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국제 증권감독기구"으로 검색하여,
2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IFRS(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재단 홈페이지국제지속가능표준위원회(International Sustainability Standards Board, ISSB)는 6월26일 일반적인 지속가능 관련 공시 및 기후 관련 공시와 관련된 표준 최종안을 발표했다.최종안은 일반적인 지속가능 관련 공시에 관한 IFRS S1표준과 기후 관련 공시에 관한 IFRS S2 표준이다. 자세한 내용은 ISSB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ISSB의 표준의 목적은 공개에 대한 관할권의 규정과 상호 운용할 수 있는 공통된 글로벌 기준선을 설정하는 것이다.금융안정위원회(Financial Stability Board, FSB)의 기후 관련 재무 공시 태스크포스(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 TCFD) 권고사항을 바탕으로 제정됐다.향후 국제증권감독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of Securities Commissions, IOSCO)의 표준 승인 고려를 기대하고 있다. 승인 시 ISSB 표준은 전 세계의 기후 변화와 관련된 재무 공시의 비교 가능성, 일관성, 의사 결정 유용성 등을 강화하게 된다.참고로 FSB는 2021년 7월 G20에서 승인한 기후 변화로 인한 금융 위험을 해결하기 위한 다음과 같은 로드맵을 발표했다.▷단계 및 예시 기간을 포함해 기후 관련 재무 위험을 해결하기 위한 포괄적이고 조정된 계획▷기업 차원의 공시, 데이터, 취약성, 규제, 감독 관행, 도구 등 총 4가지 중점 영역을 다룸지난해 7월 로드맵에 대한 진행 보고서가 게시됐으며 추가 진행 보고서는 2023년 7월 게시될 예정이다. FSB는 2015년 기업이 기후 관련 재무위험에 대해 투자자, 대출 기관 및 보험 업자 등에게 정보를 제공하는데 사용할 일련의 자발적이고 일관된 공시 권장사항을 개발하기 위해 TCFD를 설립했다.공시 권장사항은 광범위한 공개 참여 및 협의를 거쳐 2017년 확정됐다. 기업이 기존 보고 프로세스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기후 관련 재무공시를 개발할 수 있는 규정을 제공한다.금융안정위원회(Financial Stability Board, FSB)는 2009년 4월 G20 런던 정상회의 이후 금융안정포럼(Financial Stability Forum, FSF)의 후속조치로 설립됐다.글로벌 금융시스템의 모니터링 및 권장 사항 제시 등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국제기구다. TCFD는 자본 제공자, 보험사, 대규모 비금융 회사, 회계 및 컨설팅 기업, 신용 평가 기관의 대표 등 30개의 국제 회원으로 구성됐다.국제지속가능표준위원회(International Sustainability Standards Board, ISSB)는 IFRS(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재단 산하 표준 제정기관으로 2021~2022년 설립됐다.설립한 목적은 지속 가능성 보고에 대한 투자자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지속 가능성 관련 재무 보고 기준을 개발하고 제정하는 것이다.2021년 11월 글래스고에서 개최된 2021년 유엔 기후 변화 회의(2021 United Nations Climate Change Conference, COP26)에서 ISSB의 설립이 발표됐다.
-
2022-07-14스페인 마드리드에 본부를 두고 있는 글로벌 규제기관인 국제 증권감독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of Securities Commissions, IOSCO)에 따르면 2022년 7월 13일 주요 스테이블코인(stablecoin)에 대한 관리 지침을 채택했다.이러한 정책에 중앙은행 포럼인 국제결제은행(Bank for International Settlements, BIS) 위원회도 동참했다. 스테이블코인이 전통적 결제 방식과 같은 동일한 안전 조치를 준수해야 된다고 판단했다. 이들 기관은 2021년 10월 국민협의에 제출한 제안서를 2022년 7월 13일 공식 채택했다. 새로운 지침은 기존 결제 부분 규칙이 대형 스테이블코인에 언제 적용돼야 하는지 보여준다. 지침에는 위험 관리, 거버넌스, 투명성 표준이 포함된다. BIS 등 규제당국은 최근 암호화폐 시장의 확장으로 스테이블코인을 포함한 암호화폐가 가져올 잠재적 위험을 보다 광범위하게 해소해야 될 절박함에 처했다. 2022년 초 테라USD 스테이블코인이 폭락했고, 7월 암호화폐 대출업체 보이저디지털이 파산을 신청했다. 뿐만 아니라 대표 암호화폐인 비트코인의 가격이 2021년 11월 6만9000달러에서 70% 가량 폭락했다.따라서 국제 감시기구들은 2022년 7월 들어 유럽연합이 승인한 스테이블코인을 포함한 암호화폐 시장 규제법을 따르기 시작했다.영국은 2022년 7월 이내 스테이블코인을 규제하는 규칙인 '금융 서비스와 시장 개혁에 관한 법률 초안'을 제안할 예정이다.참고로 스테이블코인은 비트코인과 다른 디지털 토큰을 대부분의 상업에서 비현실적으로 만드는 변동성을 피하기 위해 전통적인 통화 또는 상품에 대해 안정적인 가치를 가지도록 설계된 암호화폐다.▲국제 증권감독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of Securities Commissions, IOSCO) 홈페이지
1