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
" AVIC"으로 검색하여,
26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중국 DJI 기업용드론 Matrice M350RTK 이미지 [출처=DJI 홈페이지]중국 드론 제조기업 DJI(Da Jiang Innovation, 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에 따르면 자사 드론 제품이 유럽연합(EU)의 클래스 C2 및 C3 인증을 획득했다. 뿐만 아니라 또 다른 제품은 클래스 C1 재인증을 획득했다.위임된 규제(Delegated Regulation) 2019/945 EU에 따라 DJI Matrice M30 제품은 클래스 C2 인증을 받았다. Matrice M350RTK는 클래스 C3 인증을 얻었다.DJI Mavic 3는 2022년 클래스 C1 인증에 이어 이번에 재인증을 받았다. Matrice M30 제품이 획득한 클래스 C2 인증은 드론이 개방형 카테고리의 A2 하위 카테고리에서 비행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하위 범주는 관련되지 않은 사람들과 안전 거리를 유지할 수 없는 지역 내에서 비행 작업과 관련이 있다. 이 분류에는 A2 하위 범주에 대한 특정 교육 및 활성 지오펜싱, 원격 식별, 지속가능한 작동 기능의 사용을 요구한다.Matrice M350RTK는 뛰어난 지오펜싱, 원격 식별 기능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드론의 안전성과 성능 표준을 충족해 C3 인증을 획득할 수 있었다.클래스 C3 드론의 운용은 농촌지역 및 통제된 산업 환경을 포함해 관련되지 않은 사람이 없을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에서 허용된다. DJI Mavic 3는 과거 클래스 C1 인증을 획득했으며 이번에 재인증을 받았다.공개 카테고리의 A1 하위 카테고리에서 비행하도록 허용된다. 하위 범주에서는 관련되지 않은 사람들이 있을 수 있는 영역에서 작동이 가능하지만 주변사람들 상공에서 직접 비행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DJI는 3가지 드론의 클래스 C1, C2, C3 인증을 통해 개방형 범주 내 모든 하위 범주에 대한 전체 범위를 실현했다. 운영자에게 다양한 엔터프라이즈 사용 사례에 대한 광범위한 안전 옵션을 제공하고 있다.
-
▲ 프랑스 표준화협회(Association Française de Normalisation, AFNOR) [출처=홈페이지]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두고 있는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활동 중인 기술위원회(Technical Committeee, TC)는 TC1~TC323까지 구성돼 있다.기술위원회의 역할은 기술관리부가 승인한 작업범위 내 작업 프로그램 입안, 실행, 국제규격의 작성 등이다. 또한 산하 분과위원회(SC), 작업그룹(WG)을 통해 기타 ISO 기술위원회 또는 국제기관과 연계한다.ISO/IEC 기술작업 지침서 및 기술관리부 결정사항에 따른 ISO 국제규격안 작성·배포, 회원국의 의견 편집 등도 처리한다. 소속 분과위원회 및 작업그룹의 업무조정, 해당 기술위원회의 회의 준비도 담당한다.1947년 최초로 구성된 나사산에 대한 TC1 기술위원회를 시작으로 최근 순환경제를 표준화하기 위한 TC323까지 각 TC 기술위원회의 의장, ISO 회원, 발행 표준 및 개발 표준 등에 대해 살펴볼 예정이다.ISO/TC 46 정보 및 문서(Information and documentation) 관련 기술위원회는 TC1, TC2, TC4~TC6, TC8, TC10~TC12, TC14, TC17~TC22, TC24~31, TC33~TC39, TC41~TC45와 동일하게 1947년 구성됐다.사무국은 프랑스 표준화협회(Association Française de Normalisation, AFNOR)에서 맡고 있다. 위원회는 헬렌 슈(Mme Hélène Xu)가 책임진다. 의장은 그레고리 미우라(Mr Gregory Miura)으로 임기는 2028년까지다.ISO 기술 프로그램 관리자는 패트리샤 쿡(Mme Patricia Cook), ISO 편집 관리자는 마사사 카산토산(Mrs Martha Casantosan) 등으로 조사됐다.범위는 도서관, 문서 및 정보 센터, 출판, 기록 보관소, 기록 관리, 박물관 문서, 색인 및 요약 서비스, 정보 과학과 관련된 관행의 표준화다.현재 ISO/TC 46의 직접적인 책임하에 개발된 표준은 35개, ISO/TC 46과 관련해 발행된 ISO 표준은 128개다. ISO/TC 46의 직접적인 책임하에 개발 중인 표준은 4개며 ISO/TC 46과 관련해 개발 중인 표준은 20개다. 