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6
" UAS"으로 검색하여,
59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지난 6월 1주차 싱가포르 경제는 정보통신미디어개발청(IMDA)가 공공의료기관을 위한 클라우드 기반 플랫폼 Helix와 양자기술에 약 S$ 3억 달러를 지원할 계획이다. 컨테이너 운송 그룹인 엑스프레스피더스(X-Press Feeder)는 서부 투아스(Tuas)항에서 최초로 동시 메탄올 벙커링과 화물작업(SIMOPS)를 수행했다.해운·항만 조사분석기관 라이너리티카(Linerlytica)에 따르면 현재 싱가포르에서는 선박과 컨테이너 부족 및 심각한 항만 혼잡 현상이 문제점으로 꼽힌다.○ AI 검증 재단(AIVF), AI 검증 프로젝트 문샷(Moonshot) 출시... 애플리케이션 안전 및 보안 관리에 초점 맞춰 시장 확대 추진○ 정보통신미디어개발청(IMDA), 공공의료기관을 위한 클라우드 기반 플랫폼 Helix와 양자기술에 약 S$ 3억 달러 지원할 계획... 친환경 데이터 센터를 구축해 시장 수요 충족 방침○ 컨테이너 운송그룹인 엑스프레스피더스(X-Press Feeder), 서부 투아스(Tuas) 항에서 동시 메탄올 벙커링과 화물 작업(SIMOPS) 최초 수행... OCI 글로벌의 바이오메탄올 사용해○ 해운·항만 조사분석기관 라이너리티카(Linerlytica), 컨테이너(TEU) 최대 45만 대 대기열 위치... 선박과 컨테이너 부족 및 심각한 항만 혼잡 현상○ 구직 플랫폼 인디드(Indeed), 국내 채용 공고 190개 중 1개가 생성형 인공지능(AI)과 관련돼 3개월 동안 거의 2배로 증가... 일자리시장에서의 생성형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과 투자 증대○ OCBC 은행, 홍콩과 마카오에 HK$ 15억 달러 투자...디지털 플랫폼 기술과 사무실 개선을 위한 목적○ 미국 햄버거 체인점 인앤아웃 버거(In-N-Out Burger), 5월31일 싱가포르에서 1일 팝업스토어 개최... 현지에서의 4번째 팝업 스토어○ 이사회 다양성 위원회(Council for Board Diversity), 지난해 싱가포르 거래소(SGX) 상장한 기업 상위 100개 중 여성 이사회 비중 23.7%로 2013년 7.5% 대비 3배 이상 증가... 전 세계 평균 23.3%보다 약간 높아져
-
[싱가포르] 컨테이너 운송그룹인 엑스프레스피더스(X-Press Feeder), 서부 투아스(Tuas) 항에서 동시 메탄올 벙커링과 화물 작업(SIMOPS) 최초 수행... OCI 글로벌의 바이오메탄올 사용해[싱가포르] 해운·항만 조사분석기관 라이너리티카(Linerlytica), 컨테이너(TEU) 최대 45만 대 대기열 위치... 선박과 컨테이너 부족 및 심각한 항만 혼잡 현상[필리핀] 중앙은행(BSP), 등록되어 있지만 근무하지 않는 유령 직원 이슈 조사 중... 금융통화운영위원회 정상적으로 기능할 것[필리핀] 덴마크 통합 물류사 머스크(Maersk), 수도 마닐라에서 여성의 날 축하 행사... 업계 여성의 귀중한 기여 강조[인도] 항공사 스파이스제트(Spicejet), 대한항공사(KAL)과 소유주 칼라니티 마란(Kalanithi Maran)으로부터 손해배상 1억 3230천만루피 청구받음[인도] 다국적기업 릴라이언스 인더스트리(RELI.NS), 러시아 정유사 로스네프트(Rosneft)와 월 최소 300만 배럴 루블화로 구매하기로 1년 계약 체결[인도] 철도케이터링관광고사(IRCTC), 2023 회계연도 4분기 결과 영업 통합 수익 11억5500만 루피... 작년 동기간 대비 19.7% 증가[말레이시아] 유틸리티 회사인 YTL 파워 인터네셔널(YTL Power International Bhd), 란힐사(Ranhill Utillities) 주식 4억5000만2000링깃에 매입[인도네시아] 국영석유회사 페타미나(PT Pertamina), 올해 6월 1일부터 3kg LPG 구매하려면 주민등록증 필요...보조금 받을 수 있는 LPG분배 4.4% 증가할 것... 2025년 보조금 연료 소비 증가[방글라데시] 철도부(BR), 6월2일부터 온라인 티켓 예매 실시... 7월17일부터 시작되는 이슬람 휴가 이드 알아드하(Eid al-Adha) 대비
-
▲ ISO-IEC JTC 1_N16653_Approved Resolutions of the 13 -17 November 2023 JTC 1 Plenary in Berlin, Germany [출처 = ISO]2023년 11월21일 ISO/IEC 공동기술위원회 산하 분과위원회 SC 17은 'ISO-IEC JTC 1_N16653_Approved Resolutions of the 13 -17 November 2023 JTC 1 Plenary in Berlin, Germany' 관련된 문서를 배포했다.ISO/IEC JTC 1/SC 17 카드 및 개인 식별을 위한 보안장치(Cards and security devices for personal identification)는 국제표준화기구(ISO와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의 