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4
" NSL"으로 검색하여,
237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인도네시아 조코 위도도 대통령이 바탕 통합산업단지 개장식에 참석했다[출처=인도네시아 국가 사무처 홈페이지]2024년 7월 동남아시아 건설업 주요동향은 필리핀 민다나오 지역의 교각 프로젝트 및 루손섬 파이프라인 건설, 한국 LG에너지솔루션과 KCC글라스가 참여하는 인도네시아 자바의 공업단지를 포함한다.○ 싱가포르 노동부는 지난 10년 동안 발생한 크레인트럭 사고 중 63%가 안정성 제어 시스템이 있었더라면 예방이 가능했을 것이라고 밝혔다.초기 투자비용과 시간을 고려하더라도 시스템이 있는 경우가 장기적으로 유리하다. 2025년부터 안전한 리프팅 구역 내에서 크레인 트럭의 동작을 계산하고 제한하는 시스템을 의무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조치한다.○ 말레이시아 인프라 기업 YTL코퍼레이션(YTL Corp)의 계열사 YTL 시멘트(YTL Cement)는 싱가포르 상장기업 NSL의 지분 81.34%을 매수한다.S$ 2억2761만 달러를 현금으로 매수해 자사의 산업화된 건물 시스템(Industrialised Building System, IBS) 사업을 국내부터 두바이·핀란드·싱가포르까지 확장하고자 한다.NSL은 경영 및 투자 지주 회사로 건설자재와 석유 제품을 제조하고 환경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회사를 두고 있다. 해당 업체는 핀란드에서의 PBU(공장 제작 조립식 화장실 유닛) 생산량을 7000개에서 1만 개로 확장시킨 바 있다.2년 동안의 이익을 기록한 후 2023년 12월31일 마감된 회계연도에 순손실 6510만 링깃(S$ 1870만 달러)에 달해 적자를 기록했다.○ 말레이시아 부동산 개발사 IOI 프로퍼티즈(IOI Properties)는 프탈링자야에 위치한 트로피카나 가든 몰을 6억8000만 링깃에 획득했다. 소매 부문에서 입지를 강화하기 위한 목적이다.트로피카나 가든 몰이 추가됨에 따라 IOI 프로퍼티즈가 소유한 소매 매장의 임대가능면적은 540만 제곱피트로 확장될 예정이다. 인수를 통해 클랑밸리에서의 쇼핑몰 운영을 활성화하며 기존 IOI몰 푸총과 IOI 시티몰 사업을 보완하고자 한다.○ 필리핀 공공사업도로부(DPWH)는 7월8일 민다나오 북쪽 지역 두 곳을 연결하는 팡일만 교각 프로젝트(PBBP)이 달성률 93.3%를 기록했으며, 2024년 3분기 안에 완공될 것이라고 밝혔다. 교각을 건설하는 데 73억8000만 페소를 투자했다.총 3.17km에 달하는 PBBP는 민다나오에서 가장 긴 교량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탕굽에서 투보드까지의 이동시간을 기존의 2.5시간에서 7분으로 단축한다. 공공사업부는 이번 사업이 민다나오의 교류 및 관광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필리핀 수자원 공급업체 마닐라워터(Manila Water)는 2025년까지 루손섬 메트로마닐라의 타기그시에 5억7700만 페소 상당의 파이프라인 건설 프로젝트를 완수한다.해당 서비스를 통해 하루당 2억 리터를 타기그, 파테로스, 파시그, 파라냐케에 공급하며 타기그시에 거주하고 있는 70만 명이 혜택을 받는다.○ 인도네시아 정부에 따르면 최근 중부 자바의 바탕에 4300헥타르에 달하는 공업 단지의 두 번째 단계를 개장했다. 인프라를 구축해 공급망을 다각화함으로써 중국의 투자자들을 유치하며 25만 개의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려는 목적을 갖고 있다.해당 통합산업단지에 20여 개 기업이 함께 한다. 대한민국 LG에너지솔루션과 유리 제조업체 KCC글라스를 포함한다. 현재까지 기업들로 하여금 총 US$ 8억5800만 달러(14조 루피아)의 투자를 받았다.LG에너지솔루션은 여기서 2024년 9월부터 전기자동차(EV) 배터리의 필수적인 부품인 양극재를 생산한다. 추가적으로 24억 달러를 투자해 1년 당 전구체 22만 톤(t)·양극재 4만2000t을 생산할 수 있는 공장을 신설할 계획이다.
