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4
" 5G 스펙트럼"으로 검색하여,
31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국제전기전자공학자협회(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홈페이지국제전기전자공학자협회(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에 따르면 IEEE 802.11 와이파이(WiFi) 표준과 함께 최신 글로벌 광통신 표준 IEEE 802.11bb를 채택했다.IEEE 802.11bb 표준은 광파(light waves)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물리 계층 사양 및 시스템 아키텍처를 정의하고 있다. 2023년 6월 표준에 대한 비준이 이뤄졌다. 광파는 '빛의 파동'이라는 의미다.새로운 표준은 라이파이(LiFi) 기술의 광범위한 채택을 위한 기반을 설정하고 성공적인 와이파이 표준(WiFi standard)과 라이파이 시스템(LiFi systems)의 상호운용성을 위한 길을 열어준다.라이파이(LiFi)는 데이터 전송을 위해 라디오 주파수 보다는 빛을 사용하는 무선 기술이다. 단거리 광 무선 링크로 케이블을 대체하고 수많은 센서와 액추에이터를 인터넷에 연결할 수 있다.라이파이는 광 스펙트럼을 활용해 와이파이(WiFi) 및 5G와 같은 기존 기술에 비해 비교할 수 없는 수준의 보안과 더불어 더 빠르고 안정적인 무선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bb 표준은 라이파이(LiFi) 기술 배포를 위해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프레임워크를 제공하고 있다. 라이파이(LiFi) 시장에 중요한 이정표가 된다.Light Communications 802.11bb 태스크 그룹은 2018년 퓨어라이파이(pureLiFi)가 의장을 맡았다. 프라운호퍼 하인리히 헤르츠 통신기술연구소(Fraunhofer HHI)의 지원을 받아 라이파이(LiFi) 개발을 위해 최상의 노력을 경주했다.글로벌 라이파이(LiFi) 기술 기업 퓨어라이파이(pureLiFi)와 프라운호퍼 하인리히 헤르츠 통신기술연구소(Fraunhofer HHI)가 bb표준 제작에 참여했다.2개 조직 모두 IEEE의 표준 발행을 환영했다. 표준화 노력의 결과로 라이파이 공급업체뿐만 아니라 와이파이 기술의 가속화된 채택과 상호운용성을 달성할 계획이다. 참고로 퓨어라이파이는 최근 출시된 Light Antenna ONE을 포함해 이미 세계 최초의 표준 준수 장치를 개발했다. 연간 수십억 개에 이르는 기존 와이파이 칩셋과 통할할 수 있다. Light Antenna ONE을 사용하면 라이파이는 마치 다른 와이파이 대역인 것처럼 시스템에 나타난다.
-
2023-07-02▲ 2023년 6월 27일 국방 수여식에 참석한 모디 총리 [출처=pmindia 홈페이지]인도 정부에 따르면 나렌드라 모디(Narendra Modi) 총리가 '디지털 인디아(Digital India)' 구축을 위한 6G 테스트 베드(testbed)를 발표했다.이에 앞서 지난 3월에는 바르타 6G(Bharat 6G) 비전 문서를 발표했다. 저주파수, 중저파수, 초고저파수(mmWave) 대역에서 더 많은 스펙트럼을 개방할 것을 권장하기 위함이다. 또한 산업 및 학계 연구&개발(R&D) 등에 중점을 뒀을 뿐 아니라 테라헤르츠(terahertz, THz)연구에 중점을 두고 있다.바르타 6G 비전은 경제성, 지속 가능성, 편재성의 원칙을 기반으로 한다. 인도가 통신 세계에서 정당한 위치를 차지하도록 보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인도가 첨단기술이지만 저렴한 통신기술 및 솔루션을 제공하는 글로벌 선도국가로 자리매김하고 글로벌 산업의 발전에 기여하려는 것이다.통신부(Ministry of Communications, MoC)는 국제통신 분야에서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6G 표준화를 우선시하고 있다. 유비쿼터스 연결, 유비쿼터스 인텔리전스, 지속 가능성 등 핵심 요소로 포함하고 있다.특히 통신부 기술기관인 전기통신 엔지니어링센터(Telecommunication Engineering Center, TEC)는 6G 프레임워크에 대한 인도 표준화 노력의 최전선에 있다.TEC가 이끄는 국가스터디그룹(National Study Group, NSG)은 인도의 특정 요구사항을 고려해 ITU 6G 프레임워크 형성에 많이 기여했다.TEC의 포용적 접근 방식은 주요 산업, 신생 기업, 학계 및 연구 개발 조직 등의 적극적인 참여를 장려했다. 특히 NSG를 통해 ITU에 5G 사용 사례로 LMLC(Low Mobility Large Cell)를 채택하도록 노력했다.
