1964년 TC 112~115, TC 117 △1965년 TC 118 △1966년 TC 119~122 △1967년 TC 123 △1968년 TC 126, TC 127 △1969년 TC 130~136 △1970년 TC 137, TC 138, TC 142, TC 145 △1971년 TC 146~150, TC 153 △1972년 TC 154 △1973년 TC 155 △1974년 TC 156~161 △1975년 TC 162~164 △1976년 TC 165, TC 166 △1977년 TC 167, TC 168, TC 170 △1978년 TC 171~174 △1979년 TC 176, TC 178 등도 포함된다.그리고 △1980년 TC 180, TC 181 △1981년 TC 182 △1983년 TC 183~186 △1984년 TC 188 △1985년 TC 189~191 △1988년 TC 192~194 △1989년 TC 195 △1990년 TC 197, TC 198 △1991년 TC 199, TC 201, TC 202 △1992년 TC 204~206 △1993년 TC 209 △1994년 TC 210, TC 211 △1996년 TC 213, TC 214 △1998년 TC 215~218 △1999년 TC 219, TC 220 △2000년 TC 221, TC 222 △2001년 TC 224 △2002년 TC 225 △2004년 TC 226 TC 227 등이 있다.ISO/TC 229 나노기술(Nanotechnologies)과 관련된 기술위원회는 TC 228과 마찬가지로 2005년 결성됐다. 사무국은 영국 표준협회(British Standards Institution, BSI)에서 맡고 있다.위원회는 데이비드 마이클(Dr David Michael)가 책임지고 있다. 현재 의장은 데니스 콜초프(Dr Denis Koltsov)로 임기는 2024년까지다. ISO 기술 프로그램 관리자는 몬자 코르터(Ms Monja Korter)이며 ISO 편집 관리자는 타이나 비셰비치(Ms Tajna Biscevic)이다.범위는 다음 하나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한 나노기술 분야 표준화다. 첫 번째는 일반적으로 크기 의존 현상이 시작되어 새로운 응용이 가능해지는 하나 이상의 차원에서 100나노미터 미만 나노 규모의 물질과 프로세스를 이해하고 제어하는 것이다.두번째는 새로운 특성을 활용해 개선된 물질, 장치 및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 개별 원자, 분자 및 벌크 물질의 특성과 다른 나노 규모 재료의 특성을 활용 하는 것이다.특정 작업에는 용어 및 명명법, 기준 물질에 대한 사양을 포함한 계량 및 계측, 테스트 방법론,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과학에 기반한 건강, 안전, 환경 실행과 같은 표준 개발이 포함된다. 현재 ISO/TC 228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발행된 표준은 56개며 ISO/TC 228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개발 중인 표준은 12개다. 참여하고 있는 회원은 58개국, 참관 회원은 47개국이다.□ ISO/TC 228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발행된 표준 56개 중 15개 목록▷ISO/TS 4958:2024 Nanotechnologies — Vocabulary — Liposomes▷ISO/TS 4971:2023 Nanotechnologies — Performance evaluation of nanosuspensions containing clay nanoplates for quorum quenching▷ISO/TS 4988:2022 Nanotechnologies — Toxicity assessment and bioassimilation of manufactured nano-objects in suspension using the unicellular organism Tetrahymena sp.▷ISO/TS 5094:2023 Nanotechnologies — Assessment of peroxidase-like activity of metal and metal oxide nanoparticles▷ISO/TS 5387:2023 Nanotechnologies — Lung burden mass measurement of nanomaterials for inhalation toxicity tests▷ISO/TS 7833:2024 Nanotechnologies — Extraction method of nanomaterials from lung tissue by proteinase K digestion▷ISO/TS 10689:2023 Nanotechnologies — Superhydrophobic surfaces and coatings: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assessment▷ISO/TS 10797:2012 Nanotechnologies — Characterization of single-wall carbon nanotubes using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ISO/TS 10798:2011 Nanotechnologies — Charaterization of single-wall carbon nanotubes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metry analysis▷ISO 10801:2010 Nanotechnologies — Generation of metal nanoparticles for inhalation toxicity testing using the evaporation/condensation method▷ISO 10808:2010 Nanotechnologies — Characterization of nanoparticles in inhalation exposure chambers for inhalation toxicity testing▷ISO/TS 10818:2023 Nanotechnologies — Textiles containing nanomaterials and nanostructures — Superhydrophobic characteristics and durability assessment▷ISO/TS 10867:2019 Nanotechnologies — Characterization of single-wall carbon nanotubes using near infrared photoluminescence spectroscopy▷ISO/TS 10868:2017 Nanotechnologies — Characterization of single-wall carbon nanotubes using ultraviolet-visible-near infrared (UV-Vis-NIR) absorption spectroscopy▷ISO/TR 10929:2012 Nanotechnologies — Characterization of multiwall carbon nanotube (MWCNT) samples□ ISO/TC 228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개발중인 표준 12개 목록▷ISO/FDIS 4962 Nanotechnologies — In vitro acute nanoparticle phototoxicity assay▷ISO/AWI TS 4963 Nanotechnologies — Radiotelemetry-spectral-echocardiography based real-time surveillance protocol for in vivo toxicity detection and monitoring of engineered nanomaterials (ENM)▷ISO/AWI TS 4966 Nanotechnologies — Nanostructured porous silica microparticles for chromatography▷ISO/AWI TS 5341 Nanotechnologies — Nomenclature — Part 1: General nomenclature▷ISO/AWI TS 9651 'Nanotechnologies — Classification framework for graphene‐related 2D materials▷ISO/AWI 11308 Nanotechnologies — Characterization of carbon nanotube samples using thermogravimetric analysis▷ISO/CD TS 11353 Nanotechnologies — Test method for detection of nano-object release from respiratory masks media under different working conditions▷ISO/AWI TS 12769 Nanotechnologies — Toxicity assessment of manufactured nanomaterials in soils using plant Arabidopsis thaliana▷ISO/TS 12901-1 Nanotechnologies — Occupational risk management applied to engineered nanomaterials — Part 1: Principles and approaches▷ISO/CD TS 12901-2 Nanotechnologies — Occupational risk management applied to engineered nanomaterials — Part 2: Use of the control banding approach▷ISO/AWI TS 12948 Nanotechnologies — Nanocomposite materials for insulating — Specification of characteristics and measurement methods▷ISO/AWI TS 13121 Nanotechnologies — Nanomaterial risk evaluation▷ISO/DTS 13329 Nanomaterials — Preparation of safety data sheets (SDS)▷ISO/AWI TS 18196 Nanotechnologies — Measurement technique matrix for the characterization of nano-objects▷ISO/DTS 19590 Nanotechnologies — Characterization of nano-objects using single particle 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ry
-