-
▲ 체리 말레이시아(Chery Corporate Malaysia)의 셀랑고르 반다르 부킷 푸총 서비스 센터의 모습[출처=체리 말레이시아 공식 홈페이지]2024년 7월 4주차 말레이시아 경제동향은 반도체협회(MSIA)의 산업 진흥정책, 통신업체의 기업공개(IPO), 유톹업체의 부동산 인수 등을 포함한다.U 모바일(U Mobile)은 2025년 상반기 기업공개(IPO)에서 자금 US$ 5억 달러를 마련할 계획이다. 말레이시아 반도체협회(MSIA)는 2030년까지 반도체 수출 1조2000억 링깃 달성을 목표로 한다. 중국 자동차제조업체 체리 말레이시아(Chery Corporate Malaysia)는 벨리아 마히르 프로젝트(Projek Belia Mahir)와의 양해각서(MoU)를 통해 현지 미취업 청년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한다.○ 말레이시아 모바일 데이터 서비스업체 U 모바일(U Mobile)은 2025년 상반기에 기업공개(IPO)를 준비하며 자금 US$ 5억 달러(23억 링깃)을 모으고자 한다. 당사는 현재 말레이시아의 두 번째 5G 네트워크를 형성하고자 한다.7월 말이나 8월 규제기관에 IPO 신청서를 제출하며 회사 가치를 US$ 20억 달러 이상으로 평가하기 위한 합의를 진행한다. 이는 지난 8년 동안 국내에서 진행됐던 건들 중 가장 큰 규모의 IPO가 될 가능성으로 인해 주목받고 있다.○ 말레이시아 인프라 기업 YTL코퍼레이션(YTL Corp)의 계열사 YTL 시멘트(YTL Cement)는 싱가포르 상장기업 NSL의 지분 81.34%을 매수한다.S$ 2억2761만 달러를 현금으로 매수해 자사의 산업화된 건물 시스템(Industrialised Building System, IBS) 사업을 국내부터 두바이·핀란드·싱가포르까지 확장하고자 한다.NSL은 경영 및 투자 지주 회사로 건설자재와 석유 제품을 제조하고 환경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회사를 두고 있다. 해당 업체는 핀란드에서의 PBU(공장 제작 조립식 화장실 유닛) 생산량을 7000개에서 1만 개로 확장시킨 바 있다.2년 동안의 이익을 기록한 후 2023년 12월31일 마감된 회계연도에 순손실 6510만 링깃(S$ 1870만 달러)에 달해 적자를 기록했다.○ 말레이시아 부동산 개발사 IOI 프로퍼티즈(IOI Properties)는 프탈링자야에 위치한 트로피카나 가든 몰을 6억8000만 링깃에 획득했다. 소매 부문에서 입지를 강화하기 위한 목적이다.트로피카나 가든 몰이 추가됨에 따라 IOI 프로퍼티즈가 소유한 소매 매장의 임대가능면적은 540만 제곱피트로 확장될 예정이다. 인수를 통해 클랑밸리에서의 쇼핑몰 운영을 활성화하며 기존 IOI몰 푸총과 IOI 시티몰 사업을 보완하고자 한다.○ 말레이시아 반도체협회(MSIA)는 2030년까지 반도체 수출 1조2000억 링깃을 달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세계 반도체 수출국 6위이자 현재 수출액 대비 연평균 증가율 7.6%라는 결과를 확고히 한다.MSIA는 목표를 위해서 30만 명의 인재가 필요하다고 분석하며 인력 부족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현지에서 과학 및 기술 분야를 공부하고 있는 1만~2만 명의 외국인 인재에게 일할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앞으로 고급 패키징과 집적회로(IC) 설계, 스마트 제조 기술을 닦는 데 집중한다.이는 2024년 아시아 기술 회담(Tech in Asia Conference 2024)에서 발표했다. 2023년 말레이시아 반도체 수출액은 5754억5000만 링깃으로 2022년 5930억 링깃에 비해 3% 감소했다.○ 일본 자동차 제조업체 혼다의 말레이시아 법인인 혼다 말레이시아(Honda Malaysia)는 2000년 설립 이래 17만 번째 시빅과 15만 번째 HR-V를 전달했다고 밝혔다. 이를 기념하기 위해 클랑에 위치한 혼다 보타닉 오토 매장에서 인수식을 열었다.2024년 상반기 혼다 말레이시아의 판매량은 3만9226대로 전년 동기 대비 16% 증가했다. HR-V는 당사의 가장 많이 팔리는 모델로 판매 차량의 28%를 차지했다.자사의 하이브리드 모델 시티(City), 시빅(Civic), HR-V, CR-V에 적용되는 e:HEV 기술의 수요가 증가하며 상반기 매출의 13%를 이바지했다.○ 중국 자동차 제조업체 체리(Chery) 말레이시아 법인 Chery Corporate Malaysia은 국제 숙련공 단체(National Skilled Workers Organisation) 산하의 비정부 기관 벨리아 마히르 프로젝트(Projek Belia Mahir)와 파트너십을 수립했다.체리는 현지 셀랑고르주 샤알람에 건설한 조립공장에서 일할 지역 인재들을 찾고 있다. 국내 자동차 산업의 발전을 도모한다.벨리아 마히르 프로젝트는 청년 미취직자가 고등교육 및 기술 훈련을 받아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일자리를 얻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이번 양해각서(MoU)를 통해 교육 프로그램을 이수한 청년들을 사무실 및 조립공장에서 일할 수 있도록 추천하고자 한다.
