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수산양식"으로 검색하여,
5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인도네시아 수산양식기술 스타트업인 eFishery에 따르면 시리즈 C 라운드를 통해 자금 US$ 9000만달러를 유치한 것으로 집계됐다. 해당 라운드는 싱가포르 국부펀드인 테마섹(Temasek), 소프트뱅크 비전 펀드 2(SoftBank Vision Fund 2), 세퀘이아 캐피털(Sequoia Capital India)이 주도했다. 유치된 자금은 해당사의 플랫폼 규모 확장과 중국과 인도를 포함한 10개국에 수산양식을 확장하는 데 쓰일 계획이다. 해당사의 제품으로는 운영 모니터링 소프트웨어와 수산양식업자 대상 금융 상품 등이 있다. 인도네시아는 글로벌 어업의 대규모 생산국 중 하나로 향후 전망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eFishery 로고
-
인도네시아 디지털금융기업인 코익웍스(KoinWorks)에 따르면 시리즈 C 펀딩 라운드를 통해 US$ 1억800만달러를 유치한 것으로 집계됐다. 해당 펀딩 라운드는 MDI Ventures에서 주도했다. 신규 펀딩 자금은 기존의 직원 400명에서 인력을 2배 늘리는 것에 이용할 계획이다. 해당사는 2022년말까지 매출을 3배로 높이고 이용자 수를 2배 늘리는 것을 목표로 정했다. 인도네시아 수산양식기술 스타트업인 eFishery에 따르면 시리즈 C 라운드를 통해 자금 US$ 9000만달러를 유치한 것으로 집계됐다. 해당 라운드는 싱가포르 국부펀드인 테마섹(Temasek), 소프트뱅크 비전 펀드 2(SoftBank Vision Fund 2), 세퀘이아 캐피털(Sequoia Capital India)이 주도했다. 싱가포르 항공사인 싱가포르항공(SIA)에 따르면 싱가포르국립대(NUS)와 항공편 승객을 대상으로 수면 및 기내식 적정 시간의 공동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장기간 비행에서 승무원들이 어떤 시점에 승객들을 깨워서 기내식을 제공하는 것이 적절한지 연구한다. 개인의 수면 사이클을 기반으로 퍼스널 식사 시간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싱가포르항공(SIA) 로고
-
나이지리아 라고스주 지방자치단체에 따르면 양식업 시스템 도입 후 6개월만에 메기 50톤을 어획했다. 정부로부터 도입한 Cage Culture시스템으로 2016년 8월 11일 60명이 관련 시스템 교육을 받았다. 정부는 감소하는 어획량으로 인해 직접 어획에서 수산양식업으로 정책을 변경했다. 어획량을 늘리고 청년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에 목표를 두고 있다.나이지리아 Katsina주 지방자치단체에 따르면 Kokami Village에 토마토 페이스트 가공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해당 공장은 국립화학기술연구소(NARICT)이 5억나이라의 공사금액을 받고 짓고 있다. 주는 이미 계약금의 70%를 NARICT에 지급했으며 70% 완공됐다. 가공기계는 곧 공장에 설치된다. Katsina주 농부들은 건기와 우기 동안에 다량의 토마토를 생산했지만 그동안 저장시설의 부족으로 피해가 막심했다.▲국립화학기술연구소(NARICT) 로고 나이지리아 인프라관리규제위원회(ICRC)에 따르면 New Partnership for Africa’s Development(NEPAD)와 공동으로 Trans-Saharan 가스파이프라인 건설을 계획했다. 나이지리아는 2009년 니제르와 알제리와 파이프라인건설 계약을 체결했다. 파이프라인은 Calabar에서 Kano와 나이지리아 국경선까지 이어지는 1037킬로미터에 달한다.