▲ 스위스 표준화협회(Schweizerische Normen-Vereinigung, SNV) 홈페이지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두고 있는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활동 중인 기술위원회(Technical Committeee, TC)는 TC 1~TC 323까지 구성돼 있다.기술위원회의 역할은 기술관리부가 승인한 작업범위 내 작업 프로그램 입안, 실행, 국제규격의 작성 등이다. 또한 산하 분과위원회(SC), 작업그룹(WG)을 통해 기타 ISO 기술위원회 또는 국제기관과 연계한다.ISO/IEC 기술작업 지침서 및 기술관리부 결정사항에 따른 ISO 국제규격안 작성·배포, 회원국의 의견 편집 등도 처리한다. 소속 분과위원회 및 작업그룹의 업무조정, 해당 기술위원회의 회의 준비도 담당한다.1947년 최초로 구성된 나사산에 대한 TC 1 기술위원회를 시작으로 순환경제를 표준화하기 위한 TC 323까지 각 TC 기술위원회의 의장, ISO 회원, 발행 표준 및 개발 표준 등에 대해 살펴볼 예정이다.이미 다룬 기술위원회와 구성 연도를 살펴 보면 △1947년 TC 1~67 △1948년 TC 69 △1949년 TC 70~72 △1972년 TC 68 △1950년 TC 74 △1951년 TC 76 △1952년 TC 77 △1953년 TC 79, TC 81 △1955년 TC 82, TC 83 △1956년 TC 84, TC 85 △1957년 TC 86, TC 87, TC 89 △1958년 TC 91, TC 92 △1959년 TC 94 △1960년 TC 96, TC 98 △1961년 TC 101, TC 102, TC 104 등이다.또한 △1962년 TC 105~107 △1963년 TC 108~111 △1964년 TC 112~115, TC 117 △1965년 TC 118 △1966년 TC 119~122 △1967년 TC 123 △1968년 TC 126, TC 127 △1969년 TC 130~136 △1970년 TC 137, TC 138, TC 142, TC 145 △1971년 TC 146~150, TC 153 △1972년 TC 154 △1973년 TC 155 △1974년 TC 156~161 △1975년 TC 162~164 △1976년 TC 165, TC 166 △1977년 TC 167, TC 168, TC 170 △1978년 TC 171~174 △1979년 TC 176, TC 178 등도 포함된다.그리고 △1980년 TC 180, TC 181 △1981년 TC 182 △1983년 TC 183~186 △1984년 TC 188 △1985년 TC 189~191 △1988년 TC 192~194 △1989년 TC 195 △1990년 TC 197, TC 198 △1991년 TC 199, TC 201, TC 202 △1992년 TC 204~206 △1993년 TC 209 △1994년 TC 210, TC 211 △1996년 TC 213, TC 214 △1998년 TC 215~218 △1999년 TC 219, TC 220 △2000년 TC 221, TC 222 △2001년 TC 224 △2002년 TC 225 등이 있다.ISO/TC 226 1차 알루미늄 생산용 재료(Materials for the production of primary aluminium)와 관련된 기술위원회는 2004년 결성됐다. 사무국은 스위스 표준화협회(Schweizerische Normen-Vereinigung, SNV)에서 맡고 있다.위원회는 마르셀 슐츠(Mr Marcel Schulze)가 책임지고 있다. 현재 의장은 마티유 아를레타즈(Mr Matthieu Arlettaz)으로 임기는 2026년까지다. ISO 기술 프로그램 관리자는 스테판 소바쥬(M Stéphane Sauvage)이며 ISO 편집 관리자는 아룬 ABY 파라에카틸(Mr Arun ABY Paraecattil)다.범위는 산화알루미늄, 빙정석, 불화알루미늄, 불화나트륨, 탄소질 제품 및 세라믹 재료를 포함한 1차 알루미늄 생산용 재료 분야의 표준화다.현재 ISO/TC 226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발행된 표준은 103개며 ISO/TC 226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개발 중인 표준은 7개다. 참여하고 있는 회원은 9개국, 참관 회원은 16개국이다.□ ISO/TC 226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발행된 표준 103개 중 15개 목록▷ISO 806:2004 Aluminium oxide primarily used for the production of aluminium — Determination of loss of mass at 300 degrees C and 1 000 degrees C▷ISO 902:1976 Aluminium oxide primarily used for the production of aluminium — Measurement of the angle of repose▷ISO 1619:1976 Cryolite, natural and artificial — Preparation and storage of test samples▷ISO 1620:1976 Cryolite, natural and artificial — Determination of silica content — Reduced molybdosilicate spectrophotometric method▷ISO 1693:1976 Cryolite, natural and artificial — Determination of fluorine content — Modified Willard-Winter method▷ISO 1694:1976 Cryolite, natural and artificial — Determination of iron content — 1,10- Phenanthroline photometric method▷ISO 2366:1974 Cryolite, natural and artificial — Determination of sodium content — Flame emission and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ric methods▷ISO 2367:1972 Cryolite (natural and artificial) — Determination of aluminium content — 8- Hydroxyquinoline gravimetric method▷ISO 2828:1973 Aluminium oxide primarily used for the production of aluminium — Determination of fluorine content — Alizarin complexone and lanthanum chloride spectrophotometric method▷ISO 2829:1973 Aluminium oxide primarily used for the production of aluminium — Determination of phosphorus content — Reduced phosphomolybdate spectrophotometric method▷ISO 2830:1973 Cryolite, natural and artificial — Determination of aluminium content — Atomic absorption method▷ISO 2865:1973 Aluminium oxide primarily used for the production of aluminium — Determination of boron content — Curcumin spectrophotometric method▷ISO 2865:1973/Cor 1:1991 Aluminium oxide primarily used for the production of aluminium — Determination of boron content — Curcumin spectrophotometric method — Technical Corrigendum 1▷ISO 2926:2013 Aluminium oxide used for the production of primary aluminium — Particle size analysis for the range 45 µm to 150 µm — Method using electroformed sieves▷ISO 2927:1973 Aluminium oxide primarily used for the production of aluminium — Sampling□ ISO/TC 226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개발중인 표준 7개 목록▷ISO/CD 6376 Carbonaceous materials for the production of aluminium — Pitch for electrodes — Determination of content of toluene-insoluble material▷ISO/CD 6791 Carbonaceous materials for the production of aluminium — Pitch for electrodes — Determination of contents of quinoline-insoluble material▷ISO/CD 6998 Carbonaceous materials for the production of aluminium — Pitch for electrodes — Determination of coking value▷ISO/DIS 11713 Carbonaceous materials used in the production of aluminium — Cathode blocks and baked anodes — Determination of the specific electrical resistivity at ambient temperature▷ISO/CD 12926 Aluminium fluoride for industrial use — Determination of trace elements — Wavelength dispersive X-ray fluorescence spectrometric method using pressed powder tablets▷ISO/FDIS 14427 Carbonaceous materials used in the production of aluminium — Cold and tepid ramming pastes — Preparation of unbaked test specimens and determination of apparent density after compaction▷ISO/FDIS 17544 Carbonaceous materials used in the production of aluminium — Cold and tepid ramming pastes — Determination of rammability of unbaked pastes
-