-
▲ 중국 국가표준화관리위원(国家标准化管理委员会, Standardization Administration of China, SAC)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두고 있는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활동 중인 기술위원회(Technical Committeee, TC)는 TC 1~TC 323까지 구성돼 있다.기술위원회의 역할은 기술관리부가 승인한 작업범위 내 작업 프로그램 입안, 실행, 국제규격의 작성 등이다. 또한 산하 분과위원회(SC), 작업그룹(WG)을 통해 기타 ISO 기술위원회 또는 국제기관과 연계한다.ISO/IEC 기술작업 지침서 및 기술관리부 결정사항에 따른 ISO 국제규격안 작성·배포, 회원국의 의견 편집 등도 처리한다. 소속 분과위원회 및 작업그룹의 업무조정, 해당 기술위원회의 회의 준비도 담당한다.1947년 최초로 구성된 나사산에 대한 TC 1 기술위원회를 시작으로 순환경제를 표준화하기 위한 TC 323까지 각 TC 기술위원회의 의장, ISO 회원, 발행 표준 및 개발 표준 등에 대해 살펴볼 예정이다.이미 다룬 기술위원회와 구성 연도를 살펴 보면 △1947년 TC 1~TC 67 △1948년 TC 69 △1949년 TC 70~72 △1972년 TC 68 △1950년 TC 74 △1951년 TC 76 △1952년 TC 77 △1953년 TC 79, TC 81 △1955년 TC 82, TC 83 △1956년 TC 84, TC 85 △1957년 TC 86, TC 87, TC 89 △1958년 TC 91, TC 92 등이다.△1959년 TC 94 △1960년 TC 96, TC 98 △1961년 TC 101, TC 102, TC 104, △1962년 TC 105~TC 107, △1963년 TC 108~TC 111, △1964년 TC 112~TC 115, TC 117, △1965년 TC 118, △1966년 TC 119~TC 122, △1967년 TC 123, △1968년 TC 126, TC 127 등도 포함된다.ISO/TC 130 그래픽 기술(Graphic technology)과 관련된 기술위원회는 1969년 결성됐다. 사무국은 중국 국가표준화관리위원(国家标准化管理委员会, Standardization Administration of China, SAC)에서 맡고 있다.위원회는 메이팡 리(Ms Meifang Li)가 책임지고 있다. 현재 의장은 펑페이 짜오(Mr Pengfei Zhao)로 임기는 2023년까지다.ISO 기술 프로그램 관리자는 블란딘 가르시아(Mme Blandine Garcia), ISO 편집 관리자는 마사 카산토산(Mrs Martha Casantosan) 등으로 조사됐다.범위는 인쇄 및 그래픽 기술 분야의 표준화를 다루고 있다. 이 분야는 그래픽 요소(이미지, 텍스트, 라인 아트, 패턴 등)가 생성, 조작, 조립, 전달되고 최종적으로 디지털 제품으로 전자적으로 전달되거나 잉크, 토너 및 기타를 사용해 물리적으로 기판에 전달되는 프로세스의 모든 단계를 다룬다. 마킹 또는 기능성 재료를 생산하고 최종 응용 분야의 요구에 따라 마감 처리된다.ISO/TC 130 표준에는 용어, 시각적 외관 및 제품 품질 평가, 데이터 교환, 프로세스 제어, 관리, 적합성 평가, 환경에 대한 영향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뿐만 아니라 관련 재료, 장비 및 시스템에 대한 요구 사항 및 테스트도 수용한다.참고로 ISO/TC 42, TC 6, TC 256, TC 35, IEC/TC 100 및 ISO/IEC JTC 1/SC 28과 같은 다른 TC/SC와 범위가 실제 또는 잠재적으로 중복되는 경우 관련 TC와의 연락 또는 JWG를 통한 조정은 유지되거나 적극적으로 추진돼야 한다.현재 ISO/TC 130 사무국과 관련해 발행된 표준은 115개며 ISO/TC 130 사무국과 관련해 개발 중인 표준은 15개다. 참여하고 있는 회원은 21개국, 참관 회원은 22개국이다.□ ISO/TC 130 사무국 분과위원회(Subcommittee)의 책임 하에 발행된 표준 115개 중 15개 목록▷ISO 2834-1:2020 Graphic technology — Laboratory preparation of test prints — Part 1: Paste inks▷ISO 2834-2:2022 Graphic technology — Laboratory preparation of test prints — Part 2: Liquid printing inks▷ISO 2834-3:2008 Graphic technology — Laboratory preparation of test prints — Part 3: Screen printing inks▷ISO 2836:2021 Graphic technology — Prints and printing inks — Assessment of resistance of prints to various agents▷ISO 2846-1:2017 Graphic technology — Colour and transparency of printing ink sets for four-colour printing — Part 1: Sheet-fed and heat-set web offset lithographic printing▷ISO 2846-2:2007 Graphic technology — Colour and transparency of printing ink sets for four-colour printing — Part 2: Coldset offset lithographic printing▷ISO 5776:2022 Graphic technology — Symbols for text proof correction▷ISO/TS 10128:2009 Graphic technology — Methods of adjustment of the colour reproduction of a printing system to match a set of characterization data▷ISO 11084-1:1993 Graphic technology — Register systems for photographic materials, foils and paper — Part 1: Three-pin systems▷ISO 11084-2:2006 Graphic technology — Register systems for photographic materials, foils and paper — Part 2: Register pin systems for plate making▷ISO 12040:1997 Graphic technology — Prints and printing inks — Assessment of light fastness using filtered xenon arc light▷ISO 12218:1997 Graphic technology — Process control — Offset platemaking▷ISO 12632:2015 Graphic technology — Ink, paper and labels — Requirements on hot alkali penetration and resistance▷ISO 12634:2017 Graphic technology — Determination