-
2017-02-13나이지리아 지방자치단체인 라고스주에 따르면 양식업 시스템 도입 후 6개월만에 메기 50톤을 어획했다. 정부로부터 도입한 Cage Culture시스템으로 2016년 8월11일 60명이 관련 시스템 교육을 받았다.정부는 감소하는 어획량으로 인해 직접 어획에서 수산양식업으로 정책을 변경했다. 어획량을 늘리고 청년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에 목표를 두고 있다.라고스주의 경우 토지의 22%가 강이나 호수로 구성돼 있어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찾고 있다. 식량안보 차원에서 양식업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
노르웨이는 유럽 북방문화권에서 통일국가의 완성이 가장 늦은 국가 중 하나다. 872년에 해랄드 페어헤어(Harald Fairhair)가 노르게 왕국을 건국했는데 이것이 노르웨이 왕국의 기원이다.이후 덴마크와 스웨덴의 지배를 받았지만 노르웨이는 당시의 헌법을 유지했고 19세기에 들어 민주화가 급속히 진전되기 시작했다. 2차 세계대전 당시에는 5년간 독일에 점령을 당했다.1960년대 영해에서 석유와 천연가스가 발견되면서 엄청난 경제적 혜택을 받기 시작했다. 한동안 국가재정의 30%를 석유수입에서 충당했으며 세계 10위권에 드는 석유가스 자원국이었다.게다가 국민복지와 민주화에 있어 가장 선진화된 국가로서 현재는 세계에서 가장 살기 좋은 나라 1위로 손꼽히고 있다. 다만 유가급락과 함께 지난 몇 년간 경제가 위축되고 있다.한국의 경우 올해인 2016년 4월 15일 청와대에서 박근혜 대통령이 노르웨이 에르나 솔베르그 총리와 정상회담을 통해 조선과 해양건설 부문의 협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그러나 현재 한국의 조선업은 심각한 재정난에 구조조정이 시행되고 있어 노르웨이와의 협력이 효과가 없었음이 입증됐다. ‘P-50'이자 한국의 미래국가 모델로서 노르웨이의 ▲주요 경제지표 ▲국가 기반산업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자.◈ 제로(0) 근접한 저성장률과 축소되는 무역흑자...청년실업률 두자릿수로 고용시장 침체 위기먼저 노르웨이의 2015년 GDP 구매력지수는 352억달러(약 409조원)로 지난해에 비해 0.9% 소폭 증가했다. 동기간 실질성장률은 0.9%로 전년도에 비해 절반 이상 하락됐다.지난 2014년 상반기 유가가 급락된 이후 3~4%대를 유지하던 성장률은 제로(0)수준까지 떨어졌다. 이후 국부펀드의 운용과 기존 석유산업의 철저한 경영으로 간신히 버텨왔지만 저성장 기조를 극복하지 못했다.다음 무역수지 현황을 보면 2015년 무역흑자액 343억달러로 지난해에 비해 31.8%나 감소됐다. 유가하락에 따른 석유제품의 수출액 감소와 기계 및 장비 등이 국내수요 둔화로 수출입이 모두 크게 줄었다.주요 수출제품에는 석유 및 석유제품, 기계 및 장비, 금속, 화학, 선박, 어업제품 등이 있다. 수출대상국에는 영국, 독일, 덴마크, 네덜란드, 프랑스 등이 있다.주요 수입제품은 기계 및 장비, 화학, 금속, 식품 등이다. 수입대상국은 스웨덴, 독일, 중국, 영국, 덴마크, 한국 등이며 대부분 유럽국가 중심으로 교역이 이뤄지고 있다.사회경제지표를 살펴보면 전체 인구 520만명에 1인당 GDP(구매력지수)는 6만8400달러로 세계 11위에 위치해 있다. 실업률은 올해 3월 4.7%로 소인국 대비 높은 편이며 동기간 청년실업률은 11.8%로 집계돼 심각한 수준이다.