▲ 미국 표준협회(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ANSI) 홈페이지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두고 있는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활동 중인 기술위원회(Technical Committeee, TC)는 TC 1~TC 323까지 구성돼 있다.기술위원회의 역할은 기술관리부가 승인한 작업범위 내 작업 프로그램 입안, 실행, 국제규격의 작성 등이다. 또한 산하 분과위원회(SC), 작업그룹(WG)을 통해 기타 ISO 기술위원회 또는 국제기관과 연계한다.ISO/IEC 기술작업 지침서 및 기술관리부 결정사항에 따른 ISO 국제규격안 작성·배포, 회원국의 의견 편집 등도 처리한다. 소속 분과위원회 및 작업그룹의 업무조정, 해당 기술위원회의 회의 준비도 담당한다.1947년 최초로 구성된 나사산에 대한 TC 1 기술위원회를 시작으로 순환경제를 표준화하기 위한 TC 323까지 각 TC 기술위원회의 의장, ISO 회원, 발행 표준 및 개발 표준 등에 대해 살펴볼 예정이다.이미 다룬 기술위원회와 구성 연도를 살펴 보면 △1947년 TC 1~67 △1948년 TC 69 △1949년 TC 70~72 △1972년 TC 68 △1950년 TC 74 △1951년 TC 76 △1952년 TC 77 △1953년 TC 79, TC 81 △1955년 TC 82, TC 83 △1956년 TC 84, TC 85 △1957년 TC 86, TC 87, TC 89 △1958년 TC 91, TC 92 △1959년 TC 94 △1960년 TC 96, TC 98 △1961년 TC 101, TC 102, TC 104 등이다.또한 △1962년 TC 105~107 △1963년 TC 108~111 △1964년 TC 112~115, TC 117 △1965년 TC 118 △1966년 TC 119~122 △1967년 TC 123 △1968년 TC 126, TC 127 △1969년 TC 130~136 △1970년 TC 137, TC 138, TC 142, TC 145 △1971년 TC 146~150, TC 153 △1972년 TC 154 △1973년 TC 155 △1974년 TC 156~161 △1975년 TC 162~164 등도 포함된다.그리고 △1976년 TC 165, TC 166 △1977년 TC 167, TC 168, TC 170 △1978년 TC 171~174 △1979년 TC 176, TC 178 △1980년 TC 180, TC 181 △1981년 TC 182 △1983년 TC 183~186 △1984년 TC 188 △1985년 TC 189~191 △1988년 TC 192~194 △1989년 TC 195 △1990년 TC 197, TC 198 △1991년 TC 199, TC 201, TC 202 △1992년 TC 204~206 등이 있다.ISO/TC 209 클린룸 및 관련 제어 환경(Cleanrooms and associated controlled environments)과 관련된 기술위원회는 TC 207과 마찬가지로 1993년 결성됐다. 사무국은 미국 표준협회(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ANSI)에서 맡고 있다.위원회는 로버트 미엘케(Mr Robert Mielke)가 책임지고 있다. 현재 의장은 고든 엘리(Mr Gordon Ely)이며 임기는 2026년말까지다. ISO 기술 프로그램 관리자는 마호 타카하시(Mme Maho Takahashi), ISO 편집 관리자는 아룬 ABY 파라에카틸(Mr Arun ABY Paraecattil) 등이다.범위는 시설, 지속 가능성, 장비, 프로세스 및 운영과 관련된 기타 속성 및 특성 뿐 아니라 청결도를 제어하기 위한 클린룸 및 관련 제어 환경에 대한 표준화다.현재 ISO/TC 209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발행된 표준은 20개며 ISO/TC 209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개발 중인 표준은 3개다. 참여하고 있는 회원은 26개국, 참관 회원은 22개국이다.□ ISO/TC 209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발행된 표준 20개 중 15개 목록▷ISO 14644-1:2015 Cleanrooms and associated controlled environments — Part 1: Classification of air cleanliness by particle concentration▷ISO 14644-2:2015 Cleanrooms and associated controlled environments — Part 2: Monitoring to provide evidence of cleanroom performance related to air cleanliness by particle concentration▷ISO 14644-3:2019 Cleanrooms and associated controlled environments — Part 3: Test methods▷ISO 14644-4:2022 Cleanrooms and associated controlled environments — Part 4: Design, construction and start-up▷ISO 14644-5:2004 Cleanrooms and associated controlled environments — Part 5: Operations▷ISO 14644-7:2004 Cleanrooms and associated controlled environments — Part 7: Separative devices (clean air hoods, gloveboxes, isolators and mini-environments)▷ISO 14644-8:2022 Cleanrooms and associated controlled environments — Part 8: Assessment of air cleanliness by chemical concentration (ACC)▷ISO 14644-9:2022 Cleanrooms and associated controlled environments — Part 9: Assessment of surface cleanliness for particle concentration▷ISO 14644-10:2022 Cleanrooms and associated controlled environments — Part 10: Assessment of surface cleanliness for chemical contamination▷ISO 14644-12:2018 Cleanrooms and associated controlled environments — Part 12: Specifications for monitoring air cleanliness by nanoscale particle concentration▷ISO 14644-13:2017 Cleanrooms and associated controlled environments — Part 13: Cleaning of surfaces to achieve defined levels of cleanliness in terms of particle and chemical classifications▷ISO 14644-14:2016 Cleanrooms and associated controlled environments — Part 14: Assessment of suitability for use of equipment by airborne particle concentration▷ISO 14644-15:2017 Cleanrooms and associated controlled environments — Part 15: Assessment of suitability for use of equipment and materials by airborne chemical concentration▷ISO 14644-16:2019 Cleanrooms and associated controlled environments — Part 16: Energy efficiency in cleanrooms and separative devices▷ISO 14644-17:2021 Cleanrooms and associated controlled environments — Part 17: Particle deposition rate applications□ ISO/TC 209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개발 중인 표준 3개 목록▷ISO/AWI 14644-5 Cleanrooms and associated controlled environments — Part 5: Operations▷ISO/CD TS 14644-19 Cleanrooms and associated controlled environments — Part 19: General technical requirements of modular isolation units for emergency medical use▷ISO/AWI 14644-20 Cleanrooms and associated controlled environments — Part 20: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control
-
2024-02-05▲ 중국 국가표준화관리위원회(国家标准化管理委员会, Standardization Administration of the P. R. C, SAC) 홈페이지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두고 있는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활동 중인 기술위원회(Technical Committeee, TC)는 TC 1~TC 323까지 구성돼 있다.기술위원회의 역할은 기술관리부가 승인한 작업범위 내 작업 프로그램 입안, 실행, 국제규격의 작성 등이다. 또한 산하 분과위원회(SC), 작업그룹(WG)을 통해 기타 ISO 기술위원회 또는 국제기관과 연계한다.ISO/IEC 기술작업 지침서 및 기술관리부 결정사항에 따른 ISO 국제규격안 작성·배포, 회원국의 의견 편집 등도 처리한다. 소속 분과위원회 및 작업그룹의 업무조정, 해당 기술위원회의 회의 준비도 담당한다.1947년 최초로 구성된 나사산에 대한 TC 1 기술위원회를 시작으로 순환경제를 표준화하기 위한 TC 323까지 각 TC 기술위원회의 의장, ISO 회원, 발행 표준 및 개발 표준 등에 대해 살펴볼 예정이다.이미 다룬 기술위원회와 구성 연도를 살펴 보면 △1947년 TC 1~TC 67 △1948년 TC 69 △1949년 TC 70~72 △1972년 TC 68 △1950년 TC 74 △1951년 TC 76 △1952년 TC 77 △1953년 TC 79, TC 81 △1955년 TC 82, TC 83 △1956년 TC 84, TC 85 △1957년 TC 86, TC 87, TC 89 △1958년 TC 91, TC 92 △1959년 TC 94 △1960년 TC 96, TC 98 △1961년 TC 101, TC 102, TC 104 등이다.또한 △1962년 TC 105~TC 107 △1963년 TC 108~TC 111 △1964년 TC 112~TC 115, TC 117 △1965년 TC 118 △1966년 TC 119~TC 122 △1967년 TC 123 △1968년 TC 126, TC 127 △1969년 TC 130~136 △1970년 TC 137, TC 138, TC 142, TC 145 △1971년 TC 146, TC 147, TC 148, TC 149, TC 150, TC 153 △1972년 TC 154 △1973년 TC 155 △1974년 TC 156~TC 161 △1975년 TC 162~TC 164 등도 포함된다.그리고 △1976년 TC 165, TC 166 △1977년 TC 167, TC 168, TC 170 △1978년 TC 171, TC 172, TC 173, TC 174 △1979년 TC 176, TC 178 △1980년 TC 180, TC 181 △1981년 TC 182 등이 있다.ISO/TC 186 수저와 테이블, 장식용 금속 냄비(Cutlery and table and decorative metal hollow-ware)와 관련된 기술위원회는 TC 183, TC 184, TC 185와 마찬가지로 1983년 결성됐다. 