of tack of paste inks and vehicles by a rotary tackmeter▷ISO 12635:2021 Graphic technology — Plates for offset printing — Dimensions□ ISO/TC 130 사무국 분과위원회(Subcommittee)의 책임 하에 개발 중인 표준 15개 목록▷ISO/DTS 10128 Graphic technology — Methods of adjustment of the colour reproduction of a printing system to match a set of characterization data▷ISO/DIS 12641-1 Graphic technology — Prepress digital data exchange — Colour targets for input scanner calibration — Part 1: Colour targets for input scanner calibration▷ISO/FDIS 12643-1.2 Graphic technology — Safety requirements for graphic technology equipment and systems — Part 1: General requirements▷ISO/FDIS 12643-2.2 Graphic technology — Safety requirements for graphic technology equipment and systems — Part 2: Prepress and press equipment and systems▷ISO/FDIS 12643-3 Graphic technology — Safety requirements for graphic technology equipment and systems — Part 3: Binding and finishing equipment and systems▷ISO/FDIS 12643-4 Graphic technology — Safety requirements for graphic technology equipment and systems — Part 4: Converting equipment and systems▷ISO/FDIS 12643-5 Graphic technology — Safety requirements for graphic technology equipment and systems — Part 5: Manually-fed stand-alone platen presses▷ISO/DIS 12647-2 Graphic technology — Process control for the production of half-tone colour separations, proof and production prints — Part 2: Offset lithographic processes▷ISO/AWI 15076-2 Image technology colour management — Architecture, profile format and data structure — Part 2: Based on ICC.1:2022▷ISO/DIS 15339-1 Graphic technology — Printing from digital data across multiple technologies — Part 1: Principles▷ISO/AWI TS 18621-22 Graphic technology — Image quality evaluation methods for printed matter — Part 22: Evaluation of colour graininess▷ISO/DTS 18621-31 Graphic technology — Image quality evaluation methods for printed matter — Part 31: Evaluation of the perceived resolution of printing systems with the Contrast–Resolution chart▷ISO/AWI 19307 Graphic Technology — Measurement and one-parameter representation of translucency▷ISO/CD TR 23805 Graphic technology — Dry back calculation for offset printing process▷ISO/FDIS 24487 Graphic technology — Processless lithographic plates — Evaluation methods for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ISO/TC 130 사무국의 작업그룹(Working Group, WG) 현황▷ISO/TC 130/JWG 7 Joint TC 130 - ICC WG: colour management▷ISO/TC 130/JWG 14 Joint TC 130 - TC 42 - ISO/IEC JTC 1/SC 28 WG: Print quality measurement methods▷ISO/TC 130/TF 3 Communications▷ISO/TC 130/WG 1 Terminology▷ISO/TC 130/WG 2 Prepress data exchange▷ISO/TC 130/WG 3 Process control and related metrology▷ISO/TC 130/WG 4 Media and materials▷ISO/TC 130/WG 5 Ergonomics - Safety▷ISO/TC 130/WG 10 Management of security printing processes▷ISO/TC 130/WG 11 Environmental impact of graphic technology▷ISO/TC 130/WG 12 Postpress
-
2023-08-29▲ 미국 국립표준협회(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ANSI) 홈페이지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두고 있는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활동 중인 기술위원회(Technical Committeee, TC)는 TC1~TC323까지 구성돼 있다.기술위원회의 역할은 기술관리부가 승인한 작업범위 내 작업 프로그램 입안, 실행, 국제규격의 작성 등이다. 또한 산하 분과위원회(SC), 작업그룹(WG)을 통해 기타 ISO 기술위원회 또는 국제기관과 연계한다.ISO/IEC 기술작업 지침서 및 기술관리부 결정사항에 따른 ISO 국제규격안 작성·배포, 회원국의 의견 편집 등도 처리한다. 소속 분과위원회 및 작업그룹의 업무조정, 해당 기술위원회의 회의 준비도 담당한다.1947년 최초로 구성된 나사산에 대한 TC1 기술위원회를 시작으로 순환경제를 표준화하기 위한 TC323까지 각 TC 기술위원회의 의장, ISO 회원, 발행 표준 및 개발 표준 등에 대해 살펴볼 예정이다.