-
독일 통신회사인 텔레포니카 저머니(Telefónica Germany GmbH & Co. OHG)에 따르면 국내 5G 네트워크는 약 1만4000개의 안테나를 확보했다.이 네트워크 인프라는 독일 인구 절반에게 5G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규모이다. 텔레포니카는 이미 3.6GHz 주파수 대역에 약 6000개의 5G 안테나를 배치했다.텔레포니카는 2022년 말까지 독일 인구의 약 60%에 5G 통신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25년 말까지 전국적인 5G 서비스를 추진할 계획이다.텔레포니카는 O2 네트워크를 통해 인구의 절반에게 고성능 5G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 계획보다 6개월 일찍 목표를 달성했다.이로써 독일의 수백만 소비자들에게 5G를 통해 훨씬 더 빠르게 연결되고 새로운 디지털 어플리케이션이 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독일에서 네트워크 확장을 통해 디지털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투자할 계획이다.또한 5G 서비스 제공을 위해 700MHz를 사용하고 있다. 1800MHz에서 동적 스펙트럼 공유 기술(Dynamic Spectrum Sharing technology, DSS)을 활용하고 있다.참고로 독일 뮌헨공과대학(TUM)은 텔레포니카 도이칠란드(Telefónica Deutschland/O2)가 구축한 5G 캠퍼스 네트워크를 통해 구체적인 어플리케인션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텔레포니카 저머니는 스페인 통신기업 텔레포니카에 의해 지배를 받는 Telefónica Deutschland/O2의 자회사이다. 유럽 국가들은 빠른 시일 내에 5G 통신을 보급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텔레포니카(Telefónica Deutschland) 홈페이지
-
2022-03-06인도 정부에 따르면 2022년 5월 5G 스펙트럼 경매를 시작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통신규제국(Trai)에서 2022년 3월까지 판매 과정에 관련된 규정 권고를 제출하는 경우에 성립된다. 정부는 통신규제국으로부터 스펙트럼 가격, 할당 방식 및 규모, 결재 조건 등을 참조받는다. 제출된 경우 근시일 내에 경매가 진행될 수 있도록 동시에 경매의 다른 과정을 진행할 방침이다. 인도 암호화폐 거래소인 와지르엑스(WazirX)에 따르면 '샤르데움(Shardeum)' 이라 명명한 새로운 블록체인(blockchain)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샤르데움은 1초당 100만 건의 거래를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와지르엑스는 '무한 확장형' 블록체인을 구축하고 수십억 명의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야심찬 목표를 세운 것이다.스위스 다국적 식품기업 자회사인 네슬레 인도(Nestlé India Ltd)에 따르면 2021 회계 연도 4분기 세수후수익(PAT)은 38억6600만루피로 집계됐다. 2020 회계 연도 동기간 48억3000만루피 대비 20% 감소했다. 운영 매출은 373억9000만루피로 2020 회계 연도 동기간 343억3000만루피 대비 8.9% 증가했다. ▲네슬레 인도(Nestlé India Ltd) 로고
-
2022-02-17인도 정부에 따르면 2022년 5월 5G 스펙트럼 경매를 시작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통신규제국(Trai)에서 2022년 3월까지 판매 과정에 관련된 규정 권고를 제출하는 경우에 성립된다. 정부는 통신규제국으로부터 스펙트럼 가격, 할당 방식 및 규모, 결재 조건 등을 참조받는다. 제출된 경우 근시일 내에 경매가 진행될 수 있도록 동시에 경매의 다른 과정을 진행할 방침이다. 이전에 정부는 스펙트럼 경매에 대한 권고를 제출받은 이후 60일에서 120일 이후에 입찰 과정을 시작했다. 5G 스펙트럼은 4G 서비스와 대비해 다운로드 속도가 10배 빠를 것으로 전망된다. 통신규제국이 5G 스펙트럼 협의 참여자들에게 2022년 2월 15일까지 추가 권고 제출을 제안하자 통신사들은 스펙트럼 주파수 대역 가격을 최대 95% 절감하라고 요구했다. ▲정부 로고
-