사무국은 중국 국가표준화관리위원회(国家标准化管理委员会, Standardization Administration of the P. R. C, SAC)에서 맡고 있다.위원회는 민 두안(Mrs Min Duan)이 책임지고 있다. 현재 의장은 화신 펑( Mr Huaxin Peng)이며 임기는 2025년까지다. ISO 기술 프로그램 관리자는 페트리샤 쿡(Mme Patricia Cook) ISO 편집 관리자는 바주치(M Vincenzo Bazzucchi)등으로 조사됐다.범위는 수저류, 접시류, 테이블, 장식용 금속 할로우 웨어 분야의 표준화다. 참고로 할로우 웨어(hollow-ware)는 움푹한 냄비나 쟁반 같은 그릇을 말한다.현재 ISO/TC 186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발행된 표준은 10개며 참여하고 있는 회원은 11개국, 참관 회원은 17개국이다.□ ISO/TC 186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발행된 표준 10개 목록▷ISO 4481:1977 Cutlery and flatware — Nomenclature▷ISO 8442-1:1997 Materials and articles in contact with foodstuffs — Cutlery and table holloware — Part 1: Requirements for cutlery for the preparation of food▷ISO 8442-2:1997 Materials and articles in contact with foodstuffs — Cutlery and table holloware — Part 2: Requirements for stainless steel and silver-plated cutlery▷ISO 8442-3:1997 Materials and articles in contact with foodstuffs — Cutlery and table holloware — Part 3: Requirements for silver-plated table and decorative holloware▷ISO 8442-4:1997 Materials and articles in contact with foodstuffs — Cutlery and table holloware — Part 4: Requirements for gold plated cutlery▷ISO 8442-5:2004 Materials and articles in contact with foodstuffs — Cutlery and table holloware — Part 5: Specification for sharpness and edge retention test of cutlery▷ISO 8442-6:2000 Materials and articles in contact with foodstuffs — Cutlery and table holloware — Part 6: Lightly silver-plated table holloware protected by lacquer▷ISO 8442-7:2000 Materials and articles in contact with foodstuffs — Cutlery and table holloware — Part 7: Requirements for table cutlery made of silver, other precious metals and their alloys▷ISO 8442-8:2000 Materials and articles in contact with foodstuffs — Cutlery and table holloware — Part 8: Requirements for silver table and decorative holloware▷ISO 8442-9:2018 Materials and articles in contact with foodstuffs — Cutlery and table holloware — Part 9: Requirements for ceramic knives
-
▲ 영국 표준협회(British Standards Institution, BSI)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두고 있는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활동 중인 기술위원회(Technical Committeee, TC)는 TC 1~TC 323까지 구성돼 있다.기술위원회의 역할은 기술관리부가 승인한 작업범위 내 작업 프로그램 입안, 실행, 국제규격의 작성 등이다. 또한 산하 분과위원회(SC), 작업그룹(WG)을 통해 기타 ISO 기술위원회 또는 국제기관과 연계한다.ISO/IEC 기술작업 지침서 및 기술관리부 결정사항에 따른 ISO 국제규격안 작성·배포, 회원국의 의견 편집 등도 처리한다. 소속 분과위원회 및 작업그룹의 업무조정, 해당 기술위원회의 회의 준비도 담당한다.1947년 최초로 구성된 나사산에 대한 TC 1 기술위원회를 시작으로 순환경제를 표준화하기 위한 TC 323까지 각 TC 기술위원회의 의장, ISO 회원, 발행 표준 및 개발 표준 등에 대해 살펴볼 예정이다.이미 다룬 기술위원회와 구성 연도를 살펴 보면 △1947년 TC 1~TC 67 △1948년 TC 69 △1949년 TC 70~72 △1972년 TC 68 △1950년 TC 74 △1951년 TC 76 △1952년 TC 77 △1953년 TC 79, TC 81 △1955년 TC 82, TC 83 △1956년 TC 84, TC 85 △1957년 TC 86, TC 87, TC 89 △1958년 TC 91, TC 92 △1959년 TC 94 △1960년 TC 96, TC 98 △1961년 TC 101, TC 102, TC 104 등이다.또한 △1962년 TC 105~TC 107 △1963년 TC 108~TC 111 △1964년 TC 112~TC 115, TC 117 △1965년 TC 118 △1966년 TC 119~TC 122 △1967년 TC 123 △1968년 TC 126, TC 127 △1969년 TC 130~136 △1970년 TC 137, TC 138, TC 142, TC 145 △1971년 TC 146, TC 147, TC 148, TC 149, TC 150, TC 153 △1972년 TC 154 △1973년 TC 155 △1974년 TC 156~TC 161 △1975년 TC 162~TC 164 등도 포함된다.그리고 △1976년 TC 165, TC 166 △1977년 TC 167, TC 168, TC 170 △1978년 TC 171, TC 172, TC 173, TC 174 △1979년 TC 176, TC 178 △1980년 TC 180, TC 181 등이 있다.ISO/TC 182 지반공학(Geotechnics)과 관련된 기술위원회는 1981년 결성됐다. 사무국은 영국 표준협회(British Standards Institution, BSI)에서 맡고 있다.위원회는 디드레 푸리(Miss Deidre Fourie)가 책임지고 있으며 현재 의장은 존 파웰(Mr John Powell)이다. ISO 기술 프로그램 관리자는 안나 카테리나 로시(Dr Anna Caterina Rossi), ISO 편집 관리자는 앤 기엣(Ms Anne Guiet) 등으로 조사됐다.범위는 토양 및 암석의 (관련) 특성을 포함해 건축 및 토목 공학 분야의 지반 공학적 측면의 표준화다.현재 ISO/TC 182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발행된 표준은 58개며 ISO/TC 182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개발 중인 표준은 6개다. 참여하고 있는 회원은 25개국, 참관 회원은 31개국이다.□ ISO/TC 182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발행된 표준 58개 중 15개 목록▷ISO 14688-1:2017 Geotechnical investigation and testing — Identification and classification of soil — Part 1: Identification and description▷ISO 14688-2:2017 Geotechnical investigation and testing — Identification and classification of soil — Part 2: Principles for a classification▷ISO 14689:2017 Geotechnical investigation and testing — Identification, description and classification of rock▷ISO 17628:2015 Geotechnical investigation and testing — Geothermal testing — Determination of thermal conductivity of soil and rock using a borehole heat exchanger▷ISO 17892-1:2014 Geotechnical investigation and testing — Laboratory testing of soil — Part 1: Determination of water content▷ISO 17892-1:2014/Amd 1:2022 Geotechnical investigation and testing — Laboratory testing of soil — Part 1: Determination of water content — Amendment 1▷ISO 17892-2:2014 Geotechnical investigation and testing — Laboratory testing of soil — Part 2: Determination of bulk density▷ISO 17892-3:2015 Geotechnical investigation and testing — Laboratory testing of soil — Part 3: Determination of particle density▷ISO 17892-4:2016 Geotechnical investigation and testing — Laboratory testing of soil — Part 4: Determination of particle size distribution▷ISO 17892-5:2017 Geotechnical investigation and testing — Laboratory testing of soil — Part 5: Incremental loading oedometer test▷ISO 17892-6:2017 Geotechnical investigation and testing — Laboratory testing of soil — Part 6: Fall cone test▷ISO 17892-7:2017 Geotechnical investigation and testing — Laboratory testing of soil — Part 7: Unconfined compression test▷ISO 17892-8:2018 Geotechnical investigation and testing — Laboratory testing of soil — Part 8: Unconsolidated undrained triaxial test▷ISO 17892-9:2018 Geotechnical investigation and testing — Laboratory testing of soil — Part 9: Consolidated triaxial compression tests