공동 기술 위원회(JTC) ISO/IEC JTC 1의 표준화 분과위원회다.ISO/IEC JTC 1/SC 17의 국제사무국은 영국에 위치한 영국표준협회(BSI)이며 신분증 및 개인 식별 분야 표준을 개발하고 촉진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배포된 문서인 'ISO-IEC JTC 1_N16653_Approved Resolutions of the 13 -17 November 2023 JTC 1 Plenary in Berlin, Germany'는 2023년 11월13~17일 독일 베를린에서 JTC 1 총회 결의안에 대한 승인과 관련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이 문서는 18개의 결의안과 조치항목 등으로 구성돼 있으며 △결의안 1은 JTC 1 전략적 사업 계획 △결의안 2는 자문 그룹 15(JTC 1/AG 15), JTC 1 표준 및 규정 재구성 등이 포함돼 있다.또한 △결의안 3는 무인 항공기 시스템(UAS)에 대한 ISO/TC 20/SC 16과의 조정에 관한 JTC 1 자문그룹 19(JTC 1/AG 19)의 재구성 및 위임 조건을 나타낸다. - 이하 생략 -
-
2023-09-26▲ 미국국립표준협회(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ANSI) 홈페이지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두고 있는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활동 중인 기술위원회(Technical Committeee, TC)는 TC1~TC323까지 구성돼 있다.기술위원회의 역할은 기술관리부가 승인한 작업범위 내 작업 프로그램 입안, 실행, 국제규격의 작성 등이다. 또한 산하 분과위원회(SC), 작업그룹(Working Group, WG)을 통해 기타 ISO 기술위원회 또는 국제기관과 연계한다.ISO/IEC 기술작업 지침서 및 기술관리부 결정사항에 따른 ISO 국제규격안 작성·배포, 회원국의 의견 편집 등을 처리한다. 소속 분과위원회 및 작업그룹의 업무조정, 해당 기술위원회의 회의 준비도 담당한다.또한 국제전기기술위원회(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IEC)는 전기 및 전자 제품의 고품질 인프라와 국제 무역을 뒷받침하는 글로벌 비영리 회원 조직이다. 기술 혁신, 저렴한 인프라 개발, 효율적이고 지속 가능한 에너지 접근, 스마트 도시화 및 교통 시스템, 기후 변화 완화를 촉진하고 사람과 환경의 안전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170개 이상의 국가를 통합하고 전 세계 2만명의 전문가에게 글로벌하고 중립적이며 독립적인 표준화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다. 장치, 시스템, 설치, 서비스 및 인력이 필요에 따라 작동함을 구성원이 인증하는 4가지 적합성 평가 시스템을 관리한다.적합성 평가와 함께 정부가 국가 품질 인프라를 구축하고 모든 규모의 기업이 전 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 일관되게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제품을 사고 팔 수 있도록 하는 기술 프레임워크를 제공하는 약 1만개의 IEC 국제표준을 발행하고 있다.이러한 ISO와 IEC가 공동으로 구성한 기술위원회 ISO/IEC JTC 1 정보 기술(Information technology)에 대해 살펴볼 예정이다.JTC 1은 1987년에 결성됐으며 사무국은 미국국립표준협회(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ANSI)에서 맡고 있다. 위원회는 리사 라지첼(Mrs Lisa Rajchel)가 책임지고 있다. 현재 의장은 필 웬블롬(Mr Phil Wennblom)으로 임기는 202년까지다.ISO 기술 프로그램 관리자는 앤드류 드라이든(Mr Andrew Dryden), 스티븐 더트널(Mr Stephen Dutnall), ISO 편집 관리자는 앨리슨 레이드 자몬드(Ms Alison Reid-Jamond) 등으로 조사됐다. 범위는 정보기술 분야의 표준화다.현재 ISO/IEC JTC 1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발행된 표준은 517개며 직접적인 책임 하에 개발중인 표준은 23개다. 참여하고 있는 회원은 40개국, 참관 회원은 62개국이다. ISO/IEC JTC 1 사무국 산하에서 활동중인 분과위원회와 실무위원회를 살며보면 아래와 같다.