이미 다룬 기술위원회와 구성 연도를 살펴 보면 △1947년 TC1~TC67 △1948년 TC 69 △1949년 TC 70~72 △1972년 TC68 △1950년 TC74 △1951년 TC76 △1952년 TC77 △1953년 TC79, TC81 △1955년 TC82, TC83 △1956년 TC84, TC85 △1957년 TC86, TC87, TC89 △1958년 TC91, TC92 △1959년 TC94 △1960년 TC96, TC98 △1961년 TC101, TC102, TC 104, △1962년 TC105~TC107 등이다.ISO/TC 18 기계적 진동, 충격 및 상태 모니터링(Mechanical vibration, shock and condition monitoring)과 관련된 기술위원회는 1963년 결성됐다. 사무국은 미국 국립표준협회(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ANSI)에서 맡고 있다.위원회는 낸시 블레어 드레온(Ms Nancy Blair-DeLeon)이 책임지고 있다. 현재 의장은 브레인 비비(Mr Brian Biby)로 임기는 2025년까지다.ISO 기술 프로그램 관리자는 타마호 타카이(Ms Tamaho Takai), ISO 편집 관리자는 빈센조 바추키(M Vincenzo Bazzucchi) 등으로 조사됐다.범위는 다학문적 접근 방식을 사용해 인간, 기계, 차량(항공, 바다, 육상, 철도) 및 고정 구조물에 관한 진동 및 충격의 효과와 기계 및 구조물의 상태 모니터링의 효과, 기계적 진동 및 충격 분야의 표준화다. 현재 관심이 있는 특정 영역에는 다음의 표준화가 포함된다,▶기계적 진동, 기계적 충격 및 상태 모니터링 분야의 용어 및 명칭▶진동 및 충격의 측정·분석·평가(예, 신호 처리 방법, 구조 역학 분석 방법, 변환기 및 진동 발생기 교정 방법 등)▶진동 및 충격에 대한 능동 및 수동 제어 방법(예, 기계·격리·감쇠의 균형)▶인간, 기계, 차량(항공, 해상, 육상, 철도), 고정 구조물 및 민감한 장비에 대한 진동 및 충격의 영향 평가▶진동 및 충격 측정 기구(예, 변환기, 진동 발생기, 신호 조절기, 신호 분석 계측기, 신호 수집 시스템)▶기계의 상태 모니터링에 필요한 모든 측정 변수를 사용하는 측정 방법, 계측, 데이터 수집, 처리, 프리젠테이션, 분석, 진단 및 예측▶관련 분야의 인력 교육 및 인증 등이다.현재 ISO/TC 108 사무국과 관련해 발행된 표준은 195개며 ISO/TC 107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발행된 표준은 64개다. ISO/TC 108 사무국과 관련해 개발 중인 표준은 18개며 ISO/TC 108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하에 개발 중인 표준은 3개다. 참여하고 있는 회원은 23명, 참관 회원은 26명이다.□ ISO/TC 108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발행된 표준 64개 중 15개 목록▷ISO 2017-1:2005 Mechanical vibration and shock — Resilient mounting systems — Part 1: Technical information to be exchanged for the application of isolation systems▷ISO 2017-2:2007 Mechanical vibration and shock — Resilient mounting systems — Part 2: Technical information to be exchanged for the application of vibration isolation associated with railway systems▷ISO 2017-3:2015 Mechanical vibration and shock — Resilient mounting systems — Part 3: Technical information to be exchanged for application of vibration isolation to new buildings▷ISO 2041:2018 Mechanical vibration, shock and condition monitoring — Vocabulary▷ISO 2954:2012 Mechanical vibration of rotating and reciprocating machinery — Requirements for instruments for measuring vibration severity▷ISO 5347-8:1993 Methods for the calibration of vibration and shock pick-ups — Part 8: Primary calibration by dual centrifuge▷ISO 5347-12:1993 Methods for the calibration of vibration and shock pick-ups — Part 12: Testing of transverse shock sensitivity▷ISO 5347-13:1993 Methods for the calibration of vibration and shock pick-ups — Part 13: Testing of base strain sensitivity▷ISO 5347-15:1993 Methods for the calibration of vibration and shock pick-ups — Part 15: Testing of acoustic sensitivity▷ISO 5347-16:1993 Methods for the calibration of vibration and shock pick-ups — Part 16: Testing of mounting torque sensitivity▷ISO 5347-18:1993 Methods for the calibration of vibration and shock pick-ups — Part 18: Testing of transient temperature sensitivity▷ISO 5347-22:1997 Methods for the calibration of vibration and shock pick-ups — Part 22: Accelerometer resonance testing — General methods▷ISO 5348:2021 Mechanical vibration and shock — Mechanical mounting of accelerometers▷ISO 7626-1:2011 Mechanical vibration and shock — Experimental determination of mechanical mobility — Part 1: Basic terms and definitions, and transducer specifications▷ISO 7626-2:2015 Mechanical vibration and shock — Experimental determination of mechanical mobility — Part 2: Measurements using single-point translation excitation with an attached vibration exciter□ ISO/TC 108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개발 중인 표준 3개 목록▷ISO 16063-1:1998/CD Amd 2 Methods for the calibration of vibration and shock transducers — Part 1: Basic concepts — Amendment 