참여하고 있는 회원은 42명, 참관 회원은 32명이다.□ ISO/TC 45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하에 발행된 표준 15개 목록▲ISO 8:2019 Information and documentation — Presentation and identification of periodicals▲ISO 9:1995 Information and documentation — Transliteration of Cyrillic characters into Latin characters — Slavic and non-Slavic languages▲ISO 18:1981 Documentation — Contents list of periodicals▲ISO 214:1976 Documentation — Abstracts for publications and documentation▲ISO 215:1986 Documentation — Presentation of contributions to periodicals and other serials▲ISO 233-2:1993 Information and documentation — Transliteration of Arabic characters into Latin characters — Part 2: Arabic language — Simplified transliteration▲ISO 233-3:2023 Information and documentation — Transliteration of Arabic characters into Latin characters — Part 3: Persian language — Transliteration▲ISO 233:1984 Documentation — Transliteration of Arabic characters into Latin characters▲ISO 259-2:1994 Information and documentation — Transliteration of Hebrew characters into Latin characters — Part 2: Simplified transliteration▲ISO 259:1984 Documentation — Transliteration of Hebrew characters into Latin characters▲ISO 843:1997 Information and documentation — Conversion of Greek characters into Latin characters▲ISO 1086:1991 Information and documentation — Title leaves of books▲ISO 2145:1978 Documentation — Numbering of divisions and subdivisions in written documents▲ISO 2384:1977 Documentation — Presentation of translations▲ISO 3166-1:2020 Codes for the representation of names of countries and their subdivisions — Part 1: Country code□ ISO/TC 45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하에 개발중인 표준 4개 목록▲ISO 9:1995/DAmd 1 Information and documentation — Transliteration of Cyrillic characters into Latin characters — Slavic and non-Slavic languages — Amendment 1▲ISO/AWI 233-1 Documentation — Transliteration of Arabic characters into Latin characters — Part 1: Arabic language — Transliteration▲ISO/AWI 233-2 Information and documentation — Transliteration of Arabic characters into Latin characters — Part 2: Arabic language — Simplified transliteration▲ISO/AWI 5127 Information and documentation — Foundation and vocabulary□ ISO/TC 45 사무국의 소위원회(Subcommittee)의 책임하에 발행 및 개발 중인 표준 현황▲ISO/TC 46/SC 4 Technical interoperability ; 발행된 표준 24개, 개발 중인 표준 5개▲ISO/TC 46/SC 8 Quality - Statistics and performance evaluation ; 발행된 표준 12개, 개발 중인 표준 2개▲ISO/TC 46/SC 9 Identification and description ; 발행된 표준 26개, 개발 중인 표준 2개▲ISO/TC 46/SC 10 Requirements for document storage and conditions for preservation ; 발행된 표준 12개, 개발 중인 표준 3개▲ISO/TC 46/SC 11 Archives/records management ; 발행된 표준 19개, 개발 중인 표준 4개