on water saturated soils▷ISO 17892-10:2018 Geotechnical investigation and testing — Laboratory testing of soil — Part 10: Direct shear tests□ ISO/TC 182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개발 중인 표준 6개 목록▷ISO/AWI 16383-1 Geotechnical investigation and testing — Laboratory testing of rock — Part 1: Determination of water content▷ISO/AWI 16383-2 Geotechnical investigation and testing — Laboratory testing of rock — Part 2: Determination of bulk density▷ISO/DIS 18674-7 Geotechnical investigation and testing — Geotechnical monitoring by field instrumentation — Part 7: Measurement of strains: Strain gauges▷ISO/AWI 18674-9 Geotechnical investigation and testing -Geotechnical monitoring by field instrumentation — Part 9: Measurement of displacements by geodetic means▷ISO 22476-16 Geotechnical investigation and testing — Field testing — Part 16: Borehole shear test▷ISO/WD 22477-6 Geotechnical investigation and testing — Testing of geotechnical structures — Part 6: Load testing of soil nails and rock bolts
-
▲ 중국 국가표준화관리위원회(国家标准化管理委员会, Standardization Administration of the P. R. C, SAC)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두고 있는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활동 중인 기술위원회(Technical Committeee, TC)는 TC 1~TC 323까지 구성돼 있다.기술위원회의 역할은 기술관리부가 승인한 작업범위 내 작업 프로그램 입안, 실행, 국제규격의 작성 등이다. 또한 산하 분과위원회(SC), 작업그룹(WG)을 통해 기타 ISO 기술위원회 또는 국제기관과 연계한다.ISO/IEC 기술작업 지침서 및 기술관리부 결정사항에 따른 ISO 국제규격안 작성·배포, 회원국의 의견 편집 등도 처리한다. 소속 분과위원회 및 작업그룹의 업무조정, 해당 기술위원회의 회의 준비도 담당한다.1947년 최초로 구성된 나사산에 대한 TC 1 기술위원회를 시작으로 순환경제를 표준화하기 위한 TC 323까지 각 TC 기술위원회의 의장, ISO 회원, 발행 표준 및 개발 표준 등에 대해 살펴볼 예정이다.이미 다룬 기술위원회와 구성 연도를 살펴 보면 △1947년 TC 1~TC 67 △1948년 TC 69 △1949년 TC 70~72 △1972년 TC 68 △1950년 TC 74 △1951년 TC 76 △1952년 TC 77 △1953년 TC 79, TC 81 △1955년 TC 82, TC 83 △1956년 TC 84, TC 85 △1957년 TC 86, TC 87, TC 89 △1958년 TC 91, TC 92 △1959년 TC 94 △1960년 TC 96, TC 98 △1961년 TC 101, TC 102, TC 104 등이다.△1962년 TC 105~TC 107 △1963년 TC 108~TC 111 △1964년 TC 112~TC 115, TC 117 △1965년 TC 118 △1966년 TC 119~TC 122 △1967년 TC 123 △1968년 TC 126, TC 127 △1969년 TC 130~136 △1970년 TC 137, TC 138, TC 142, TC 145 △1971년 TC 146, TC 147, TC 148, TC 149, TC 150, TC 153 △1972년 TC 154 △1973년 TC 155 등도 포함된다.ISO/TC 156 금속 및 합금의 부식(Corrosion of metals and alloys)과 관련된 기술위원회는 1974년 결성됐다. 사무국은 중국 국가표준화관리위원회(国家标准化管理委员会, Standardization Administration of the P. R. C, SAC)에서 맡고 있다.위원회는 호우 지에(Mrs Jie Hou)이 책임지고 있다. 현재 의장은 평 챠오(Mr Chao Feng)로 임기는 2025년까지다. ISO 기술 프로그램 관리자는 추 주안우(Ms Chuanyu Zou), ISO 편집 관리자는 엔 기엣(Ms Anne Guiet) 등으로 조사됐다.범위는 부식 테스트 방법, 부식 방지 방법 및 부식 제어 엔지니어링 수명주기를 포함한 금속 및 합금 부식 분야의 표준화다. ISO 내에서 이러한 분야의 활동에 대한 일반적인 조정자 역할도 수행한다.현재 ISO/TC 156 사무국과 관련해 발행된 표준은 118개며 직접적인 책임 하에 발행된 표준은 114개다. ISO/TC 156 사무국과 관련해 개발 중인 표준은 28개며 직접적인 책임하에 개발중인 표준은 26개다. 참여하고 있는 회원은 24개국, 참관 회원은 26개국이다.□ ISO/TC 156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발행된 표준 114개 중 15개 목록▷ISO 3079:2022 Two-electrode method using acetic acid to measure pitting potential of aluminium and aluminium alloys in chloride solutions▷ISO 3651-1:1998 Determination of resistance to intergranular corrosion of stainless steels — Part 1: Austenitic and ferritic-austenitic (duplex) stainless steels — Corrosion test in nitric acid medium by measurement of loss in mass (Huey test)▷ISO 3651-2:1998 Determination of resistance to intergranular corrosion of stainless steels — Part 2: Ferritic,austenitic and ferritic-austenitic (duplex) stainless steels — Corrosion test in media containing sulfuric acid▷ISO 3651-3:2017 Determination of resistance to intergranular corrosion of stainless steels — Part 3: Corrosion test for low-Cr ferritic stainless steels▷ISO 4212:2023 Corrosion of metals and alloys — Method of oxalic acid etching test for intergranular corrosion of austenitic stainless steel▷ISO 4215:2022 Corrosion of metals and alloys — Test method for high-temperature corrosion testing of metallic materials by thermogravimetry under isothermal or cyclic conditions▷ISO 4631:2023 Corrosion of metals and alloys — Measurement of the electrochemical critical localized corrosion potential (E-CLCP) for Ti alloys fabricated via additive manufacturing method in simulated biomedical solutions▷ISO 4680:2022 Corrosion of metals and alloys — Uniaxial constant-load test method for evaluating susceptibility of metals and alloys to stress corrosion cracking in high-purity water at high temperatures▷ISO 4905:2023 Corrosion of metals and alloys — Electrochemical test methods for high-temperature corrosion testing of metallic materials in molten salts▷ISO 5156:2022 Corrosion of metals and alloys — Corrosion test method for disinfectant — Total immersion method▷ISO 5668:2023 Corrosion of metals and alloys — Guidelines and requirements for corrosion testing in simulated environment of deep-sea water▷ISO 6509-1:2014 Corrosion of metals and alloys — Determination of dezincification resistance of copper alloys with zinc — Part 1: Test method▷ISO 6509-2:2017 Corrosion of metals and alloys — Determination of dezincification resistance of copper alloys with zinc — Part 2: Assessment criteria▷ISO 7384:1986 Corrosion tests in artificial atmosphere — General requirements▷ISO 7441:2015 Corrosion of metals and alloys — Determination of bimetallic corrosion in atmospheric exposure corrosion tests□ ISO/TC 156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개발 중인 표준 26개 중 15개 목록▷ISO/DIS 5929 Corrosion of Metals and Alloys — Test and evaluation method for the corrosion of steel bar embedded in concrete structure exposed to total corrosion zones in marine environments▷ISO/DIS 7054 Corrosion of metals and alloys — Wiping method for measurements of gases and particles on real structures and equipment▷ISO 7539-6:2018/DAmd 1 Corrosion of metals and alloys — Stress corrosion testing — Part 6: Preparation and use of