□ ISO/IEC JTC 1 사무국 산하 활동중인 분과위원회(Subcommittee) 및 실무위원회▷ISO/IEC JTC 1/SC 2 Coded character sets Subcommittee▷ISO/IEC JTC 1/SC 6 Tele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systems Subcommittee▷ISO/IEC JTC 1/SC 7 Software and systems engineering Subcommittee▷ISO/IEC JTC 1/SC 17 Cards and security devices for personal identification Subcommittee▷ISO/IEC JTC 1/SC 22 Programming languages, their environments and system software interfaces Subcommittee▷ISO/IEC JTC 1/SC 23 Digitally recorded media for information interchange and storage Subcommittee▷ISO/IEC JTC 1/SC 24 Computer graphics, image processing and environmental data representation Subcommittee▷ISO/IEC JTC 1/SC 25 Interconnec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equipment Subcommittee▷ISO/IEC JTC 1/SC 27 Information security, cybersecurity and privacy protection Subcommittee▷ISO/IEC JTC 1/SC 28 Office equipment Subcommittee▷ISO/IEC JTC 1/SC 29 Coding of audio, picture, multimedia and hypermedia information Subcommittee▷ISO/IEC JTC 1/SC 31 Automatic identification and data capture techniques Subcommittee▷ISO/IEC JTC 1/SC 32 Data management and interchange Subcommittee▷ISO/IEC JTC 1/SC 34 Document description and processing languages Subcommittee▷ISO/IEC JTC 1/SC 35 User interfaces Subcommittee▷ISO/IEC JTC 1/SC 36 Information technology for learning, education and training Subcommittee▷ISO/IEC JTC 1/SC 37 Biometrics Subcommittee▷ISO/IEC JTC 1/SC 38 Cloud computing and distributed platforms Subcommittee▷ISO/IEC JTC 1/SC 39 Sustainability, IT and data centres Subcommittee▷ISO/IEC JTC 1/SC 40 IT service management and IT governance Subcommittee▷ISO/IEC JTC 1/SC 41 Internet of things and digital twin Subcommittee▷ISO/IEC JTC 1/SC 42 Artificial intelligence Subcommittee▷ISO/IEC JTC 1/SC 43 Brain-computer interfaces Subcommittee▷ISO/IEC JTC 1/AG 1 Advisory Group on Communications Working group▷ISO/IEC JTC 1/AG 2 Advisory Group on JTC 1 Emerging Technology and Innovation (JETI) Working group▷ISO/IEC JTC 1/AG 14 Systems Integration Facilitation (SIF) Working group▷ISO/IEC JTC 1/AG 15 Standards and Regulations Working group▷ISO/IEC JTC 1/AG 19 Coordination with ISO TC 20/SC 16 on Unmanned Aircraft Systems (UAS) Working group▷ISO/IEC JTC 1/AG 20 Coordination with ISO/TC 268/SC 1 on Smart Community Infrastructures Working group▷ISO/IEC JTC 1/AG 21 JTC1 strategic direction Working group▷ISO/IEC JTC 1/AHG 4 Collaboration across domains Working group▷ISO/IEC JTC 1/AHG 5 JTC 1 Standards Made Freely Available Working group▷ISO/IEC JTC 1/AHG 7 Supplement alignment Working group▷ISO/IEC JTC 1/JAG JTC 1 Advisory Group Working group▷ISO/IEC JTC 1/WG 11 Smart cities Working group▷ISO/IEC JTC 1/WG 12 3D Printing and scanning Working group▷ISO/IEC JTC 1/WG 13 Trustworthiness Working group▷ISO/IEC JTC 1/WG 14 Quantum information technology Working group▷ISO/IEC JTC 1/WG 15 JTC1 vocabulary Working group□ 참고로 다른 기술위원회의 책임 하에 공동 작업 중인 그룹▷ISO/TC 204/JWG 1 Joint ISO/TC 204 - ISO/IEC JTC1 WG: City data model transportation planning