2022-01-28대만 기반 팹리스 반도체업체 미디어텍(MediaTek)에 따르면 Wi-Fi 7 표준의 공식 이름인 IEEE 802.11be에서 정의한 최대 속도를 달성하기 위한 Wi-Fi 7의 능력을 시연했다.Thunderbolt 3에 가까운 속도를 자랑했으며 다중 링크 운영(Multi-Link Operation, MLO) 기술도 시연했다. MLO는 무선 인터넷 간섭이나 속도 저하, 지연 현상이 일어나지 않게 다른 주파수 대역의 여러 채널을 동시에 운용해 네트워크 트래픽을 원활하게 하는 기술이다.미디어텍은 처음부터 Wi-Fi 7 표준 개발에 참여해왔으며 Wi-Fi 7 Filogic 연결 포트폴리오에 대한 기대감을 갖고 있다. 하지만 프로토콜은 Wi-FI Alliance에서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따라서 소비자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시기는 알 수 없다. IEEE 802.11be 표준은 2021년 3월 초안이 완성됐으며 2024년초 최종 제정을 목표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미디어텍은 표준 제정 이전인 2023년을 목표로 Wi-Fi 7이 탑재된 제품을 시장에 출시할 계획이다. 미디어텍은 Wi-Fi 7 기술이 가정, 사무실, 산업 네트워크 등의 백본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또한 멀티플레이어 증강현실/가상현실(AR/VR) 어플리케이션에서 부터 클라우드 게임, 4K 통화, 8K 스트리밍, 그 이상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에 원활한 연결을 제공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현재 더 빠른 광대역 인터넷 액세스, 고해상도 비디오 스트리밍, VR 게임과 같은 까다로운 어플리케이션 등으로 인해 Wi-Fi 6, Wi-Fi 6E, Wi-Fi 7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Wi-Fi 7은 320Mhz 채널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4K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기술을 지원하기 때문에 동일한 안테나 수에도 Wi-Fi 6보다 2.4배 빠를 속도를 제공한다. Wi-FI Alliance Wi-Fi 7이 "최소 30" 기가비트/초(Gbps)의 속도를 제공할 수 있다. Thunderbolt 3와 동일한 속도인 40Gbps에 도달하려면 이를 초과해야 한다.Wi-Fi 6는 최대 9.6Gbps까지 속도를 지원하고 있으나 WiFi 5는 최대 출력이 3.5Gbps이다. 802.11ax 기술에 부여된 마케팅 이름 Wi-Fi 6는 모든 아이폰 11과 이후 모델, 최신 아이패드 미니, 아이패드 에어, 아이패드 프로, 애플 실리콘 기반 모든 맥(Mac)에 지원된다.Wi-Fi 6의 다음 단계인 Wi-Fi 6E를 지원하는 장치는 최대 7개의 추가 160MHz 채널이 있는 전용 6E 스펙트럼을 사용한다. 반면 Wi-Fi 6 장치는 Wi-Fi 4, 5, 6 장치와 같이 동일한 스펙트럼을 공유하고 단지 2개의 160MHz 채널에서 운영된다.일부 전문가들은 애플이 아이폰 13시리즈에서 Wi-Fi 6E를 포함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2022년 내 아이폰 14 시리즈에도 Wi-Fi 6E 채택되고, 애플이 곧 출시할 AR/VR 헤드셋 징치에도 Wi-Fi 6E를 제공할 것이라고 전망한다.하지만 애플은 현재 모든 기기에 Wi-Fi 6E 표준을 채택하고 있지 않아 언제 적용될 지 구체적인 일정이 나와 있는 것은 아니다. 향후 Wi-Fi 7에 대한 지원 계획 역시 희망사항일 뿐이다.▲ 미디어텍(MediaTek) 홈페이지
-
스위스 제네바에 본사를 두고 있는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에 따르면 2022년 5G 네트워크에 대한 최신 테스트 방법에 관한 새로운 표준 IEC/IEEE 63195의 최종본을 발표할 예정이다. 새로운 표준에는 5G 네트워크의 빔포밍, 실제 전력 평가, 최신 테스트 및 모니터링 방법을 보여주는 사례 연구 등이 포함된다.IEC TC(Technical Committee) 106과 IEEE 전문가들은 6GHz – 300GHz의 주파수에 대한 계산 및 측정을 다루는 IEC 및 IEEE 시리즈의 새로운 테스트 방법에 대한 최종 국제표준(FDIS) 초안 IEC/IEEE 63195을 발표했다.초안은 2021년 현재 해결되고 있는 몇 가지 매우 중요한 기술 피드백과 함께 100% 찬성표를 얻었다. 2022년 최종 발표를 앞두고 있다.TC 106 및 IEEE의 핵심 전략은 5G를 위한 테스트 방법 개발에서 앞서 나가는 것으로 2018년 처음으로 mmWave 장치 테스트 기술 보고서를 작성했다.또한 IEC는 학계, 산업계, 정부, 시험소 등 협력을 통해 5G 기지국 주변 EMF 수준의 전자기장 평가를 위한 최신 기술 표준 IEC 62232 Edition 3도 마무리하고 있다.현재 수많은 국가에서 새로운 5G mmWave 스펙트럼을 사용할 수 있다. 새로운 5G 장치가 전 세계적으로 출시되는 가운데 표준이 최종 개발됐다.▲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 홈페이지