2▷ISO 16063-21:2003/CD Amd 2 Methods for the calibration of vibration and shock transducers — Part 21: Vibration calibration by comparison to a reference transducer — Amendment 2▷ISO 16063-31:2009/WD Amd 1 Methods for the calibration of vibration and shock transducers — Part 31: Testing of transverse vibration sensitivity — Amendment 1□ ISO/TC 108 사무국의 소위원회(Subcommittee)의 책임 하에 발행 및 개발 중인 표준 현황▷ISO/TC 108/SC 2 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mechanical vibration and shock as applied to machines, vehicles and structures ; 발행된 표준 56개, 개발 중인 표준 10개▷ISO/TC 108/SC 4 Human exposure to mechanical vibration and shock ; 발행된 표준 36개, 개발 중인 표준 3개▷ISO/TC 108/SC 5 Condition monitoring and diagnostics of machine systems ; 발행된 표준 28개, 개발 중인 표준 2개▷ISO/TC 108/SC 6 Vibration and shock generating systems ; 발행된 표준 11개, 개발 중인 표준 0개
-
▲ 프랑스 표준화협회(Association Française de Normalisation, AFNOR) [출처=홈페이지]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두고 있는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활동 중인 기술위원회(Technical Committeee, TC)는 TC1~TC323까지 구성돼 있다.기술위원회의 역할은 기술관리부가 승인한 작업범위 내 작업 프로그램 입안, 실행, 국제규격의 작성 등이다. 또한 산하 분과위원회(SC), 작업그룹(WG)을 통해 기타 ISO 기술위원회 또는 국제기관과 연계한다.ISO/IEC 기술작업 지침서 및 기술관리부 결정사항에 따른 ISO 국제규격안 작성·배포, 회원국의 의견 편집 등도 처리한다. 소속 분과위원회 및 작업그룹의 업무조정, 해당 기술위원회의 회의 준비도 담당한다.1947년 최초로 구성된 나사산에 대한 TC1 기술위원회를 시작으로 최근 순환경제를 표준화하기 위한 TC323까지 각 TC 기술위원회의 의장, ISO 회원, 발행 표준 및 개발 표준 등에 대해 살펴볼 예정이다.ISO/TC 46 정보 및 문서(Information and documentation) 관련 기술위원회는 TC1, TC2, TC4~TC6, TC8, TC10~TC12, TC14, TC17~TC22, TC24~31, TC33~TC39, TC41~TC45와 동일하게 1947년 구성됐다.사무국은 프랑스 표준화협회(Association Française de Normalisation, AFNOR)에서 맡고 있다. 위원회는 헬렌 슈(Mme Hélène Xu)가 책임진다. 의장은 그레고리 미우라(Mr Gregory Miura)으로 임기는 2028년까지다.ISO 기술 프로그램 관리자는 패트리샤 쿡(Mme Patricia Cook), ISO 편집 관리자는 마사사 카산토산(Mrs Martha Casantosan) 등으로 조사됐다.범위는 도서관, 문서 및 정보 센터, 출판, 기록 보관소, 기록 관리, 박물관 문서, 색인 및 요약 서비스, 정보 과학과 관련된 관행의 표준화다.현재 ISO/TC 46의 직접적인 책임하에 개발된 표준은 35개, ISO/TC 46과 관련해 발행된 ISO 표준은 128개다. ISO/TC 46의 직접적인 책임하에 개발 중인 표준은 4개며 ISO/TC 46과 관련해 개발 중인 표준은 20개다. 참여하고 있는 회원은 42명, 참관 회원은 32명이다.□ ISO/TC 45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하에 발행된 표준 15개 목록▲ISO 8:2019 Information and documentation — Presentation and identification of periodicals▲ISO 9:1995 Information and documentation — Transliteration of Cyrillic characters into Latin characters — Slavic and non-Slavic languages▲ISO 18:1981 Documentation — Contents list of periodicals▲ISO 214:1976 Documentation — Abstracts for publications and documentation▲ISO 215:1986 Documentation — Presentation of contributions to periodicals and other serials▲ISO 233-2:1993 Information and documentation — Transliteration of Arabic characters into Latin characters — Part 2: Arabic language — Simplified transliteration▲ISO 233-3:2023 Information and documentation — Transliteration of Arabic characters into Latin characters — Part 3: Persian language — Transliteration▲ISO 233:1984 Documentation — Transliteration of Arabic characters into Latin characters▲ISO 259-2:1994 Information and documentation — Transliteration of Hebrew characters into Latin characters — Part 2: Simplified transliteration▲ISO 259:1984 Documentation — Transliteration of Hebrew characters into Latin characters▲ISO 843:1997 Information and documentation — Conversion of Greek characters into Latin characters▲ISO 1086:1991 Information and documentation — Title leaves of books▲ISO 2145:1978 Documentation — Numbering of divisions and subdivisions in written documents▲ISO 2384:1977 Documentation — Presentation of translations▲ISO 3166-1:2020 Codes for the representation of names of countries and their subdivisions — Part 1: Country code□ ISO/TC 