-
▲ 디지털 ID 산업의 발전 전략 [출처=iNIS]디지털 ID(Digital Identity) 분야에서 상호운용(interoperable)이 가능하고 안전한 서비스 보장을 위한 표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다양한 표준 조직 및 산업 기관이 활동하는 이유다.디지털 ID 표준을 개발하는 곳은 유럽표준화기구(European Standardisation Organistions), 국제표준화기구(International Standardisation Organisation, SDOs), 상업 포럼 및 컨소시엄, 국가기관 등 다양하다.국제표준(international standard, IS)은 많은 국가 전문가들의 합의에 의해 개발된 문서다. 이렇게 개발된 문서는 전 세계적으로 공인된 국제표준화기구(International Standardisation Organisations, SDOs) 중 하나에 의해 승인 및 발행된다. 전 세계적으로 공인된 국제표준화기구(SDOs)는 세계표준화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국제전기기술위원회(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IEC), 국제전기통신연합(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Union, ITU)등이 있다.이중 대부분의 국제 디지털 ID와 관련된 활동은 ISO/IEC JTC1, 정보보안(Information Security) 내에서 이뤄지고 있다.관련 관련 분과위원회인 △ISO/IEC JTC1/SC 6 △ISO/IEC JTC1/SC 17 △ISO/IEC JTC1/SC 27 △ISO/IEC JTC1/SC 31 및 연구범위 내에 있는 ISO TC 307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ISO/IEC JTC1/SC 6, 시스템 간 통신 및 정보교환(Tele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systems)과 관련된 실무그룹(Working Group, WG)는 자문그룹(AG) 4개, WG 3개 등이다.▷ISO/IEC JTC 1/SC 6/AG 1 Wearable devices▷ISO/IEC JTC 1/SC 6/AG 2 Concepts and terminology▷ISO/IEC JTC 1/SC 6/AG 3 Systematic review process▷ISO/IEC JTC 1/SC 6/AG 4 MCS innovation▷ISO/IEC JTC 1/SC 6/WG 1 Physical and data link layers▷ISO/IEC JTC 1/SC 6/WG 7 Network, transport and future network▷ISO/IEC JTC 1/SC 6/WG 10 Directory, ASN.1 and RegistrationISO/IEC JTC1/SC 17, 개인식별을 위한 카드 및 보안장치(Cards and security devices for personal identification)과 관련된 실무그룹은 자문그룹 2개, 의장 자문그룹(CAG)1개, 워킹그룹(WG) 7개다.▷ISO/IEC JTC 1/SC 17/AG 1 Registration Management Group (RMG)▷ISO/IEC JTC 1/SC 17/AG 3 Digital wallets▷ISO/IEC JTC 1/SC 17/CAG 1 Chair's Advisory Group▷ISO/IEC JTC 1/SC 17/WG 1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test methods for ID-cards▷ISO/IEC JTC 1/SC 17/WG 3 Traveller identification▷ISO/IEC JTC 1/SC 17/WG 4 Generic interfaces and protocols for security devices▷ISO/IEC JTC 1/SC 17/WG 8 Integrated circuit cards without contacts▷ISO/IEC JTC 1/SC 17/WG 10 Motor vehicle driver licence and related documents▷ISO/IEC JTC 1/SC 17/WG 11 Application of biometrics to cards and personal identification▷ISO/IEC JTC 1/SC 17/WG 12 UAS License and Drone/UAS Security ModuleISO/IEC JTC1/SC 27, 정보 보안, 사이버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Information security, cybersecurity and privacy protection)와 관련된 실무그룹은 자문그룹 5개, 특별그룹(Ad-hoc group, AHG) 3개, 의장 자문그룹(CAG) 1개, 공동작업반(JWG) 1개, 워킹그룹(WG) 5개 등이다.