-
미국 컨설팅 전문기업 ABI 리서치(ABI Research)에 따르면 2026년까지 신흥시장 5G 셀 사이트의 약 90%가 sub-6 GHz 대역의 조합을 지원할 것으로 전망된다.32개의 신흥 시장에 대한 스펙트럼 조사 결과 2023년까지 1GHz이하인 5G용 저대역 스펙트럼을 할당하고 있는 국가는 약 50%, 1GHz ~ 6GHz의 중대역 스펙트럼을 할당하고 있는 국가는 약 87%이다. 지난해 8월부터 탐정업이 합법화됐지만 여전히 탐정을 관리할 수 있는 가칭 탐정업법은 제정되지 않았다. 탐정업체와 관련 단체가 급증하고 있지만 관리 주체가 없는 아노미(anomie) 상태가 지속되고 있다.미국, 영국, 일본 등 선진국의 탐정이 수행하는 업무가 100여 가지 이상이지만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명확한 기준이 없다. 혼란한 상황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미국 탐정의 조사 사례를 연구해 시리즈로 소개할 예정이다.미국 블록체인 기반 게임 개발사 블록케이드 게임(Blockade Games)에 따르면 투자 자금 조달 라운드에서 $US 500만달러를 모금했다. 투자 이후 기업가치는 2300만달러로 평가됐다.투자 라운드는 최근 메타버스 펀딩 라운드와 유사하게 진행됐다. 홍콩의 애니모카 브랜드(Animoca Brands)가 펀딩을 주도했다. ▲ 블록케이드 게임(Blockade Games) 홈페이지
-
미국 컨설팅 전문기업 ABI 리서치(ABI Research)에 따르면 2026년까지 신흥시장 5G 셀 사이트의 약 90%가 sub-6 GHz 대역의 조합을 지원할 것으로 전망된다.32개의 신흥 시장에 대한 스펙트럼 조사 결과 2023년까지 1GHz이하인 5G용 저대역 스펙트럼을 할당하고 있는 국가는 약 50%, 1GHz ~ 6GHz의 중대역 스펙트럼을 할당하고 있는 국가는 약 87%이다. 26 GHz 와 28 GHz를 할당하고 있는 국가는 각각 34%, 12%로 조사됐다. sub-6 GHz 대역은 수요 충족에 충분한 용량 및 더 먼 거리까지 전파할 수 있으며 비에 의해 감쇄되지 않아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또한 2026년까지 sub-6 GHz 대역의 5G 핸드폰 출하량이 약 6억대로 2020년 이후 연평균 22.7%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휴대폰 공급업체들은 BOM 비용을 낮추기 위해 다중 대역이나 밀리미터파(mmWave) 휴대폰을 구매할 수 있는 가처분이 높은 계층보다는 sub-6GHz 대역에 집중해야 된다고 판단하고 있다.참고로 5G 주파수 중에 파장이 1Cm~1mm되는 30~300GHz대역 주파수를 밀리미터파(mmWave)라고 부르고 있으며 6GHz 이하 주파수를 Sub 6GHz라 부른다.국내 이동통신회사에서 mmWave는 28GHz 이상 주파수 대역을 , Sub 6GHz는 3.5GHz 대역을 각각 사용하거나 계획 중이다.▲ ABI 리서치(ABI Research) 홈페이지
-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FCC)에 따르면 5G 무선 스펙트럼 주요 대역을 $US 218억달러에 매각했다. 매각은 경매로 진행됐다.경매 주파수 대역은 3.5GHz ~ 3.55GHz 범위 주파수 블록이다. 지난 29일간의 경매에서 4060개의 블록 중 19개를 제외한 모든 블록을 판매했다.2021년 초 3.7GHz 대역 스펙트럼 블록 경매에서는 810억달러 이상의 자금을 모금했다. 통신 사업자들이 Goldilocks Zone으로 불리는 미드레인지 스펙트럼을 구매했다.상당한 거리에 전파되는 전송거리, 높은 데이터 전송률 등의 장점때문이다. 통신사업자 중 어느 업체가 어떤 블록을 구매했는지는 2022년 1월 이후 공개될 예정이다.AT&T의 경우 2023년 사용 가능한 미드레인지 스펙트럼의 라이센스를 확보했다. 2022년 봄에 사용하기 위해 미드레인지 스펙트럼을 구매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연방통신위원회(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FCC) 홈페이지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