precracked specimens for tests under constant load or constant displacement — Amendment 1▷ISO/DIS 8044 Corrosion of metals and alloys — Vocabulary▷ISO 8407:2021/CD Amd 1 Corrosion of metals and alloys — Removal of corrosion products from corrosion test specimens — Amendment 1▷ISO/TR 8547 Corrosion of metals and alloys — Exposure test results in the Asian Monsoon region▷ISO/AWI TR 8564 Corrosion of metals and alloys — Reference data for ISO16539 Method B▷ISO 9227:2022/DAmd 1 Corrosion tests in artificial atmospheres — Salt spray tests — Amendment 1: Footnote of warning▷ISO/CD 9350 Corrosion of Metals and Alloys — Testing method for corrosion resistance for hafnium in the hightemperature and pressure▷ISO/DIS 9351 Galvanic anodes for cathodic protection in seawater and saline sediments▷ISO/DIS 9812 Corrosion of metals and alloys — Corrosion test method for disinfectant — Spray test method▷ISO 10062:2022/DAmd 1 Corrosion tests in artificial atmosphere at very low concentrations of polluting gas(es) — Amendment 1: Footnote of warning▷ISO/CD TR 11303 Corrosion of metals and alloys — Guidelines for selection of protection methods against atmospheric corrosion▷ISO 11782-2:1998/DAmd 1 Corrosion of metals and alloys — Corrosion fatigue testing — Part 2: Crack propagation testing using precracked specimens — Amendment 1▷ISO/AWI 16364 Guidelines for Galvanic Corrosion Control□ ISO/TC 156 사무국 분과위원회(Subcommittee)의 책임 하에 발행 및 개발 중인 표준 현황▷ISO/TC 156/SC 1 Corrosion control engineering life cycle : 발행된 표준 4개, 개발 중인 표준 2개
-
▲ 이탈리아 표준화기구(Ente Italiano di Normazione, UNI) 홈페이지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두고 있는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활동 중인 기술위원회(Technical Committeee, TC)는 TC 1~TC 323까지 구성돼 있다.기술위원회의 역할은 기술관리부가 승인한 작업범위 내 작업 프로그램 입안, 실행, 국제규격의 작성 등이다. 또한 산하 분과위원회(SC), 작업그룹(WG)을 통해 기타 ISO 기술위원회 또는 국제기관과 연계한다.ISO/IEC 기술작업 지침서 및 기술관리부 결정사항에 따른 ISO 국제규격안 작성·배포, 회원국의 의견 편집 등도 처리한다. 소속 분과위원회 및 작업그룹의 업무조정, 해당 기술위원회의 회의 준비도 담당한다.1947년 최초로 구성된 나사산에 대한 TC 1 기술위원회를 시작으로 순환경제를 표준화하기 위한 TC 323까지 각 TC 기술위원회의 의장, ISO 회원, 발행 표준 및 개발 표준 등에 대해 살펴볼 예정이다.이미 다룬 기술위원회와 구성 연도를 살펴 보면 △1947년 TC 1~TC 67 △1948년 TC 69 △1949년 TC 70~72 △1972년 TC 68 △1950년 TC 74 △1951년 TC 76 △1952년 TC 77 △1953년 TC 79, TC 81 △1955년 TC 82, TC 83 △1956년 TC 84, TC 85 △1957년 TC 86, TC 87, TC 89 △1958년 TC 91, TC 92 등이다.△1959년 TC 94 △1960년 TC 96, TC 98 △1961년 TC 101, TC 102, TC 104, △1962년 TC 105~TC 107, △1963년 TC 108~TC 111, △1964년 TC 112~TC 115, TC 117, △1965년 TC 118, △1966년 TC 119~TC 122, △1967년 TC 123, △1968년 TC 126, TC 127, △1969년 TC 130~136 등도 포함된다.ISO/TC 142 공기 및 기타 가스 청소 장비(Cleaning equipment for air and other gases) 관련된 기술위원회는 TC 137, TC 138과 마찬가지로 1970년 결성됐다. 사무국은 이탈리아 표준화기구(Ente Italiano di Normazione, UNI)에서 맡고 있다.위원회는 안나 마르티노(Mrs Anna Martino)가 책임지고 있다. 현재 의장은 리카르도 로마노(Mr Riccardo Romanò)으로 임기는 2025년까지다.ISO 기술 프로그램 관리자는 블란딘 가르시아(Mme Blandine Garcia), ISO 편집 관리자는 앤 기엣(Ms Anne Guiet) 등으로 조사됐다.범위는 일반 환기 및 산업용 응용 분야의 공기 및 가스 청소, 소독 장비에 대한 용어, 분류, 특성, 테스트 및 성능 방법 분야의 표준화다.단, 다른 ISO 기술 위원회의 범위 내에 있는 모바일 장비의 가스 터빈 및 IC 엔진용 배기 가스 세정기는 제외한다. 또한 기술 위원회 ISO/TC 94 업무 분야인 개인 보호 장비용 필터, ISO/TC 22, 23 및 127이 적용되는 모바일 장비의 캐빈 필터 등도 표준화 범위에서 제외된다.현재 ISO/TC 142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발행된 표준은 27개며 ISO/TC 142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개발 중인 표준은 22개다. 참여하고 있는 회원은 23개국, 참관 회원은 20개국이다.□ ISO/TC 142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발행된 표준 27개 중 15개 목록▷ISO 10121-1:2014 Test method for assessing the performance of gas-phase air cleaning media and devices for general ventilation — Part 1: Gas-phase air cleaning media▷ISO 10121-2:2013 Test methods for assessing the performance of gas-phase air cleaning media and devices for general ventilation — Part 2: Gas-phase air cleaning devices (GPACD)▷ISO 10121-3:2022 Test methods for assessing the performance of gas-phase air cleaning media and devices for general ventilation — Part 3: Classification system for GPACDs applied to treatment of outdoor air▷ISO 15714:2019 Method of evaluating the UV dose to airborne microorganisms transiting in-duct ultraviolet germicidal irradiation devices▷ISO 15727:2020 UV-C devices — Measurement of the output of a UV-C lamp▷ISO 15858:2016 UV-C Devices — Safety information — Permissible human exposure▷ISO 15957:2015 Test dusts for evaluating air cleaning equipment▷ISO 16170:2016 In situ test methods for high efficiency filter systems in industrial facilities▷ISO 16890-1:2016 Air filters for general ventilation — Part 1: Technical specifications, requirements and classification system based upon particulate matter efficiency (ePM)▷ISO 16890-2:2022 Air filters for general ventilation — Part 2: Measurement of fractional efficiency and air flow resistance▷ISO 16890-3:2016 Air filters for general ventilation — Part 3: Determination of the gravimetric efficiency and the air flow resistance versus the mass of test dust captured▷ISO 16890-4:2022 Air filters for general ventilation — Part 4: Conditioning method to determine the minimum fractional test efficiency▷ISO 16891:2016 Test methods for evaluating degradation of characteristics of cleanable filter media▷ISO 21083-1:2018 Test method to measure the efficiency of air filtration media against spherical nanomaterials — Part 1: Size range from 20 nm to 500 nm▷ISO/TS 21083-2:2019 Test method to measure the efficiency of air filtration media against spherical nanomaterials — Part 2: Size range from 3 nm to 30 nm□ ISO/TC 114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개발 중인 표준 22개 중 15개 목록▷ISO/CD 5371 High efficiency filtration units in exhaust ventilation system of biosafety facilities▷ISO/AWI 10121-1 Test method for assessing the performance of gas-phase air cleaning media and devices for general ventilation — Part 1: Gas-phase air cleaning media▷ISO/AWI 10121-2 