▷ISO/IEC JTC 1/SC 27/AG 2 Trustworthiness Working group▷ISO/IEC JTC 1/SC 27/AG 5 Strategy Working group▷ISO/IEC JTC 1/SC 27/AG 6 Operations Working group▷ISO/IEC JTC 1/SC 27/AG 7 Communication and Outreach (AG-CO) Working group▷ISO/IEC JTC 1/SC 27/AG 8 Advisory Group on Conformity Assessment Working group▷ISO/IEC JTC 1/SC 27/AHG 1 Resolution Drafting Working group▷ISO/IEC JTC 1/SC 27/AHG 2 Security and privacy in IoT and Digital Twin Working group▷ISO/IEC JTC 1/SC 27/AHG 3 Security and privacy in AI and Big Data (BD) Working group▷ISO/IEC JTC 1/SC 27/CAG Chair’s Advisory Group Working group▷ISO/IEC JTC 1/SC 27/JWG 6 Joint ISO/IEC JTC1/SC 27 - ISO/TC 22/SC 32 WG : Cybersecurity requirements and evaluation activities for connected vehicle devices Working group▷ISO/IEC JTC 1/SC 27/WG 1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s Working group▷ISO/IEC JTC 1/SC 27/WG 2 Cryptography and security mechanisms Working group▷ISO/IEC JTC 1/SC 27/WG 3 Security evaluation, testing and specification Working group▷ISO/IEC JTC 1/SC 27/WG 4 Security controls and services Working group▷ISO/IEC JTC 1/SC 27/WG 5 Identity management and privacy technologies Working groupISO/IEC JTC1/SC 31, 자동 식별 및 데이터 캡처 기술(Automatic identification and data capture techniques)과 관련된 실무그룹은 워킹그룹 4개가 있다.▷ISO/IEC JTC 1/SC 31/WG 1 Data carrier Working group▷ISO/IEC JTC 1/SC 31/WG 2 Data and structure Working group▷ISO/IEC JTC 1/SC 31/WG 4 Radio communications Working group▷ISO/IEC JTC 1/SC 31/WG 8 Application of AIDC standards Working groupISO TC 307(ISO Technical Committee 307)은 블록체인 기술 및 분산 원장 기술(Blockchain and distributed ledger technologies) 관련 실무그룹은 자문그룹(AG) 3개, 특별그룹(Ad-hoc group, AHG) 1개, 의장 자문그룹(CAG) 1개, 공동작업반(JWG) 1개, 워킹그룹(WG) 6개 등으로 구성돼 있다.▷ISO/TC 307/AG 1 SBP Review Advisory Group▷ISO/TC 307/AG 2 Liaison Advisory Group▷ISO/TC 307/AG 3 Digital currencies▷ISO/TC 307/AHG 4 DLT and carbon markets▷ISO/TC 307/CAG 1 Convenors coordination group▷ISO/TC 307/JWG 4 Joint ISO/TC 307 - ISO/IEC JTC 1/SC 27 WG: Security, privacy and identity for Blockchain and DLT▷ISO/TC 307/WG 1 Foundations▷ISO/TC 307/WG 3 Smart contracts and their applications▷ISO/TC 307/WG 5 Governance▷ISO/TC 307/WG 6 Use cases▷ISO/TC 307/WG 7 Interoperability▷ISO/TC 307/WG 8 Non-Fungible Tokens이외에도 다른 위원회 책임 하에 있는 공동 실무그룹은 ISO/TC 46/SC 11/JWG 1Joint ISO/TC 46/SC 11 - ISO/TC 307 WG: Blockchain이다.