-
2022-09-27중국항공공업집단유한공사(中国航空工业集团有限公司, AVIC)에 따르면 고원(plateau) 날씨를 관찰하고 측정하기 위해 드론을 사용하는 방법을 연구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첫 번째 단계에서는 개조된 윙룽(Wing Loong) 2 드론이 고원 지역 기상 관측 테스트를 수행하는 데에 사용됐다. 드론은 중국항공공업집단유한공사에서 개발한 윙룽2 드론을 변형한 민간용 드론이다.기상 관측 테스트에서 드론은 쓰촨성 아바티베트족창족자치주에 위치한 아바 훙위안 공항에서 출발해 곧 칭하이성 남동부 애미마첸 산맥으로 비행했다.드론은 고도 7500미터에서 소모성 기상 관측 장치인 12개의 드롭손데(dropsondes) 센서를 방출했다. 드론에 장착된 합성 개구면 레이더, 대기 마이크로파 프로파일러와 드롭손데를 통해 획득한 구름 분포, 습기 및 바람 영역과 같은 기상 정보가 데이터로 기록됐다.데이터는 연구원들에게 중요한 과학정보를 제공하고 중국 남서부의 일기 예보 정확도를 개선해 기상 관련 재해에 대한 대비를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고원 지역의 대기 수직 구조와 같은 중요한 정보가 많이 없기 때문이다.이와 같이 대형 고고도 드론을 배치하면 연구자들이 고원 지역 기상 요소에 대한 더 많은 지식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향후 빙하 지역의 수분 채널, 빙하 분포 및 수원을 측정하기 위해 더 많은 드론 비행을 수행할 예정이다. 또한 드론에 의존하는 공중 기반 관측 시스템도 구축할 방침이다.▲ 중국항공공업집단유한공사(中国航空工业集团有限公司, AVIC)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중국 항공공업집단공사(Aviation Industry Corporation of China, AVIC)에 따르면 드론 제품군인 Wing Loong-1E 의 첫 비행을 완료했다. Wing Loong-1E는 윙롱(Wing Loong) 시리즈 드론을 기반으로 개발됐다.복합 재료로 만들어진 대형 다목적 드론으로 Wing Loong-1E는 Wing Loong-2와 같이 주 날개 끝에 위쪽을 가리키는 윙렛(winglet)의 추가와 같은 공기역학적 디자인의 일부를 변경했다. 중국 스마트폰 제조업체인 샤오미(小米)에 따르면 차세대 에너지 차량(NEV) 부품 공급업체인 쑤저우 칠예 그린 테크놀로지(Suzhou Chilye Green Technology)에¥1억 위안을 투자했다.용화 캐피탈(Yonghua Capital), 오리자 홀딩스(Oriza Holdings), 리더 벤쳐 캐피탈(Leader Venture Capital)도 투자 라운드에 함께 참여했다.중국 기술기업인 바이두(百度)에 따르면 산시성(山西省) 양취안(阳泉)시로부터 무인 자율주행 서비스에 대한 상업적 운영 면허를 발급받았다.이 면허는 도시의 지정된 지역에서 운영되는 바이두의 자율주행 차량의 운전석에 더 이상 안전 감독자가 필요없음을 의미한다. 중국에서 최초로 발급됐으며 유료 요금의 징수가 가능하다.▲ 바이두(百度)의 자율주행자동차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중국 항공공업집단공사(Aviation Industry Corporation of China, AVIC)에 따르면 드론 제품군인 Wing Loong-1E 의 첫 비행을 완료했다. Wing Loong-1E는 윙롱(Wing Loong) 시리즈 드론을 기반으로 개발됐다.복합 재료로 만들어진 대형 다목적 드론으로 Wing Loong-1E는 Wing Loong-2와 같이 주 날개 끝에 위쪽을 가리키는 윙렛(winglet)의 추가와 같은 공기역학적 디자인의 일부를 변경했다. Wing Loong-1E는 미국의 MQ-1C 그레이 이글(Gray Eagle)과 견줄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된다. MQ-1C 그레이 이글은 전자 광학 및 적외선 센서, 합성 개구면 레이더(synthetic aperture radar), 통신 릴레이 및 4개의 헬파이어 미사일을 탑재할 수 있다.