Test methods for assessing the performance of gas-phase air cleaning media and devices for general ventilation — Part 2: Gas-phase air cleaning devices (GPACD)▷ISO/CD 15858 UV-C Devices — Safety information — Permissible human exposure▷ISO/AWI 15957 Test dusts for evaluating air cleaning equipment▷ISO/DIS 16313-1 Laboratory test of dust collection systems utilizing porous filter media online cleaned using pulses of compressed gas — Part 1: Systems utilizing integrated fans▷ISO/AWI 16890-1 Air filters for general ventilation — Part 1: Technical specifications, requirements and classification system based upon particulate matter efficiency (ePM)▷ISO/DIS 16890-3 Air filters for general ventilation — Part 3: Determination of the gravimetric efficiency and the air flow resistance versus the mass of test dust captured▷ISO/AWI 17597 Test Method for Measuring in-duct AirborneMicroorganisms Inactivation Effectiveness (AMIE)▷ISO/FDIS 23137-1 Requirements for aerosol filters used in nuclear facilities against specified severe conditions — Part 1: General requirements▷ISO/DIS 23138 Biological equipment for treating air and other gases — Principles and classification▷ISO/DIS 23742 Test method for the evaluation of permeability and filtration efficiency distribution of bag filter medium▷ISO/FDIS 29461-3 Air intake filter systems for rotary machinery — Test methods — Part 3: Mechanical integrity of filter elements▷ISO/CD 29461-4 Air intake filter systems for rotary machinery — Part 4: Test methods for static filter systems in coastal and offshore environments▷ISO/DIS 29463-1 High efficiency filters and filter media for removing particles from air — Part 1: Classification, performance, testing and marking
-
▲ 디지털 ID 산업의 발전 전략 [출처=iNIS]미국 비지니스 분석 및 지능화 기업 블루크로모스매니지먼트(Blue Cromos Management AB)에 따르면 2023년 6월27일 '위조 물품 식별 및 인증을 위한 시스템과 방법(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nd authenticating counterfeiting articles)' 명칭의 미국 특허(US 11687642)가 등록됐다.본 등록 특허는 '디지털 지문을 사용해 위조품을 식별하고 인증하기 위한 시스템과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2019년 10월23일 출원됐다.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구비한 서버 및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메모리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모듈 세트를 저장한다. 모듈 세트는 디지털 이미지 획득 모듈, 비교 모듈 및 결정 모듈을 포함한다.디지털 이미지 획득 모듈은 하나 이상의 이미지로부터 물품의 아날로그 식별 표시를 추출하도록 구성된다. 비교 모듈은 아날로그 식별 표시를 물품의 실제 아날로그 식별 표시와 비교하도록 구성된다. 결정 모듈은 비교 결과에 기초해 물품의 진위를 검증한다.본 시스템은 서버와 통신하는 위조 방지 네트워크 검증 시스템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물품의 실제 아날로그 식별 표시를 무단 액세스 및 기타 잠재적 범죄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목적이다.
-
▲ 독일표준협회(Deutsches Institut für Normung, DIN) 홈페이지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두고 있는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활동 중인 기술위원회(Technical Committeee, TC)는 TC1~TC323까지 구성돼 있다.기술위원회의 역할은 기술관리부가 승인한 작업범위 내 작업 프로그램 입안, 실행, 국제규격의 작성 등이다. 또한 산하 분과위원회(SC), 작업그룹(WG)을 통해 기타 ISO 기술위원회 또는 국제기관과 연계한다.ISO/IEC 기술작업 지침서 및 기술관리부 결정사항에 따른 ISO 국제규격안 작성·배포, 회원국의 의견 편집 등도 처리한다. 소속 분과위원회 및 작업그룹의 업무조정, 해당 기술위원회의 회의 준비도 담당한다.1947년 최초로 구성된 나사산에 대한 TC1 기술위원회를 시작으로 순환경제를 표준화하기 위한 TC323까지 각 TC 기술위원회의 의장, ISO 회원, 발행 표준 및 개발 표준 등에 대해 살펴볼 예정이다.이미 다룬 기술위원회와 구성 연도를 살펴 보면 △1947년 TC1~TC67 △1948년 TC 69 △1949년 TC 70~72 △1972년 TC68 △1950년 TC74 △1951년 TC76 △1952년 TC77 △1953년 TC79, TC81 △1955년 TC82, TC83 △1956년 TC84, TC85 등이다.ISO/TC 89 목재 기반 패널(Wood-based panels)과 관련된 기술위원회는 ISO/TC 86 및 87과 마찬가지로 1957년 결성됐다. 사무국은 독일표준협회(Deutsches Institut für Normung, DIN)에서 맡고 있다.위원회는 홀츠비르트 베른트 트레프카우(Mr Dipl.-Holzwirt Bernd Trepkau)가 책임진다. 현재 의장은 하랄드 슈밥(Mr Dipl.-Ing Harald Schwab)로 임기는 2023년까지다.ISO 기술 프로그램 관리자는 샐리 스윙우드(Ms Sally Swingewood), ISO 편집 관리자는 빈센조 바추키(M Vincenzo Bazzucchi) 등으로 조사됐다.범위는 섬유판, 파티클 보드 및 목질계 재료(목재 또는 기타 재료에서 파생)를 기반으로 하는 합판과 같은 패널 분야의 표준화다. 용어, 분류, 치수, 테스트 방법, 품질 요구 사항 등도 표준화에 포함된다.현재 ISO/TC 89 사무국과 관련해 발행된 표준은 45개며 이중 직접적인 책임하에 발행된 표준은 21개다. ISO/TC 89 사무국과 관련해 개발 중인 표준은 3개며 이중 직접적인 책임하에 개발중인 표준은 2개다. 참여하고 있는 회원은 26명, 참관 회원은 36명이다.□ ISO/TC 89 사무국의 직접 책임 하에 발행된 표준 21개 중 15개 목록▲ISO 3340:1976 Fibre building boards — Determination of sand content▲ISO 9424:2003 Wood-based panels — Determination of dimensions of test pieces▲ISO 9426:2003 Wood-based panels — Determination of dimensions of panels▲ISO 9427:2003 Wood-based panels — Determination of density▲ISO 12460-1:2007 Wood-based panels — Determination of formaldehyde release — Part 1: Formaldehyde emission by the 1-cubic-metre chamber method▲ISO 12460-1:2007/Amd 1:2023 Wood-based panels — Determination of formaldehyde release — Part 1: Formaldehyde emission by the 1-cubic-metre chamber method — Amendment 1: Other analytical procedures▲ISO 12460-2:2018 Wood-based panels — Determination of formaldehyde release — Part 2: Small-scale chamber method▲ISO 12460-3:2020 Wood-based panels — Determination of formaldehyde release — Part 3: Gas analysis method▲ISO 12460-4:2016 Wood-based panels — Determination of formaldehyde release — Part 4: Desiccator method▲ISO 12460-5:2015 Wood-based panels — Determination of formaldehyde release — Part 5: Extraction method (called the perforator method)▲ISO 16978:2003 Wood-based panels — Determination of modulus of elasticity in bending and of bending strength▲ISO 16979:2003 Wood-based panels — Determination of moisture content▲ISO 16981:2003 Wood-based panels — Determination of surface soundness▲ISO 16983:2003 Wood-based panels — Determination of swelling in thickness after immersion in water▲ISO 16984:2003 Wood-based panels — Determination of tensile strength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panel□ ISO/TC 89 사무국의 직접 책임 하에 개발 중인 표준 2개 목록▲ISO/DIS 12460-2 Wood-based panels — Determination of formaldehyde release — Part 2: Small-scale chamber method▲ISO/FDIS 12460-3 Wood-based panels — Determination of formaldehyde release — Part 3: Gas analysis method□ ISO/TC 89 사무국의 소위원회(Subcommittee)의 책임하에 발행 및 개발 중인 표준 현황▲ISO/TC 89/SC 1 Fibre boards ; 발행된 표준 3개, 개발 중인 표준 0개▲ISO/TC 89/SC 2 Particle boards ; 발행된 표준 2개, 개발 중인 표준 0개▲ISO/TC 89/SC 3 Plywood ; 발행된 표준 19개, 개발 중인 표준 1개