-
▲ 드론 솔루션 제공업체 스프라이트(Spright) [출처=홈페이지]미국 글로벌 드론 솔루션 제공업체인 스프라이트(Spright)는 자사 정보 보안 경영 시스템(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 ISMS)에 대한 ISO 27001:2013 인증을 획득했다고 밝혔다.ISO 인증은 스프라이트의 내·외부 시스템 전반에 걸쳐 정보 보안 및 데이터 개인 정보보호에 대한 변함없는 노력을 인정한 것이다.ISO 27001:2013 인증은 정보의 기밀성, 무결성, 가용성을 보호하기 위해 효과적인 ISMS를 구현하기 위한 모범 사례를 설명하며 국제적으로 인정된 표준이다.따라서 최고 수준의 보안 및 위험 관리 표준을 충족하는 포괄적인 정보 보안 경영 시스템(ISMS)을 구현했음을 의미한다.ISO 27001:2013 인증을 획득하기 위해 독립 감사를 포함해 엄격한 평가 프로세스를 거쳤다. 정보 보안 정책, 절차, 통제 및 위험 관리, 사고 관리 관행 등을 평가했다.스프라이트는 애리조나주 길버트에 본사를 두고 있다. 의료 배송 및 공중 유틸리티 검사에서 혁신을 일으킨 무인항공 시스템(unmanned aerial systems, UAS) 서비스 솔루션을 턴키(일괄수주)방식으로 제공한다.획기적인 기술과 혁신적인 서비스 모델을 적용하고 있는 스프라이트는 효율적이고 지속 가능한 드론 기반 솔루션을 제공해 매일 비효율적인 지상 운영 문제를 극복하고 있다.
-
▲ 에쿠아센스(EQUASENS Group)의 홍보자료[출처=홈페이지]프랑스 의료기업인 에쿠아센스(EQUASENS Group)에 따르면 정보 보안 관리 국제 표준 ISO 27001 및 건강 데이터 호스팅(HDS) 인증을 획득했다. ISO 27001은 조직의 전반적인 비즈니스 위험과 정보 자산을 보호하고 이해 관계자에 대한 신뢰를 향상시킨다. 이번 국제 표준 인증은 에쿠아센스 자회사인 판다랩(PANDALAB)이 표준화 인증 기관인 AFNOR(Association Française de Normalisation)으로부터 획득했다.판다랩은 의료 전문가, 조직 및 환자를 위한 포괄적인 서비스를 기반으로 의료 제공자 간의 정보 교환을 촉진하는 개방형 플랫폼인 판다랩 프로(pandaLAB Pro)를 제공한다.개발된 솔루션은 1만9194개 의료 전문 사용자 계정인 의사, 약사, 간호사, 행정 직원, 물리 치료사를 기반으로 한다. 또한 의료 운영자에는 사설 클리닉, 공립병원, 암 센터, 가정 의료 제공자, 재택 병원 프로그램이 모두 포함된다.프로그램을 통해 "PRIVATE TEAM" 모델을 마케팅하며 사설 생태계를 계속 확장할 방침이다. 특히 지역 건강 전문가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이미 187개 사설팀이 모델을 채택했다. 이번 국제 표준 인증은 고객 데이터에 대한 최고 수준의 개발 품질, 기밀성 및 보안을 제공하는 판다랩의 이정표로 평가된다.
-
▲ 팬더랩(PANDALAB)의 홍보자료[출처=팬더랩 홈페이지]프랑스 헬스케어 기업인 팬더랩(PANDALAB)에 따르면 국제표준 ISO 27001(정보 보안 관리) 및 HDS(건강 데이터 호스팅) 인증을 획득했다.팬더랩은 Equasens Group의 자회사로 pandaLAB Pro의 건강 애플리케이션 제공, 관리 및 운영을 위한 데이터 서비스 호스팅 제공업체이다.특히 팬더랩은 의료 전문가, 조직 및 환자를 위한 포괄적인 서비스를 기반으로 의료 제공자 간의 정보 교환 및 개선된 조정을 촉진하는 개방형 생태계를 구축했다.팬더랩의 솔루션은 1만9194개의 의료 전문 사용자 계정을 확보하고 있다. 의료 전문 사용자는 의사, 약사, 간호사, 행정 직원, 물리 치료사 등을 포함한다. 프랑스 표준화 기관인 AFNOR의 감사를 통해 인증을 획득했다.인증 획득은 고객 데이터에 대한 최고 수준의 개발 품질, 기밀성 및 보안을 제공하려는 팬더랩의 새로운 이정표로 평가된다. 특히 디지털 헬스 게이트웨이의 관리 조정을 개선하기 위한 팬더랩의 필수 전략의 일환으로 분석된다.ISO 27001 및 HDS 인증 획득을 통해 팬더랩은 이-헬스(e-health) 시장에서 핵심 플레이어가 되려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