물가상승률은 올해 4월 3.2%로 타유럽국에 비해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노르웨이 중앙은행의 자료에 따르면 기준금리는 현재 0.5%로 제로 금리에 근접해 있다.국가의 재정건전성을 보면 2015년 기준 공공부채는 GDP 대비 39.3%로 높지 않은 편이다. 예산도 GDP의 6.6% 흑자로 편성돼 매우 안정적인 재정정책을 펼치고 있다.◈ 주력산업은 어업과 석유산업...특히 석유가스산업은 환경적 요소와 대외 경기에 민감해천연자원의 혜택을 톡톡히 받고 있는 노르웨이의 주요산업은 ▲어업 ▲석유 및 천연가스로 지정돼 있다. 다만 어업은 개체수 감소, 석유는 유가급락이라는 문제에 부딪친 상황이다.첫째, 수출의 30%를 담당하고 있는 어업은 천연해산물과 양식업이 발달돼 있다. 특히 청정지역으로서 친환경적인 이미지를 잘 구축하고 있다. 정부는 관련 부문의 생명공학, 물류시스템, 고용 등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어업생산물의 95%는 수출용이며 2000여 개 종류를 생산해 약 150개 국가로 수출하고 있다. 3만명 이상의 관련종사자는 어업행위 1만4000명, 가공 및 처리에 1만명, 양식업에 6000명으로 구성돼 있다.가공처리시설 800여개와 수출인증기관 약 500개가 구축돼 있으며 연간 가공생산물은 60만톤에 이른다. 대부분 생선으로 연어와 송어가 주력 어종이며 이외에 고등어, 청어, 새우, 게 등이 있다.천연어획량과 수산양식을 통한 생산량은 각각 200만톤, 100만톤 이상이며 이중 수출총액은 187억크로네(약 2조6600억원)에 달한다. 참고로 어패류를 제외한 농업부문의 곡물, 야채, 과일은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둘째, 에너지 자원으로서 석유 및 천연가스를 비롯한 수력발전이 있다. 전체 수출 중 60~70%를 담당하고 있는 에너지산업은 석유와 천연가스로 구성돼 있다.석유와 가스는 GDP의 30%, 수출액의 50% 이상, 25만개의 일자리를 제공할 만큼 중요한 산업이다. 세계 10위권 내외의 수출국으로서 정부에서의 직접관리와 엄격한 규정을 통해 고품질 원료를 생산하려고 노력 중이다.탄소배출량을 줄이고 유출예방을 위한 규정준수, 생산 관련 고급기술 등을 확보하고 있다. 그러나 석유가스산업에 대한 개발이 계속되면서 2015년 탄소배출량은 5390만톤으로 전년에 비해 1.5% 늘어났다.현재 저유가가 장기화되면서 에너지사업으로 인한 국가재정이 감소하고 있어 대체산업을 모색 중이다. 또한 다른 에너자산업으로 풍부한 수자원을 통한 수력발전소의 구축에 집중하고 있다. 2030년까지 수력발전의 전체 전력생산비율을 95%까지 끌어 올릴 계획이다.◈ 높은 가계소득과 선진화된 복지정책의 대표국가...하지만 자원의 혜택없이는 일하는 국민이 있어야 국가 유지 가능해노르웨이 정부의 고세율 대비 높은 복지반영률, 고임금 수준, 안정적인 노후 대비는 세계에서 가장 살기 좋은 나라로 꼽힐 만한 조건을 충분히 갖추고 있다.하지만 석유산업이 둔화되면서 사상 최초로 8000억달러 상당의 연기금(국부펀드)을 통해 재정을 충당하기도 했다. 관련 산업의 침체로 실업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원유생산량은 지난해 큰 폭으로 감소됐다.경제가 안정적이고 부강한 국가로만 비춰진 노르웨이도 대외적인 경기상황에서 벗어날 수 없는 글로벌 국가 중 하나이다. 자원의 혜택이 없는 이상 일을 하는 국민이 있어야 현재의 복지와 재정이 유지된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노르웨이 위치(출처 : 구글맵)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