이를 통해 MQ-1C 그레이 이글은 지속적인 정찰, 감시, 표적 획득 및 공격 작전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에 Wing Loong-1E는 국제 시장에서 비용 효율적인 선택을 제공할 것으로 분석된다. Wing Loong-1E가 범위, 내구성, 효율성 면에서 이전 무인 항공기보다 더 나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와같은 업그레이드를 통해 Wing Loong-1E는 비용 효율성을 유지하면서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항공공업집단공사(Aviation Industry Corporation of China)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21-06-21지난 4월 29일부터 5월 1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는 '드론쇼 코리아((Drone Show Korea 2021)' 전시회가 개최됐다.옥스드론은 전시회 현장에 기자들을 파견해 참여한 기업들을 취재했다. 국내 드론 산업의 발전과 기술력을 소개하는 것이 글로벌 드론 종합지를 지향하는 목표와 부합하기 때문이다. (주)넥스앤텍, (주)ASOA, 순돌이드론, 성우엔지니어링, (주)만물공작소, 디브레인, (주)씨너렉스, (주)시스테크, (주)코코드론, (주)스카이뷰, UMAC Air, (주)무지개연구소, 지오소나(주), 두산모빌리티이노베이션, 이노뎁(주), 유콘시스템(주), (주)이스턴스카이, (주)드론월드, BSTARCOM, (주)올포랜드 등 20개 업체를 소개했다. 다음으로 해양드론기술, (주)케이씨에스, (주)엠지아이티, (주)유시스, 엔젤스윙, (주)케이프로시스템, (주)공간정보, (주)헬셀, (주)하이텍알씨디코리아, (주)다온아이앤씨, (주)아르고스다인, (주)소끼아코리아, 우림텍, 요요인터랙티브, 라이카 지오시스템즈 코리아, ㈜엑스퍼넷, 태경전자(주), 한국무인이동체연구조합, 베이리스(BEYLESS), 에이디시스템에 이어 소개하고자 하는 기업은 (주)지오시스템(이하, 지오시스템)이다.♦ 소프트웨어(출처 : 홈페이지) 지오시스템은 지난 1987년 설립한 Geospatial 솔루션 전문 제공기업이다. 글로벌 공간 정보 전문기업 Trimble의 30년 파트너사이다.사업 분야는 GNSS 측위 솔루션, GNSS 기준국 유지 보수, 공간정보 구축 솔루션 공급 및 소프트웨어 개발 등으로 인공위성 측위, 공간정보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주요 제품 중 TFS(Trimbel Forensic Solutions)와 포렌식 스캐닝 솔루션은 충돌 재구성, 범죄 현장 조사, 보안 계획 분야에 사용되는 범죄과학 수사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Delair UX11(출처 : 홈페이지)철도 운영과 관련된 TRS(Trimble Railways Solutions)와 간섭 체크 및 3D 스캐닝 시스템(Trimble GEDO Scan System)이 있다.또한 GNSS, 레이저 스캐너, UAV, 토탈 스테이션, MGIS, 모바일 매핑, 모니터링, 해양건설, GPR/계측 등과 관련된 제품들이 있다.♦ UAV 종류(출처 : 홈페이지)이중 UAV에는 Delair UX11, DJI Metrice 300, DJI Phantom 4 Series, DJI Mavic 2 Enterprise 등의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
2021-05-14독일 보안컨설팅업체인 COMSECURIS에 따르면 드론을 사용해 테슬라 차량 내부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팀은 글로벌 민수용 드론 1위업체인 DJI의 Mavic 2와 해킹에 필요한 노트북을 준비하고 주차된 테슬라를 타깃으로 해킹을 시도했다.무선 인터넷으로 노트북-드론-차량을 연결해 테슬라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에 접근했다. 시스템에 내장된 인터넷 연결관리 모듈 ConnMan의 결함으로 가능한 일이었다.해킹한 시스템을 작동하자 차량의 도어와 좌석, 트렁크 등 일부에 대해 물리적 제어가 가능했다. 전기 스티어링, 가속모드 등 소프트웨어 기능도 조작할 수 있었다. 단, 원격 조정으로 주행은 불가능했다.이번 실험은 COMSECURIS의 Benedikt Schmotzl 연구원과 Kunnamon사의 Ralf-Philipp Weinmann 연구원이 공동으로 진행했다.테슬라는 이번 결함을 사전에 인지했으며 이미 관련 보안 패치를 배포한 상태다. 두명의 연구원은 테슬라와 본 실험에 대해 의견을 공유한 뒤 협의를 거쳐 2021년 5월 4일 공개했다.연구팀은 “이 실험은 테슬라뿐만 아니라 동일한 시스템을 탑재한 타사의 차량에도 적용된다”면서 “와이파이, 즉 인터넷이 연결되는 어느 것이든 해킹에 노출될 수 있다”고 당부했다.▲테슬라 차량에 탑승하고 있는 모습(출처 : 테슬라 홈페이지)
-