-
▲ 독일표준협회(Deutsches Institut für Normung, DIN) 홈페이지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두고 있는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활동 중인 기술위원회(Technical Committeee, TC)는 TC1~TC323까지 구성돼 있다.기술위원회의 역할은 기술관리부가 승인한 작업범위 내 작업 프로그램 입안, 실행, 국제규격의 작성 등이다. 또한 산하 분과위원회(SC), 작업그룹(WG)을 통해 기타 ISO 기술위원회 또는 국제기관과 연계한다.ISO/IEC 기술작업 지침서 및 기술관리부 결정사항에 따른 ISO 국제규격안 작성·배포, 회원국의 의견 편집 등도 처리한다. 소속 분과위원회 및 작업그룹의 업무조정, 해당 기술위원회의 회의 준비도 담당한다.1947년 최초로 구성된 나사산에 대한 TC1 기술위원회를 시작으로 최근 순환경제를 표준화하기 위한 TC323까지 각 TC 기술위원회의 의장, ISO 회원, 발행 표준 및 개발 표준 등에 대해 살펴볼 예정이다.이미 다룬 기술위원회는 1947년 구성된 TC1~TC67, 1948년 구성된 TC 69, 1949년에 구성된 TC 70~72, 1972년 구성된 TC68, 1950년 구성된 TC74, 1951년 구성된 TC76, 1952년 구성된 TC77, 1953년에 구성된 TC79, TC81 등이다.ISO/TC 83 스포츠 및 기타 레크레이션 시설·장비(Sports and other recreational facilities and equipment)와 관련된 기술위원회는 TC82와 마찬가지로 1955년 결성됐다.사무국은 독일표준협회(Deutsches Institut für Normung, DIN)에서 맡고 있다. 위원회는 레티시아 데 안다 곤살레스(Mrs Dipl.-Kffr Leticia de Anda González)이 책임진다. 현재 의장은 마이클 하우스(Mr Michael Haus)로 임기는 2028년까지다.ISO 기술 프로그램 관리자는 샐리 스윙우드(Ms Sally Swingewood), ISO 편집 관리자는 이본 첸(Mrs Yvonne Chen) 등으로 조사됐다.범위는 전통적인 것을 포함한 물리적, e-스포츠를 포함한 가상 스포츠를 위한 관련 테스트 장비를 포함하는 테스트뿐만 아니라 용어, 치수, 허용 오차, 기능, 운영, 유지 관리, 훈련, 성능 및 안전 요구 사항의 표준화다.다음에 대한 표준의 개발 및 유지 관리는 포함된다. △스포츠 및 레크리에이션 시설 △레크리에이션 목적을 위한 장비를 포함한 장비로 로프 코스, 놀이터, 공기주입식 기구, 워터 슬라이드, 캠핑 텐트, 레크리에이션 트레일, 수상 레저 용품, 침낭, 아이스하키, 스노우 스포츠, 스포츠 장비 및 시설 등이 해당된다. 다만 ISO/TC 254 범위 내에서 국제표준이 적용되는 놀이기구 및 놀이 장치는 제외된다.현재 ISO/TC 83 사무국과 관련해 발행된 표준은 97개며 이 중 ISO/TC 83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개발된 표준은 35개다.ISO/TC 83 사무국과 관련해 개발 중인 표준은 21개며 이중 직접적인 책임 하에 개발 중인 표준은 14개다. 참여하고 있는 회원은 35명, 참관 회원은 18명이다.□ ISO/TC 83 사무국의 직접 책임 하에 발행된 표준 35개 중 15개 목록▲ISO 4980:2023 Benefit-risk assessment for sports and recreational facilities, activities and equipment▲ISO 5912:2020 Camping tents — Requirements and test methods▲ISO 7152:2023 Camping tents and caravan awnings — Vocabulary▲ISO 8936:2017 Awnings for leisure accommodation vehicles — Requirements and test methods▲ISO 11416:1995 Tennis rackets — Racket components and physical parameters▲ISO 19202-1:2017 Summer toboggan runs — Part 1: Safety requirements and test methods▲ISO 19202-2:2017 Summer toboggan runs — Part 2: Safety requirements for operation▲ISO/TR 20183:2015 Sports and other recreational facilities and equipment — Injury and safety definitions and thresholds — Guidelines for their inclusion in standards▲ISO 20187-1:2022 Inflatable play equipment — Part 1: Safety requirements and test methods▲ISO 20187-2:2022 Inflatable play equipment — Part 2: Additional safety requirements for inflatable bouncing pillows intended for permanent installation▲ISO 20187-3:2022 Inflatable play equipment — Part 3: Additional safety requirements and test methods for snappies▲ISO 20380:2017 Public swimming pools — Computer vision systems for the detection of drowning accidents in swimming pools — Safety requirements and test methods▲ISO 20957-1:2013 Stationary training equipment — Part 1: General safety requirements and test methods▲ISO 20957-2:2020 Stationary training equipment — Part 2: Strength training equipment, additional specific safety requirements and test methods▲ISO 20957-4:2016 Stationary training equipment — Part 4: Strength training benches, additional specific safety requirements and test methods□ ISO/TC 83 사무국의 직접 책임 하에 개발중인 표준 14개 목록▲ISO/AWI 20288 Public Swimming Pools — Systems recognizing involuntarily submersion of humans in managed aquatic facilities▲ISO/CD 20957-1 Stationary training equipment — Part 1: General safety requirements and test methods▲ISO/DIS 20957-2 Stationary training equipment — Part 2: Strength training equipment — Additional specific safety requirements and test methods▲ISO/DIS 20957-7 Stationary training equipment — Part 7: Rowing equipment — Additional specific safety requirements and test methods▲ISO 23537-2 Requirements for sleeping bags — Part 2: Fabric and material properties▲ISO/DTS 24665 Playground and recreational areas — Framework for the competence of playground inspectors and playground maintenance technicians▲ISO/TR 24666 Sports and recreational facilities — Probes for entrapment/entanglement on playground equipment — Collection of data▲ISO/DIS 25649-1 Floating leisure articles for use on and in the water — Part 1: Classification, materials, general requirements and test methods▲ISO/DIS 25649-2 Floating leisure articles for use on and in the water — Part 2: Consumer information▲ISO/DIS 25649-3 Floating leisure articles for use on and in the water — Part 3: Additional specific safety requirements and test methods for Class A devices▲ISO/DIS 25649-4 Floating leisure articles for use on and in the water — Part 4: Additional specific safety requirements and test methods for Class B devices▲ISO/DIS 25649-5 Floating leisure articles for use on and in the water — Part 5: Additional specific safety requirements and test methods for Class C devices▲ISO/DIS 25649-6 Floating leisure articles for use on and in the water — Part 6: Additional specific safety requirements and test methods for Class D devices▲ISO/DIS 25649-7 Floating leisure articles for use on and in the water — Part 7: Additional specific safety requirements and test methods for Class E devices□ ISO/TC 83 사무국의 소위원회(Subcommittee)의 책임하에 발행 및 개발 중인 표준 현황▲ISO/TC 83/SC 4 Snowsports equipment ; 발행된 표준 47개, 개발 중인 표준 2개▲ISO/TC 83/SC 5 Ice hockey equipment and facilities ; 발행된 표준 5개, 개발 중인 표준 5개▲ISO/TC 83/SC 6 Martial arts ; 발행된 표준 10개, 개발 중인 표준 0개
1
2
3
4
5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