45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하에 개발중인 표준 4개 목록▲ISO 9:1995/DAmd 1 Information and documentation — Transliteration of Cyrillic characters into Latin characters — Slavic and non-Slavic languages — Amendment 1▲ISO/AWI 233-1 Documentation — Transliteration of Arabic characters into Latin characters — Part 1: Arabic language — Transliteration▲ISO/AWI 233-2 Information and documentation — Transliteration of Arabic characters into Latin characters — Part 2: Arabic language — Simplified transliteration▲ISO/AWI 5127 Information and documentation — Foundation and vocabulary□ ISO/TC 45 사무국의 소위원회(Subcommittee)의 책임하에 발행 및 개발 중인 표준 현황▲ISO/TC 46/SC 4 Technical interoperability ; 발행된 표준 24개, 개발 중인 표준 5개▲ISO/TC 46/SC 8 Quality - Statistics and performance evaluation ; 발행된 표준 12개, 개발 중인 표준 2개▲ISO/TC 46/SC 9 Identification and description ; 발행된 표준 26개, 개발 중인 표준 2개▲ISO/TC 46/SC 10 Requirements for document storage and conditions for preservation ; 발행된 표준 12개, 개발 중인 표준 3개▲ISO/TC 46/SC 11 Archives/records management ; 발행된 표준 19개, 개발 중인 표준 4개
-
▲ 중국국가표준화관리위원(Standardization Administration of China, SAC) [출처=홈페이지]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두고 있는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활동 중인 기술위원회(Technical Committeee, TC)는 TC1~TC323까지 구성돼 있다.기술위원회의 역할은 기술관리부가 승인한 작업범위 내 작업 프로그램 입안, 실행, 국제규격의 작성 등이다. 또한 산하 분과위원회(SC), 작업그룹(WG)을 통해 기타 ISO 기술위원회 또는 국제기관과 연계한다.ISO/IEC 기술작업 지침서 및 기술관리부 결정사항에 따른 ISO 국제규격안 작성·배포, 회원국의 의견 편집 등도 처리한다. 소속 분과위원회 및 작업그룹의 업무조정, 해당 기술위원회의 회의 준비도 담당한다.1947년 최초로 구성된 나사산에 대한 TC1 기술위원회를 시작으로 최근 순환경제를 표준화하기 위한 TC323까지 각 TC 기술위원회의 의장, ISO 회원, 발행 표준 및 개발 표준 등에 대해 살펴볼 예정이다.ISO/TC 37 언어 및 용어(Language and terminology) 관련 기술위원회는 TC1, TC2, TC4~TC6, TC8, TC10~TC12, TC14, TC17~TC22, TC24~31, TC33~TC36과 동일하게 1947년 구성됐다.사무국은 중국국가표준화관리위원(Standardization Administration of China, SAC)에서 맡고 있다. 위원회는 창칭 조우(Mr Changqing Zhou)가 책임지고 있다. 의장은 로랑트 로매리(M Laurent Romary)로 임기는 2024년까지다.ISO 기술 프로그램 관리자는 메르세 페레스 에르난데스(Mme Mercè Ferrés Hernández), ISO 편집 관리자는 니콜라 페로우(Ms Nicola Perou) 등이다.범위는 다국어 정보 사화에서 용어, 번역, 통역 및 기타 언어 기반 활동과 관련된 설명, 자원, 기술 및 서비스의 표준화다.현재 기술위원회(TC)와 TC의 소위원회(SC)와 관련된 발행 ISO 표준은 80개며 ISO/TC 37의 직접적인 책임하에 개발 중인 표준은 4개, TC와 SC와 관련된 개발 중인 ISO 표준은 30개다. 참여하고 있는 회원은 36명, 참관 회원은 26명이다.□ ISO/TC 37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하에 개발중인 표준 4개 목록▲ISO/AWI 18968 Translation-oriented writing — Text production and text evaluation▲ISO/DIS 24183 Technical Communication — Vocabulary▲ISO/FDIS 24495-1 Plain language — Part 1: Governing principles and guidelines▲ISO/AWI 24495-2 Plain language — Part 2: Legal Writing and Drafting□ ISO/TC 37의 소위원회(Subcommittee, SC)에 의해 발행 및 개발 중인 표준 목록▲ISO/TC 37/SC 1 Principles and methods ; 발행된 표준 6개, 개발 중인 표준 0개▲ISO/TC 37/SC 2 Terminology workflow and language coding ; 발행된 표준 14개, 개발 중인 표준 5개▲ISO/TC 37/SC 3 Management of terminology resources ; 발행된 표준 9개, 개발 중인 표준 4개▲ISO/TC 37/SC 4 Language resource management ; 발행된 표준 33개, 개발 중인 표준 8개▲ISO/TC 37/SC 5 Translation, interpreting and related technology ; 발행된 표준 18개, 개발 중인 표준 9개
-
▲ 업무에 집중하고 있는 iDISC 직원[출처=iDISC 홈페이지]스페인 iDISC(iDISC Information Technologies)는 기계 번역 후 편집 서비스에 대한 ISO 18587 인증을 획득했다.ISO 18587은 기계 번역물의 작업 후 편집 프로세스, 편집자의 역량 및 자격에 대한 요구 사항을 제공하고 있다. 기초 번역 후 편집은 인간 번역과 비슷하거나 매우 유사한 수준의 번역물을 완성하기 위해 기계 번역을 편집 및 수정하는 과정이다. 표준에서 요구하는 언어 및 전문 역량을 갖춘 대상 언어의 원어민 편집자들은 전문 용어집과 품질 보증 도구를 특징으로 하는 최첨단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번역된 텍스트의 요구되는 품질에 따라 결정되는 다양한 사후 편집 수준이 있다. 기계 번역의 주요 오류만 수정하는 가벼운 사후 편집과 올바른 의미를 보장하는 것 외에도 문체를 수정하는 전체 편집이 있다. 최종 제품이 전체적으로 진실하고 자연스러움을 보장하기 위해 두 번째 인간 수정이 포함될 수 있다.iDISC는 2009년 이후 번역 서비스를 규제하고 있는 △ISO 17100(전 EN-15038) △ISO 9001 품질 경영 시스템(QMS) △ISO 27001 정보 보호 경영 시스템(ISMS) 등 다수 인증을 획득했다.