2022-02-22글로벌 기업들의 특허를 경영에 활용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시장은 미국이다. 독점적 권리를 부여하는 특허권이 미국에서 가장 강력하게 보호되고 있기 때문이다.또한 미국의 법원은 특허권의 침해 또는 위반 시에 가장 많은 손해배상액을 인정한다. 아래에 제시된 사례는 벤틀리 모터스(Bentley Motors)와 재규어 랜드 로버(Jaguar Land Rover) 사이의 특허 분쟁이다.국문 요약:벤틀리 모터스는 2016년 재규어 랜드 로버 레인지 로버(Range Rover) 모델과 직접 경쟁하는 최초의 SUV인 Bentayga를 출시했다. 재규어 랜드 로버의 Bentayga 모델에는 지형 반응(Terrain Response) 기술이 장착됐다. 반면에 벤틀리의 Bentayga 모델에는 Drive Dynamic 시스템이 구비돼 있다. 재규어 랜드 로버는 밴틀리 모터스가 재규어 랜드 로버의 지형 반응 기술을 사용했다며 미국 버지니아 동부 지방법원에 특허소송을 제기했다.이와 같은 차량 제어 특허에 대해, 법원은 재규어 특허가 단순 요약이 아니라 차량의 하부시스템을 물리적으로 변형하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다는 점을 수용했다.특히 재규어 랜드 로버는 출원한 특허에서의 효율을 향상하는데 집중했다. 버지니아 동부 지방법원은 벤틀리 모터스의 반박이 설득적이지 않다는 결정을 내렸다. 영문요약: Vehicle Control PatentBentley Motors v. Jaguar Land Rover (ED VA 2019)History:•Patent at issue is related to electronically controlling the vehicle’s subsystems such as engine, brakes, etc. to operate in a manner suitable for driving on a off-road surface.•Bentley filed a motion to dismiss, arguing that Jaguar’s patent merely claimed computerization of what drivers already do (i.e. slowdown when going downhill).Holding:•Eastern District of Virginia held that Jaguar’s patent is not abstract and teaches physically changing the vehicle’s subsystems (i.e. changes in the height of the vehicle, wheel spin, speed controls, etc.).•The court concluded that the patent is directed to improvements in computer functionality and providing concrete physical means.•The court focused on Jaguar patent’s improvement on efficiency and deemed Bentley’s argument unpersuasive.▲ 벤틀리 모터스(Bentley Motors) 홈페이지
-
2021-12-30스페인 발렌시아시(city of Valencia)에 따르면 발렌시아 폴리텍대(UPV, Universitat Politècnica de Valencia)와 무인 항공기 고속도로를 구축할 계획이다.드론 고속도로는 초기 의약품 배달과 같은 서비스에 활용된다. 향후에는 에어택시와 같은 여객 수송을 위해 운용할 방침이다.또한 시 관계자와 스페인 영공을 관리하는 이네어(Enaire)는 드론 항로와 국가 그리드간 통합을 위한 의정서에 사인했다. 기존 항공기와 드론, 기타 도심항공교통(UAM) 항공기 등이 포함된다.의료 및 물품 배달과 같은 초기 계획된 운영은 완전한 영공 규제 검토없이 서비스가 시행된다. 향후 여객 수송용 항공기 운항으로 확장할 계획이다.신규 드론 고속도로는 발렌시아시가 자체 운영을 하며 주변 지역 기존 회랑 3곳과 함께 운영된다. 발렌시아시 서쪽 시에테 아구아스(Siete Aguas) 비행장의 테스트 시설과 북쪽 카스텔로(Castello) 대형 비행장, 알리칸테(Alicante) 인근 남쪽 뮤트사멜(Mutxamel) 공항과 연결된다.새로운 드론 고속도로는 발렌시아시 자체 내부에서 시작되며 이들로부터 분기되는 2차 회랑은 시험 중에 있다. 향후 2023년~2025년 사이 완공해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할 계획이다.따라서 스페인에서 운용되는 모든 드론은 2023년 1월까지 영공을 관리하기 위해 지정된 시스템에 드론의 위치와 경로를 전송해야 된다.▲ 발렌시아 폴리텍대(UPV, Universitat Politècnica de Valencia) 홈페이지
1
2
3
4
5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