2021-05-12미국 낚시용 드론제조업체 GANNET에 따르면 드론을 사용한 취미 낚시활동이 크게 어렵지 않다고 홍보한다. 드론 낚시에 필요한 준비물은 드론, 낚시줄, 갈고리, 봉돌 등이다.낚시줄은 낙하장치에 걸어야 특정 지점에서 떨어뜨릴 수 있다. 드론 낚시는 드론이 직접 낚시줄을 끌거나 낙하하는 방식, 낚시대에 고정된 낚시줄을 드론이 끌고 가는 방식 등이 있다.해수면에 밀착 비행하며 낚시를 즐기고 싶은 사용자들은 방수형 드론을 선호한다. 당사의 GANNET PRO PLUS 모델이 해당하며 가격은 US$ 2299달러(약 260만원)다.GANNET PRO PLUS는 2.5kg까지 실어 나를 수 있다. 또한 바다의 강풍에도 효율적으로 비행할 수 있는 공기역학적 디자인으로 설계됐다.GANNET 외 낚시용 드론에는 Swellpro의 완전방수 낚시용 드론 Splash 3, DJI의 다용도 드론 Mavic 2 Pro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낚시줄을 드론에 걸고 있는 모습(출처 : GANNET 유튜브 홈페이지)
-
2021-05-04네덜란드 드론기술업체 랜마린(RanMarine Technology)에 따르면 현재 덴마크의 쓰레기 수거 프로젝트에 수상 드론을 투입하고 있다.해당 프로젝트명은 ‘시티샤크 프로그램(CityShark program)’이다. 덴마크 오르후스항 인근에 떠다니는 유막과 부유물을 수거해 해안 환경을 개선하는 것이 목적이다.여기에 투입된 드론의 임무는 무인 항공기의 쓰레기 ‘식별’과 무인 선박의 쓰레기 ‘수거’로 이뤄지고 있다. 드론이 직접 쓰레기를 처리한다는 점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먼저 쓰레기 식별은 DJI사의 열화상 카메라 기술이 내장된 Mavic이 담당한다. 해안에 떠다니는 기름막과 더불어 플라스틱 등 고형 폐기물을 감지한다.다음으로 쓰레기 수거는 랜마린에서 개발한 수상 드론 WasteShark이 맡는다. 1일 16시간 동안 최대 500kg의 폐기물을 수거할 수 있다.이 두 개의 드론은 임무 중 서로 네트워크로 페어링된 상태로 연결된다. 해안 인근을 배회하면서 각종 쓰레기를 자동으로 식별하고 직접 수거한다.과거에는 드론의 활용이 관찰과 운송 등 비교적 원초적인 영역에 머물렀다. 하지만 현재는 새로운 분야에 과감하게 접목되는 양상이 전개되고 있다.▲바다 쓰레기를 수거하는 수상 드론 WasteShark(출처 : RanMarine 홈페이지)
-
2020-05-21미국 드론 제조업체인 오텔로보틱스(Autel Robotics)에 따르면 국제무역위원회(ITC)에서 DJI와의 특허소송을 승리한 것으로 드러났다.결과적으로 미국에서 DJI가 제작한 드론이 판매가 금지될 수 있는 가능성이 생긴 셈이다. DJI는 중국의 전세계 최대 드론 제조업체이다.DJI가 오텔로보틱스의 미국특허(US9,260,184)를 침해하는 드론을 판매해 미국 관세법 제337조(Section 337 of the Tariff Act of 1930)를 위반했기 때문이다.해당 특허는 프로펠러를 모터에 고정시키는 데 사용되는 잠금 메커니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시계 방향 블레이드는 모터의 시계 방향 메커니즘에만 맞물릴 수 있다.반면에 반시계 방향 블레이드는 반시계 방향 메커니즘에만 맞물릴 수 있다. 이 특허는 또한 드론을 착륙시키는 데에 사용되는 접이식 팔을 포함한다.DJI는 오텔로보틱스의 미국특허(US9,260,184)를 침해한 것으로 알려진 마빅(Mavic) 시리즈를 포함해 다양한 드론을 제작하고 있다.최고 행정법 판사의 명령에 따라 DJI의 드론 시리즈인 Mavic Pro, Mavic Pro Platinum, Mavic 2 Pro, Mavic 2 Zoom, Mavic Air 및 Spark가 미국에 수입돼 판매하는 것이 금지된다.또한 오텔로보틱스는 Phantom and Inspire 시리즈도 수입 및 판매 금지 목록에 포함되도록 청원을 제출했다. 이와 같은 수입 및 판매 금지 목록이 확정되면 DJI 제품은 7월초 미국 드론 시장에서 퇴출될 수 있다.또한 목록에는 포함되지 않았지만 Mavic Air 2와 Matrice 300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 판사는 60일의 대통령 검토기간 동안 DJI에 9.9% 채권을 게시하라는 Autel의 요청을 승인했다.DJI는 해당 메커니즘을 계속 사용하기 위해 오텔로보틱스와 계약을 체결하거나 다른 메커니즘을 마련해야 한다. 이와 같은 DJI의 솔루션 준비 때문에 Mavic 3의 출시가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따라서 DJI는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의 시장인 미국 드론 시장에서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로 DJI는 미국 정부와 중국 정부의 무역분쟁으로 인한 피해액도 적지 않은 상황이다.▲ USA-AutelRobotics-drone▲ 오텔로보틱스(Autel Robotics)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