또한 언어 서비스, 웹사이트 및 앱용 소프트웨어 개발, 사이버보안 서비스 등에 적용되는 ENS(National Security Scheme) 인증도 획득했다.iDISC는 회사와 조직이 모든 언어와 플랫폼을 통해 콘텐츠를 게시하고 배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 기업이다. 이를 위해 다양한 장치와 채널에 대한 출판 시스템을 개발하고 콘텐츠 번역 및 교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2022-04-20나이지리아 B2B SaaS 플랫폼 스타트업인 심푸(Simpu)에 따르면 사전 시드 라운드에서 US$ 100만달러를 모금했다. 2020년 설립된 심푸는 기업용 커뮤니케이션 및 참여 소프트웨어를 만든다. 심푸의 대표 제품은 이메일, 왓츠앱, 트위터 다이렉트 메시지, 페이스북 메신저, SMS, 웹사이트 라이브 채팅 등과 같은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하나의 경험으로 통합하는 옴니채널 수신함이다.기업은 업무흐름을 자동화하고 핵심 뱅킹 백엔드, 데이터베이스 또는 마케팅 목록 등을 통합해 SMS 및 이메일 마케팅에 사용할 수 있다.평균적으로 온라인 사업은 매일 최소 8개의 앱과 서로 대화한다. 동기화되지 않는 최대 36개의 앱을 결합해야 어느 정도 동기화가 가능하다.소비자 간의 커뮤니케이션 앱도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소비자들은 자신이 선호하는 경로로 연결되기를 원하기 때문에 기업에 큰 문제를 야기한다. 직접적인 구매로 이어지지 않을 가능성을 높다.기업은 어떻게 하면 모든 채널과 앱을 통해 소비자, 고객, 친구 등과 효과적으로 소통하고 홍보할 수 있을지 고민한다. 통합형 옴니채널 수신함을 개발한 심푸 제품이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받는 이유다.2022년 4월 현재 다수의 엔젤 투자자들과 일부 초기 단계의 벤처 투자자들로부터 사전 시드 자금을 조달했다. 5월 심푸는 정식 출시를 준비하는 데 모금한 자금을 사용한다. 향후 국제적으로 사업을 확장할 계획이다. ▲심푸(Simpu) 홈페이지
-
한국 포털 및 인터넷 정보 매개 서비스 기업 카카오(kakao)에 따르면 '오픈체인(OpenChain) 프로젝트'의 오픈소스 국제 표준 인증(ISO/IEC 5230:2020)을 획득했다.'오픈체인 프로젝트'는 미국의 비영리단체인 리눅스 재단(Linux Foundation)에서 시작됐다. 기업의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체계 및 컴플라이언스(compliance) 역량을 평가해 국제 인증을 부여한다.ISO/IEC 5230:2020 표준은 오픈 소스 라이선스 준수를 위해 핵심 사항을 정의한 최초의 프로세스 관리 국제 표준이다.카카오는 이번 국제 표준 인증을 통해 오픈소스 활용 역량을 인정받았다. 자사 오픈소스 관리 서비스 ‘올리브 플랫폼(Olive Platform)’의 공신력을 높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오픈소스 관리 서비스 ‘올리브 플랫폼(Olive Platform)’은 2021년 6월에 출시했다. IT 분야 전반에 걸쳐 오픈소스 사용 비중과 관리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오픈소스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이다.올리브 플랫폼은 오픈소스의 라이선스 및 의무사항을 확인하고 리포트를 제공한다. 또한 신뢰할 수 있는 오픈소스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보다 쉽고, 빠르고, 정확하게 오픈소스를 검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매년 이프카카오(if kakao) 개발자 컨퍼런스의 오픈소스 관련 세션에서 개발자들이 오픈소스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공유하고 있다. 공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이를 공유하는 등 안전하고 효율적인 오픈소스 생태계 구축을 위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개발자들은 카카오의 서비스에 공개소프트웨어를 확대 적용하고, 오픈소스 행사, 사업, 교육, 자문, 커뮤니티 활동 등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카카오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오픈소스 사용이 증가하고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어 카카오의 오픈소스 역량을 적극적으로 공유해 개발 생태계 발전에 앞장설 것으로 전망된다.참고로 ISO/IEC 5230:2020 표준은 ▶1 Scope ▶2 Terms and definitions ▶3 Requirements ▶3.1 Program foundation ▶3.2 Relevant tasks defined and supported ▶3.3 Open source content review and approval ▶3.4 Compliance artifact creation and delivery ▶3.5 Understanding open source community engagements ▶3.6 Adherence to the specification requirements ▶Annex A (informative) Language translations of this specification 등으로 구성돼 있다.▲ 카카오(kakao) 홈페이지
-
영국 글로벌 에너지 기업인 내셔널 그리드 벤처(National Grid Ventures)에 따르면 국내와 노르웨이를 연결해 신재생에너지를 전달하는 세계에서 가장 긴 해저 전기 케이블의 가동을 시작했다.내셔널 그리드 벤처는 노르웨이 전력기업인 Statnett과 €16억유로(£13억7000만파운드)의 합작투자 계약을 맺었다. 이는 영국이 2030년까지 탄소 배출량을 2300만톤 줄이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450마일(725km)의 해저 전기 케이블은 국내 노섬벌랜드의 블라이스와 노르웨이의 크빌달을 연결했다. 1400메가와트급으로 140만가구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수력발전에너지를 수입한다.내셔널 그리드 벤처는 상기 해저 전기 케이블을 구현하기 위해 북해(North Sea)를 건너야 했다. NSL(North Sea Link)는 상호 이익을 위한 신재생 에너지 자원을 극대화하기 위해 양국이 협력한 좋은 사례로 분석된다. ▲내셔널 그리드 벤처(National Grid Ventures) 홈페이지
1
2
3
4
5
6
7
8
9
10
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